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한국 육군의 장교단 충원제도와 직업안정성에 관한 연구 = (A)study on the officers recruitment and the job security of the Korean army / 김성진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5.8
청구기호
TD 327 -15-210
형태사항
x, 235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566449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국민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안보전략전공, 2015.8. 지도교수: 김동명, 박휘락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2

제1장 서론 14

제1절 연구 배경 및 문제 제기 14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6

1. 연구 범위 16

2. 연구 방법 18

제3절 선행연구 검토 19

제4절 분석의 틀 25

제2장 군의 직업안정성에 관한 이론적 검토 27

제1절 직업군인제도의 일반적 특징 27

1. 일반직업과 전문직업의 개념 및 특징 27

2. 전문직업군인의 특성 및 구비 요건 29

3. 직업군인제도의 역사적 태동 및 발전 과정 34

제2절 직업안정성의 개념 및 영향 요인 42

1. 직업안정성의 일반적 정의와 영향 요인 42

2. 장교단 직업안정성의 영향 요인 46

제3절 장교단 충원제도의 직업안정성 구비요건 49

1. 동질성: 보편주의적 정서 및 가치 49

2. 책임성: 소명의식과 직업윤리 54

3. 형평성: 복무관리의 균형성 56

제3장 외국군의 장교단 충원제도 59

제1절 개요 59

제2절 미국 60

1. 장교단 충원 제도 60

2. 직업안정성 평가 67

제3절 영국 68

1. 장교단 충원제도 68

2. 직업안정성 평가 72

제4절 이스라엘 73

1. 장교단 충원제도 73

2. 직업안정성 평가 79

제5절 독일 80

1. 장교단 충원제도 80

2. 직업안정성 평가 88

제6절 시사점 89

제4장 육군 장교단 충원제도의 변천과정 92

제1절 개요 92

제2절 미군정 및 건군기 95

1. 군사영어반과정(1945. 12. 5.~1946. 5. 1.) 95

2. 단기육군사관학교(1946. 6. 15.~1950. 6. 25.) 102

3. 갑종간부후보생·종합 및 현지임관과정 104

제3절 전쟁 및 정비기 109

1. 정규육군사관학교 출범(1952. 1. 1.~) 109

제4절 자주국방기 114

1. ROTC제도 도입(1961. 6. 1.~) 114

2. 단기사관학교(2사·3사)제도 도입 138

3. 학사사관후보생과정(KAOCS) 도입(1981. 6. 27.~) 146

4. 간부사관후보생과정 도입(1996. 5. 13.~) 152

제5절 시사점 155

제5장 육군 장교단 충원제도가 직업안정성 보장에 미친 결과 분석 163

제1절 동질성: 보편주의적 정서 및 가치 측면 163

1. 현상 분석 및 평가결과 163

2. 시사점 178

제2절 책임성: 소명의식과 직업윤리 측면 184

1. 현상 분석 및 평가결과 184

제3절 형평성: 복무관리의 균형성 측면 202

1. 현상 분석 및 평가결과 202

2. 시사점 210

제6장 결론 213

제1절 요약 및 시사점 213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새로운 연구 제안 217

참고문헌 219

ABSTRACT 242

부록 11

〈부록 4-1〉 연도별 학군단 인가 및 설치 현황 245

〈부록 4-2〉 1950년대 미국 ROTC의 표준 교육커리큘럼 246

〈부록 4-3〉 1950년대 한국 ROTC의 표준 교육커리큘럼 246

〈부록 5-1〉 한·미 군사문헌 상 지휘통솔자의 역할과 구비요소 247

〈부록 5-2〉 한국 육군 장교의 출신·계급별 진출률 248

〈부록 5-3〉 한국 육군의 계급별 정년 변천과정 248

한국 육군 장교단 충원사 연대표 249

〈표 1-1〉 헌팅턴의 '구직업주의'와 스테판의 '신직업주의'의 특징 비교 20

〈표 2-1〉 국내외 주요 연구에 나타난 직업안정성의 영향 요인 45

〈표 2-2〉 주요 연구에 나타난 장교단 직업안정성의 영향 요인 49

〈표 3-1〉 미 육군의 출신별 장교단 충원 체계 및 임관 비율 61

〈표 3-2〉 미 웨스트포인트와 ROTC의 자질 비교 62

〈표 3-3〉 미 육군의 출신별 장교단 충원규모 및 장군 진출률 63

〈표 3-4〉 미 육군 ROTC후보생의 학년별 군사학 교육중점 65

〈표 3-5〉 영국의 장교단 충원 및 복무유형 71

〈표 3-6〉 이스라엘과 한국 안보환경의 유사성 비교 73

〈표 3-7〉 이스라엘 장교단의 계급별 최소 진급 연한 77

〈표 3-8〉 독일군의 초급장교 적성 판단 3대 영역 82

〈표 3-9〉 독일군의 교육과정별 장교단 충원과정 83

〈표 3-10〉 독일군 장교단의 직책 및 분야별 역할과 전문성 보장, 진출률 87

〈표 3-11〉 4개 국가의 장교단 충원제도와 특징 비교 89

〈표 4-1〉 초급장교 출신별 6.25전쟁 참전현황 92

〈표 4-2〉 초급장교 출신별 월남전쟁 참전현황 93

〈표 4-3〉 한국 육군의 연도별 장교단 충원제도 발전경과(1945~2014년) 93

〈표 4-4〉 군사영어반과정 입교자들의 학(경)력·연령·출생지별, 진급자 현황 101

〈표 4-5〉 군사영어반과정 차수별 초급장교 배출현황(1946년 2월 15일~5월 1일) 102

〈표 4-6〉 경비사관학교와 단기육사교 입교 기수 및 임관자 현황(1946~1950년) 103

〈표 4-7〉 갑종과정 배출현황(대표병과 위주) 106

〈표 4-8〉 종합출신 배출현황(1950년 10월 15일~1951년 8월 18일) 107

〈표 4-9〉 현지임관과정 배출현황(1950년 8월~1950년 11월 27일) 108

〈표 4-10〉 육사교의 해외 군사유학 현황(1949~1960년) 110

〈표 4-11〉 정규육사교의 기수별 배출 현황(1955년 10월 4일~2014년 3월 6일) 111

〈표 4-12〉 한국 육사교출신 정치·경제·사법·언론재직자 현황(2009년) 111

〈표 4-13〉 육사교의 소명의식 및 직업윤리 함양 과정, 지정 과목 113

〈표 4-14〉 한국 육군 ROTC제도의 전사(前史) 및 형성과정 118

〈표 4-15〉 창설 초기의 학군단 편제 125

〈표 4-16〉 ROTC제도 실시에 대한 여론조사현황(1961년) 125

〈표 4-17〉 학군단 지원 및 경쟁률(1961년) 126

〈표 4-18〉 한국 육군의 초급장교 연도별 응모현황 126

〈표 4-19〉 한국 육군 ROTC 창설 초기 16개 학군단의 기간편성 현황 127

〈표 4-20〉 한국 육군의 ROTC제도 변천과정 129

〈표 4-21〉 한국 육군 ROTC의 훈련통제 책임과 입영훈련 장소, 전담기관 현황 131

〈표 4-22〉 학군단 관장부대 변천과정 133

〈표 4-23〉 ROTC 기수별 배출현황(1963~2015년) 134

〈표 4-24〉 한국 400대 상장 기업의 ROTC출신 오너 및 전문경영인 현황 135

〈표 4-25〉 한국 ROTC출신 정치·경제·사법·언론재직자 현황(2014년) 136

〈표 4-26〉 ROTC의 소명의식 및 직업윤리 함양 과정, 지정 과목 137

〈표 4-27〉 제2사관학교 기수별 배출현황(1970~1972년) 140

〈표 4-28〉 3사교 제1~19기까지의 배출현황(1970~1982년) 141

〈표 4-29〉 3사교 20기부터의 배출현황(1983~2015년) 141

〈표 4-30〉 3사교출신 장교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1980년) 142

〈표 4-31〉 한국 3사교출신 정치·경제·사법·언론재직자 현황(2010년) 143

〈표 4-32〉 3사교의 소명의식 및 직업윤리 함양 과정, 지정 과목 145

〈표 4-33〉 한국 육군의 학사장교 기수별 배출현황(1981~ 2014년) 148

〈표 4-34〉 여군사관 임관현황(2003~2014년) 150

〈표 4-35〉 한국 육군 학사장교 출신의 사회 진출현황(2015년) 151

〈표 4-36〉 학사과정의 소명의식 및 직업윤리 함양 과정, 지정 과목 152

〈표 4-37〉 한국 육군의 간부사관 기수별 배출현황(1996~2013년) 154

〈표 4-38〉 한국 육군 장교단의 출신·충원과정별 복무기간 비교(2014년) 157

〈표 4-39〉 한국 육군 장교단의 출신별 의무복무기간 및 구성비율(2014) 159

〈표 4-40〉 한국 육군의 출신별 장교단 충원제도와 특징 비교 160

〈표 5-1〉 출신·연도별 1인당 교육비용 원가 비교 165

〈표 5-2〉 육사교출신 장교의 임관 5년차 조기 전역현황(2010~2014년) 166

〈표 5-3〉 한국 육군의 출신별 상위계급 진출률 비교 현황(2006~2007년) 167

〈표 5-4〉 한국 육군의 출신별 장군 진출률 및 진급 비율(2009~2013년) 167

〈표 5-5〉 육사교와 3사교의 모교출신 교수 현황(2014년) 170

〈표 5-6〉 한국 대학교 교수사회의 모교출신 현황(2009년) 171

〈표 5-7〉 한국 사회의 국립대 병원 현직의사들의 모교출신 현황(2010년) 172

〈표 5-8〉 한국의 총인구 및 징집대상자원의 변화 전망(2002~2014년) 173

〈표 5-9〉 한국 사회 일반의 대군신뢰 수준 현황(1996~2008년) 176

〈표 5-10〉 한국 육군의 장교단 충원제도의 통합·단순화 단계 182

〈표 5-11〉 한국 육사교의 하·동기 군사훈련 위탁체계 183

〈표 5-12〉 한국 사회에서 군 직업이 갖고 있는 근무의 특성 189

〈표 5-13〉 공조직주의적 군대와 직업주의적 군대의 특성 비교 190

〈표 5-14〉 한국 사회 일반에서 직업 선택요인(2002년) 192

〈표 5-15〉 한국의 직업군인과 민간인의 직업환경 비교(2000년) 192

〈표 5-16〉 한국 육군의 직업군인 장교단 전역 후 취업현황(1999~2003년) 193

〈표 5-17〉 한국 육군의 장교단 충원 및 보수(초군)과정의 교과편성 비율 195

〈표 5-18〉 한국 육군과 외국군 장교단의 정년제도 비교(2011년 기준) 207

〈표 5-19〉 한국의 일반·경찰·소방공무원 연령정년 및 계급정년 연한 208

〈표 5-20〉 한국 일반기업의 정년퇴직 연령 현황(2008~2009년) 208

[그림 1-1] 분석의 틀 26

[그림 3-1] 미 육군의 장교단 충원 체계도 61

[그림 3-2] 미 육군의 ROTC 프로그램 구성 및 진행단계 66

[그림 3-3] 영국의 장교단 충원 체계도 69

[그림 3-4] 이스라엘의 장교단 충원 체계도 74

[그림 3-5] 독일 육군의 장교단 충원 체계도 82

[그림 4-1] 육군 ROTC제도의 설치 및 운영개념도 117

[그림 4-2] 한국 육군의 학군단 지휘체계 변천과정 132

[그림 5-1] 한국 고등학생의 대학 진학률 현황(1980~2013년) 174

[그림 5-2] 한국인 군복무 경험의 생활 유용성 면접조사 결과(2011년) 175

[그림 5-3] 한국 육군 초급장교의 적정 의무복무기간 설정을 위한 준거 179

[그림 5-4] 한국 육군의 초급장교 의무복무기간 설정 개념도 179

[그림 5-5] 미 육군의 계급별 관리기술 모형 195

[그림 5-6] 미 육군의 지휘계층별 기술(skills) 요구수준 198

[그림 5-7] 한국 육군의 인성교육 범주 200

[그림 5-8] 한국 육군의 장교단 연간 순환율 및 복무체계 현황(2014년) 204

[그림 5-9] 직업군인 장교단의 생애주기와 연령대별 생활부담 증가도표 206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군 본래의 목적이자 역할인 "전투력 향상과 유지"에 전념할 여건이 조성되어 있는지를 장교단 충원제도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범위는 육군 장교단으로 한정하였으며, 내용적으로는 장교단 충원제도를, 시대적으로는 미군정기로부터 최근까지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기초로 역사적 비교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제도적 변천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이론적으로는 경로의존성 분석에 의해 제도변천에 미친 영향과 제기된 각종 요소를 종합하여 분석하였다. 아울러 연구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사례연구와 전문가 인터뷰(FGI), 연구기관의 통계 및 여론조사 등을 활용하였다.

사례연구는 미국을 포함한 4개 국가를 집중적으로 탐구하였다. 특히 동질성, 책임성, 형평성 측면에서 직업안정성 수준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이들 국가에서 장교단에 대한 국민들의 대군신뢰와 장교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전문가 인터뷰는 군 관련 인사분야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하여 문헌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노력하였다.

연구기관의 통계 및 여론조사는 병무청(2004), 고용노동부(2011), 한국갤럽(Korea Gallup, 2011), 한국국방연구원(2012), 교육과학기술부(2014), 통계청(2014), 한국교육개발원(2014) 등의 1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장교단 충원제도와 직업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동질성', '책임성', '형평성'을 독립변수로, '제도의 관성'과 '경로의존성'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육군의 장교단 충원제도에 독립변수와 영향요인, 그리고 한국적 상황을 대입시켜 직업안정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육군의 장교단 충원제도를 도입된 시기별 특성 및 시대적 변화 양상을 분석한 결과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일관성없는 기준과 형태로 진행되었다. 이로 인해 국민들의 신뢰 수준은 매우 낮았다.

둘째, 육군의 장교단 충원제도를 동질성, 책임성, 형평성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동질성 측면에서는 초급장교 의무복무기간 개념의 재설정과 '출신 우선주의 문화'에서 탈피, 초급장교 충원 과정의 통제 및 책임기관 일원화, 일반출신이 육군 전체 장교단의 96.8%를 구성하고 있다는 현실을 재직시할 필요가 있다. 책임성 측면에서는 사회적 책임성 구현의지 재강화와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군사교육의 질적 향상 및 여건 도모, 초급장교들에 대한 '교양과목 이수제' 도입, 민간 학위과정 확대와 지휘관 중심의 건전한 직업윤리 및 토양의 재정립이 요구되었다. 그리고 형평성 측면에서는 '소수획득-장기활용-소수유출' 개념으로의 인력구조 전환 문제와 '중기복무인력 관리' 중심으로의 정책 전환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미래 전투양상에 부응하는 우수인재 충원환경을 조성하고, 직업안정성 보장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장교단 충원제도가 다양한 논리로 설명될 수 있으나, 세 가지 독립변수에 초점을 맞추어 제한적으로 진행함으로써 제도의 변화를 역동적으로 설명하지 못한 점, 외국군의 사례를 탐구하는 과정에서 긍정적 측면만 부각하지 않았나 하는 조심스러움, 출신별 충원제도에 대한 심도있는 접근 노력이 미흡하다는 등의 한계 또한 갖게 되었다.

참고문헌 (41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일본/한국 軍閥政治 서울: 해동문화사, 1991. 미소장
2 秘錄 軍(상) 동방서원, 1967. 미소장
3 인간과 전쟁: 국제정치이론의 체계 서울: 법문사, 1994. 미소장
4 21세기 한국군의 군사혁신 비전과 방책 서울: 한국국방연구원, 1997. 미소장
5 국민의 군대 그들의 군대: 육사 그 신화의 빛과 그림자 서울: 도서출판ㆍ풀빛, 1995. 미소장
6 한국병역제도론 서울: 제일사, 2003. 미소장
7 한국전쟁사 서울: 일신사, 1976. 미소장
8 군부정치론 서울: 녹두, 1986. 미소장
9 미 군정의 한국 통치 서울: 박영사, 1992. 미소장
10 장교양성 기관의 능률적 편성방안: 학생중앙군사학교를 중심으로 대전: 육군교육사령부, 1998. 미소장
11 사관학교 양성교육 개선방안 서울: 한국국방연구원, 2008. 미소장
12 軍과 國家 서울: 탐구당, 1990. 미소장
13 역량중심 인적자원관리(개정판) 파주: 법문사, 2012. 미소장
14 이승만 秘錄 서울: 한국문화출판사, 1982. 미소장
15 한국의 군대와 사회 서울: 나남, 1994. 미소장
16 한국분단보고서 상 서울: 풀빛, 1992. 미소장
17 兵役法解義 서울: 영문사, 1955. 미소장
18 선진국방의 비젼과 과제 서울: 나남출판사, 1996. 미소장
19 한국군 장교양성제도 통합에 관한 연구 소장
20 軍隊文化의 뿌리: 군대의 전통과 관습을 중심으로 서울: 을지서적,1988. 미소장
21 갑종장교단약사 , 1997. 미소장
22 별,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60년 서울: 북엣북스, 1988. 미소장
23 邊 淸明, 新版 日本官僚制の硏究 東京: 東京大學出版會,1984. 미소장
24 민군관계론 서울: 일조각, 1993. 미소장
25 한국군사제도론 서울: 일조각, 1982. 미소장
26 회고 90년 (1890~1981) 서울: 산운기념사업회, 1982. 미소장
27 독일군 장군참모장교제도 서울: 화랑대연구소, 2004. 미소장
28 한국정치론 서울: 범우사, 1975. 미소장
29 陸士卒業生 서울: 중앙일보사, 1984. 미소장
30 장교보직관리제도 연구 서울: 한국국방연구원, 1985. 미소장
31 독일 통일과 군간부 인력획득 서울: 한국국방연구원,2010. 미소장
32 민군관계와 국가안보 서울: 북코리아, 2005. 미소장
33 한국민군관계론 서울: 한원출판사, 2000. 미소장
34 한국전쟁사 상권: 건국과 시련 서울: 병학사, 1977. 미소장
35 국방정책의 이론과 실제 서울: 오름, 2002. 미소장
36 국방인력관리론 서울: 국방대학교, 2002. 미소장
37 육군인사관리의 현재와 미래 서울: 국방대학교, 1998. 미소장
38 베트남전쟁과 한국군 서울: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4. 미소장
39 한국국방연구원, 중장기 국방인력정책 연구 서울: 한국국방연구원, 1990. 미소장
40 創軍: 미군의 역할과 민군관계를 중심으로 서울: 학림출판사,1982. 미소장
41 創軍 서울: 박영사, 1984. 미소장
42 韓國의 軍部政治 서울: 대왕사, 1993. 미소장
43 군인과 국가: 민군관계의 이론과 정치 서울:해양전략연구소. 2011. 미소장
44 한국 군대의 사회학 서울: 도서출판 나남, 1993. 미소장
45 바람직한 간부상 정립 및 교육방안 연구 서울: 국방부정훈교육관실, 1994. 미소장
46 美國學徒軍事訓練團“ROTC”해설 국방부 병무국, 1957. 미소장
47 學生徵集延期制度廢止의 必要性 소장
48 육군 초급장교 인적자원관리 발전 방향 : 포병병과 초급장교 선발과 교육훈련을 중심으로 소장
49 “제대군인 전직지원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및 발전방안 연구.”목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미소장
50 비정규직의 고용안정성과 조직몰입에 대한 국제비교연구 소장
51 “우리 군 개혁의 참고모델, 이스라엘 군.” 한국군사운영분석학회지제24권 제1호, (1998). 미소장
52 “국가방위의 중심군: 영국 육군.” 육군지 제12월호, (2014). 미소장
53 군 장교의 직업성 보장에 관한 연구 소장
54 제대군인 전직지원정책의 활성화 방안 소장
55 Comparative Analysis on Consumer Portfolio According to Employment Stability and Risk Tolerance 소장
56 “선진국에 적합한 민군관계 발전방향 모색: 정치, 군대, 시민사회 3자관계를 중심으로.” KBS 정책토론회 발표 발제논문. (2008). 미소장
57 군 전문직업의 변화와 민군관계 소장
58 “독일 국방군 지휘통솔 연구 결과 보고서.” (1997). 미소장
59 A Study on Analysis of Acquisition Program of Human Strength 네이버 미소장
60 직업의 안정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장
61 교육의 수월성(秀越性) 제고를 위한 육군 학군단 운영체계 발전방향 네이버 미소장
62 (A)study of the effect of job stability and eligibility on job satisfaction on new public officials in the social welfare sector 소장
63 “핵심인재 확보양성전략.” CEO Information 제353호,(2002). 미소장
64 “초급장교 우수인력 획득에 관한 연구: 학군사관후보생 및 군장학생을 중심으로.” 국방대학원 안보과정 석사학위논문, (1997). 미소장
65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 Discourse in the age of transformation 소장
66 지방자치단체의 인사제도 개혁 소장
67 개방형 임용제도의 실태 및 발전에 관한 연구 소장
68 군 직업보도 지원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소장
69 초급장교 의무복무기간의 인식전환과 산정방법 네이버 미소장
70 주한미군의 對韓 정세인식과 창군계획 : 사설군사단체에 대한 대응과 '뱀부계획'의 입안과정을 중심으로 소장
71 “學徒軍事訓練의 理念과 現況.” 군사다이제스트 제1권 1호,(1954). 미소장
72 이스라엘의 군사제도 고찰 네이버 미소장
73 “제대군인 지원정책의 과제와 발전방안.” 한국전략문제연구소,(2005). 미소장
74 軍 職業性 保障에 관한 硏究 : 停年制와 福祉厚生制度를 中心으로 소장
75 “인재를 모으는 유연한 인적자원 관리방안.” 주간경제 제599호.(2000). 미소장
76 한국 의사의 전문직업성 추이에 관한 연구 소장
77 한국군의 평생교육 변천과정에 관한 평가분석 연구 소장
78 A Study on the effect of employees" job insecurity to emotional commitment and continuance commitment 소장
79 “정치엘리트와 대중의 관계.” 고시계 40(10). (1995). 미소장
80 민군관계와 국방리더십의 발전방향 소장
81 “오늘의 淨軍과 내일의 淨軍.” 軍事評論 제5호 육군대학, (1959). 미소장
82 文敎部의 立場과 主張 : 憂慮되는 學園의 空白 소장
83 “韓國軍部의 職業主義와 民軍關係.” 한국정치외교사 논총 제14집,(1996). 미소장
84 한국의 군부정치에 관한 연구:정치정향을 중심으로 소장
85 “국방 및 병역환경 변화와 중장기 육군 초급장교 정예화 정책방향.”육군정책연구 제21호(15-3), (2015). 미소장
86 A Study on Flexible Hiring of Public Employees in Individual Korean Ministries 소장
87 신한국의 직업군인제도 네이버 미소장
88 “장교 양성제도 개선연구.” (1993). 미소장
89 “군 조직구성원의 직업보장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국방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93). 미소장
90 “2000년대의 군 위상 정립과 전문직업주의화 방안.” 국방대학원 안보문제연구소 정책보고서. (1990). 미소장
91 “군의 전문직업주의 향상 방안.” 군직업주의와 리더십. 국방대학교 안보연구시리즈 제4집 7호, (2003). 미소장
92 “우수 학군사관후보생 선발 및 양성교육 향상방안 연구.” (2006). 미소장
93 전략과 핵심인재관리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장
94 “경쟁환경, 기술변화, 전략과 핵심인재 관리의 강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영학 연구 제36권 5호, (2007). 미소장
95 韓國軍 베트남參戰의 決定要因과 結果 연구 소장
96 “兵役法改正案의 通過를 보고.” 國會報 제14호, (1956). 미소장
97 兵務行政의 不平等性 소장
98 미 군정의 구조와 성격 네이버 미소장
99 Talent 개념을 SUPEX 리더와 챔피언으로 구분, 관리 소장
100 學徒軍事訓練制度의 發展策 : 均衡된 3軍兵力 確保를 中心으로 소장
101 軍 停年制와 職業性 保障에 관한 연구 소장
102 직업군인의 행정윤리 확립에 관한 연구 소장
103 교육투자의 사회경제적 효과와 결정요인 분석: 소득, 직업안정성 및 직무만족도를 중심으로 소장
104 The Impact of Two Aspects of Job Security on Trust in Top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mployees 소장
105 직업군인제의 정착과 민군관계 소장
106 지방화시대의 민군관계 소장
107 “군구조 개편과 연계한 미래 육군 인력획득체계 개선연구.” (2007). 미소장
108 職業軍人의 獲得政策 方向 硏究 소장
109 “국방인력 및 인사관리체계 발전방향 연구: 국방인력관리본부 설치 타당성 분석 중심.” (1996). 미소장
110 A Study of Social-linked System for a Professional Soldier 네이버 미소장
111 “군인 직업성 제고의 필요성 및 발전방안.” 주간국방논단제1353호(11-13), (2011). 미소장
112 “제3세계의 민군관계: 비교분석을 위한 시각.” 정치학 자료 선집서울: 육군사관학교, (1987). 미소장
113 “조건부 의무로서의 복종의 의무.” 제5회 화랑대 국제학술심포지움논문집. (1989). 미소장
114 한국 직업군인의 복지증진을 위한 정책적 대응 소장
115 “장교 획득 및 양성 발전 방안: 학사ㆍ학군ㆍ간부사관 중심으로.”한국국방연구원. (1999). 미소장
116 “장교양성 관리체계 발전방향 연구: 육군 장교의 양성체계를 중심으로.” (2002). 미소장
117 21세기 국가와 군의 관계변화 연구 소장
118 국내기업 핵심인재 경영의 현황과 개선방향 : 채용전략을 중심으로 소장
119 전문가 및 핵심인력 관리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국내 금융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소장
120 “전역전 직업보도교육 발전방안 연구.” (1998). 미소장
121 “제2장 미래전 수행을 위한 전문인력 확보.” 2005년 육군전투발전 (2005) 미소장
122 “학군장교(ROTC) 종합발전 계획서 작성 연구: 우수자원 확보ㆍ육성ㆍ관리를 중심으로.” (2012). 미소장
123 “새로운 환경변화에 따른 병역제도 발전방향.” 제1회 KIDA 국방포럼자료. (2003). 미소장
124 미래 소요 국방인력 육성을 위한 국방인력관리의 혁신 과제와 방향 네이버 미소장
125 “정보화군을 이끌어갈 직업군인 획득 및 양성방안.”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00). 미소장
126 韓國軍의 職業軍人制 發展方向 소장
127 직업군인제 발전을 위한 정책 대안 분석 네이버 미소장
128 “육군의 미래 인력운영체계 발전방향.”(2006). 미소장
129 ROTC 소개 소장
130 “한국과 미국의 육군 HRM(인적자원관리) 제도에 관한 연구.” 고려대석사학위논문, (2003). 미소장
131 한국국방연구원. “06~07 군 인력운영 분석-Ⅱ.” (2007). 미소장
132 한국국방연구원. “국방인력 및 인사관리체계 발전방향 연구: 국방인력관리본부 설치 타당성 분석 중심.” (1996). 미소장
133 한국국방연구원. “장병 복지욕구 성향 조사 분석” (1994). 미소장
134 “민군관계의 변화와 전망.” 사상 6. (1990). 미소장
135 사회의 민주화과정에 있어서 한국군의 위상정립에 관한 연구 소장
136 핵심인재, 'HRSP'로 관리 : LG전자 소장
137 고용노동부. 고령자 고용현황 (2010) 미소장
138 교육과학기술부 자료. (2009) 미소장
139 교육과학기술부 자료. (2014) 미소장
140 국군정보사령부. 세계의 군사력(’96~’97) . 미소장
141 국방군사연구소. 建軍 50年史 서울: 서울인쇄공업협동조합, 1998. 미소장
142 국방군사연구소. 국방정책 변천사(1945~1994) 서울: 국방부, 1995. 미소장
143 국방대학원. 국방관리 서울: 국방대학원, 1984. 미소장
144 국방대학원. 국방인적자원관리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국방대학원, 1995. 미소장
145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建軍史 서울: 국방부, 2004. 미소장
146 2010 국방백서 네이버 미소장
147 국방부. 교육훈련정책과 (2012) 미소장
148 국방부. 2011년 국방비용편람Ⅰ 서울: 국방부, 2011. 미소장
149 국방부. 건군사 서울: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2. 미소장
150 국방부. 국방개혁 기본계획 2014~2030 서울: 국방부, 2014. 미소장
151 국방부. 국방개혁 추진계획 (2003년 6월) 미소장
152 국방부. 국방백서 1989 서울: 국방부, 1989. 미소장
153 국방부. 국방백서 2012 서울: 국방부, 2012. 미소장
154 국방부. 국방사 (1945. 8~1950. 6) 서울: 삼화인쇄주식회사, 1984. 미소장
155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사Ⅰ-해방과 건군 서울: 육군본부, 1967. 미소장
156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사 제1권 서울: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68. 미소장
157 국방통계연보 (2002) 미소장
158 국사편찬위원회 소장. Weekly Activities of KMAG (1949. 1. 19.) RG 338, PMAG 1948~1949 / KMAG, 1948~1953 Box 9. 미소장
159 국사편찬위원회 소장. 라이트가 그랜트에게 보낸 서한 (1949. 12. 16.),RG 338, KMAG, Box 4. 미소장
160 국사편찬위원회. 주한 미군사고문단 문서(KMAG: Korean Military Advisory Group) 1999. 미소장
161 김태원 새누리당 의원실 (2012. 10. 15.) 미소장
162 노훈 외 국방발전연구진. 국방정책 2030 서울: 한국국방연구원, 2010. 미소장
163 대통령령. 제24547호(2012. 12. 4.개정) 제4조의 3(대학교원의 신규채용) 미소장
164 대통령령. 박정희 연설집(부록) 1965년 1월 17일 대전 유세. 미소장
165 대통령령. 박정희 연설집 1965년 1월 16일. 미소장
166 대통령령. 박정희 연설집 1965년 1월 26일 담화문 및 2월 9일 담화문. 미소장
167 대통령령. 박정희 연설집 1965년 8월 15일. 미소장
168 대학윤리교재편찬위원회 편. 직업윤리 서울: 삼광출판사, 1992. 미소장
169 대한민국 ROTC 정무포럼. 21세기형 리더십, ROTC의 정신과 혼 서울:(주)오디문, 2012. 미소장
170 대한민국 ROTC 50년사 편찬위원회. 대한민국 ROTC 50년사 서울: 대한민국ROTC중앙회, 2011. 미소장
171 대한민국ROTC중앙회. 회원ㆍ직장ㆍ직능별 명부(1961~2014) 서울: 금성기획, 2014. 미소장
172 병무청. 2003년 병무통계 연보 , 2004. 미소장
173 안규백 새정치민주연합의원. “육·해·공군사관학교 출신장교 임관 5년차 전역현황(최근 5년간)” (2014. 10. 24.) 미소장
174 안규백 새정치민주연합의원. “사관학교 출신 장교 조기전역 기회 연차 8연차로 조정 필요. (2014. 10. 24) 미소장
175 육군 제3사관학교 충성대연구소. 장교양성 교육제도 연구 (1996) 미소장
176 육군3사관학교 기획운영처. 대한민국 육군3사관학교 40년사 , 2009. 미소장
177 육군3사관학교 기획운영처. 육군3사관학교 요람 2014 , 2015. 미소장
178 육군3사관학교 충성대연구소. 충성대 사관후보생 과정의 역사 , 2011. 미소장
179 육군3사관학교. 교수부 자료.(2014) 미소장
180 육군3사관학교. 평가실 자료.(2011, 2015) 미소장
181 육군3사관학교 총동문회. 동문록 2010 . 영천: 육군3사관학교 총동문회, 2010. 미소장
182 육군교육사령부. “초급간부 지휘능력 향상을 위한 학교교육 혁신.” (2014) 미소장
183 육군대학 영국군 소령 J. N. Elderkin. 군사평론지 제70호 (1970) 미소장
184 육군대학 편. 국가, 민주주의, 통일 경남: 육군대학, 1989. 미소장
185 육군본부 분석평가단. 군 장병 양성비용 , 2011. 미소장
186 육군본부. 6.25사변 육군전사 제1권 , 1954. 미소장
187 육군본부. 국군의 맥 , 1992. 미소장
188 육군본부. 대한민국 학생군사교육 발전사 , 1986. 미소장
189 육군본부. 육군발전사 2권 , 1970. 미소장
190 육군본부. 陸軍發展史(上卷) , 1976. 미소장
191 육군본부. 육군역사일지(1945~1950) 미소장
192 육군본부. 육군인사역사 제1집 , 1969. 미소장
193 육군본부. 육군인사역사 제2집 , 1987. 미소장
194 육군본부. 六ㆍ二五 事變 後方戰史 人事篇 豊文社, 1956. 미소장
195 육군본부. 인사정책제안서 , 2003. 미소장
196 육군본부. 創軍前史 , 1980. 미소장
197 육군본부. “사관후보생 양성교육기관 전환 계획.” (2011. 3. 8.) 미소장
198 육군본부. “양성교육체계 정비 추진 정책회의 결과 보고.” (2010. 12. 16.) 미소장
199 육군본부. “이스라엘 군사제도 시찰결과” (1970년 1월, 1992년 2월) 미소장
200 육군본부. “장기복무 전역간부 설문조사 결과(2000~2002년)” (2003) 미소장
201 육군본부. “중·장기 우수 초급간부 획득정책” (2014) 미소장
202 육군사관학교 30년사 편찬위원회. 육군사관학교 30년사(1945~1976) ,1978. 미소장
203 육군사관학교 50년사 편찬위원회.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50년사(1946~1996) 미소장
204 육군사관학교 60년사 편찬위원회. 육군사관학교 60년사: 21세기를 향한 도약(1996~2006) 서울: 도서출판 황금알, 2006. 미소장
205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한국군 위상 정립에 관한 연구” (1990) 미소장
206 육군사관학교. 한국의 군인상 1983. 미소장
207 육군사관학교. 2014~2015 육군사관학교 요람 , 2015. 미소장
208 육군사관학교. 군대와 국가발전 서울: 육군사관학교, 1981. 미소장
209 육군사관학교. 교수부(2014) 미소장
210 육군사관학교. 생도대(2014) 미소장
211 육군사관학교. 평가실(2014) 미소장
212 육군학생군사학교. 학군단운영과 (2014) 미소장
213 육군학생군사학교. 획득과 (2014) 미소장
214 육군학생군사학교. 2015년 학교교육계획 , 2015. 미소장
215 육군학생군사학교. 2015년 교육훈련계획 , 2015. 미소장
216 외교부 자료(2010.6월). 미소장
217 동아 새국어사전 서울: 동아출판사, 1996. 미소장
218 전쟁기념사업회. 현대사 속의 국군: 군의 정통성 서울: 대경문화사, 1990. 미소장
219 정치학대사전편찬위원회, 21세기 정치학대사전 (2002) 미소장
220 통계청. 2001 한국의 사회지표 , 2002. 미소장
221 통계청. 2014 한국의 사회지표 , 2015. 미소장
222 학생군사훈련처. 대한민국 학생군사교육발전사 서울: 육군본부, 1985 미소장
223 학생중앙군사학교. ROTC 30년사 , 1998. 미소장
224 학생중앙군사학교. ROTC 40년사 부편 Ⅱ, 제도변천 경과 및 내용 , 1994. 미소장
225 학생중앙군사학교. ROTC 40년사 , 2001. 미소장
226 한국 갤럽(Gallup Korea) “2011년 한국인과 군대문화.” Gallup Report (2011년 6월 23일) 미소장
227 한국교육개발원 자료 (2014) 미소장
228 미육군 장교인사관리제도 , Army Regulation 미소장
229 일본자위대 총람 (1995) 미소장
230 “각종 고등학교 학교단위 군사훈련폐지에 관한 件” (1955.2.6.) 국가기록원 관리번호 BA0085174. 미소장
231 “미육군 장교교육훈련검토보고서(U.S. Army RETO: Review of Education &Training for Officers)” (1978) 미소장
232 “서울대 60년사.” 서울대학교 홈페이지. 미소장
233 “학생군사훈련 실시에 관한 건” (의안번호 296호) 제58회 국무회의 (1961.4.20.) 국가기록원 관리번호 BA0085205. 미소장
234 “합동참모부가 동경의 더글라스 맥아더 육군대장에게” (1946. 1. 9.) 미소장
235 공보처. (1996) 미소장
236 국방부, 국방저널 (2014. 4월호) 미소장
237 국정홍보처. (2001) 미소장
238 “군, 계급별 정년 1~3년 연장 추진... ‘20년 근무’ 보장,” 연합뉴스 (2014 년 4월 13일자) 미소장
239 군사법원 보도자료 (2014년 10월 10일자) 미소장
240 김경수. “역사 속으로 사라진 甲種장교.” 주간조선 (2007년 5월 27일자) 미소장
241 김문경. “진성준, 장군진급자 육사출신에 편중.” YTN뉴스 (2014년 10월 14일자) 미소장
242 김종대. “陸士 위주 폐쇄적 人事독점이 한국군 망친다.” 조선일보 (2013년 8월 26일자) 미소장
243 김종두. “독일군 장교양성 교육의 교훈.” 국방일보 (2004년 8월 9일자) 미소장
244 김종하. “군피아 ‘利敵행위’ 막을 근원적 처방.” 문화일보 (2014년 7월 18 일자) 미소장
245 김주현. “끼리 문화 벗어나야 선진국 가능하다.” 서울경제 (2013년 10월 27일자) 미소장
246 大學生과 軍事訓練 소장
247 박영훈. “육군, 학교장 편중인사 심각해.” 사회일보 (2014년 10월 15일자) 미소장
248 박효선. “창끝 전투력, 초급간부 충원 힘써야.” 동아닷컴 (2013년 2월 25 일자) 미소장
249 신우용. “육군의 서자(庶子) 단기사관은 장군이 될 수 없는가.” 신동아 통권 577호 (2007년 10월호) 미소장
250 신종태. “정예 독일군 장교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조선뉴스프레스 (2014 년 11월 13일자) 미소장
251 안 석. “학사장교 출신 공직 새 파워엘리트 인맥 부상.” 서울신문 (2013년 5월 20일자) 미소장
252 양낙규. “2011년 국감: 장군진급 사관학교출신 편중.” 아시아경제 (2011년 9월 28일자) 미소장
253 金寬鎭과 독일 陸士 출신들 : "실전 위주로 배워 野戰에 강하다" 소장
254 유용원. “군복무 18개월로 줄텐데 28개월 ROTC 누가 가겠나.” 조선일보 (2013년 2월 19일자) 미소장
255 육군본부 정책과 자료 (2015) 미소장
256 이상우. “다큐멘타리, 월남파병.” 월간조선 8월호 (1983) 미소장
257 이정훈. “대장 對 대위: 제35대 재향군인회장 선거 파격 기류.” 신동아 제665호 (2015년 2월호) 미소장
258 이종각. “신군부의 세력, 하나회.” 신동아 (1988) 미소장
259 이한우. “兵學一致와 ROTC制.” 조대신문 (1958년 1월 1일자) 미소장
260 전현석. “위기의 ROTC... 초급장교 60% ‘군 인력풀’이 흔들린다.” 조선일보 (2013년 2월 19일자) 미소장
261 정철순. “한국군 망하면 北아닌 폐쇄적 人事 탓.” 문화일보 (2013년 8월 26일자) 미소장
262 조갑제. “실록 제5공화국 (3)배반의 총성.” 월간조선 (2003년 7월호) 미소장
263 조진만. “제대군인을 아시나요?.” 울산종합일보(http://www.ujnews.co.kr) (2014년 12월 30일자) 미소장
264 한지숙. “英 엘리트주의 심각...고위층 71% 사립학교 출신.” 헤럴드 경제 (2014년 8월 29일자) 미소장
265 황경상. “〔국감〕군 장성 진급 육사 출신 80%로 압도적.” 경향신문 (2014년 10월 14일자) 미소장
266 동아일보 (1948년 12월 24일자, 2면) 미소장
267 동아일보 (2006년 1월 10일자, 2013년 9월 4일자) 미소장
268 dongA.com (2014년 10월 16일자) 미소장
269 아시아경제 (2014년 8월 1일자) 미소장
270 MBC (2008년 8월 15일자) 미소장
271 조선일보 (1994년 2월 5일자, 2007년 6월 2일자) 미소장
272 한국경제신문 (2013년 3월 7일자, 12월 2일자) 미소장
273 한국일보 사설 (2014년 3월 7일자) 미소장
274 “‘여군의 적은 남군’이라는 우리 군의 현실.” 한겨레 오피니언 (2013년 10 월 25일자) 미소장
275 “39個大學 二萬五千名 志願.” 동아일보 (1957년 12월 24일자) 미소장
276 “ROTC 15일부터 訓練에.” 대학신문 (1961년 5월 15일자, 1면) 미소장
277 “ROTC 1週에 5시간 訓練.” 부산대학신문 (1961년 3월 1일자, 3면) 미소장
278 “ROTC 본교엔 250명.” 주간성대 (1961년 5월 2일자) 미소장
279 “ROTC 豫備將校訓練團 明年四月一日부터 實施.” 조선일보 (1960년 2월 20일자 석간) 미소장
280 “ROTC 總七六七名志願.” 대학신문 (1961년 5월 11일자) 미소장
281 “각종 교재와 훈련복 지급.” 연세춘추 (1961년 5월 29일, 1면) 미소장
282 “국립대 병원 현직의사들의 모교 출신 현황.” 연합뉴스 (2010년 10월 25 일자) 미소장
283 “국방부・문교부서 ROTC방문, 후보생 대표와 회견후 수업상태 시찰.” 연세 춘추 (1962년 3월 26일자) 미소장
284 “國防部서 學生徵集延期問題 中央敎委 建議案을 拒否.” 경향신문 (1956년 2월 24일자) 미소장
285 “군사훈련 반편성 완료.” 연세춘추 (1961년 5월 13일자) 미소장
286 “軍訓 16日부터 實施.” 건대신문 (1961년 5월 13일자, 1면) 미소장
287 “來年부터 大學生에 豫備將校訓練.” 경향신문 (1960년 10월 19일자) 미소장
288 “來年부터 實施키로, 國防部 學徒軍訓에 합의.” 동아일보 (1960년 2월 20 일자) 미소장
289 “大學敎育과 ROTC.” 건대신문 (1962년 4월 5일자, 3면) 미소장
290 “魅力없는 ROTC.” 고대신문 (1961년 4월 29일자) 미소장
291 “兵務行政革新要綱.” 경향신문 (1955년 4월 3일자) 미소장
292 “兵役法 改正案 國務會議에 上程.” 경향신문 (1955년 3월 6일자) 미소장
293 “兵役法 改正案 李大統領 裁可.” 경향신문 (1955년 3월 6일자) 미소장
294 “本校 ROTC敎育.” 한양대학보 (1961년 5월 10일자) 미소장
295 “四年間에 20週 曰, 學徒軍事訓練 要領 協議.” 조선일보 (1957년 9월 14 일자) 미소장
296 “사달 난 ‘늑대’ 사단장, 결딴 난 軍.” 서울경제 (2014년 10월 12일자) 미소장
297 “안보 소강국을 가다: 군, 격식 파괴... 자율ㆍ책임 강조.” 세계일보 (2013 년 2월 21일자) 미소장
298 “年齡超過한 大學在學生, 隨時로 徵集斷行.” 동아일보 (1955년 9월 22일 자) 미소장
299 “육군, 2006년도 석ㆍ박사 111명 탄생.” 연합뉴스 (2006년 2월 27일자) 미소장
300 “육사교장, 3사관학교장은 100% 모교 출신... 학생중앙군사학교장은 10%만 학군 출신.” 뉴스에이 (2014년 10월 15일자) 미소장
301 “‘인문정신을 시민의 지혜’로 문화융성의 길 7대 중점과제.” 뉴시스 (2014 년 8월 6일자) 미소장
302 “잇따른 성범죄, 軍 ‘성범죄 무관용’ 원칙 유명무실.” 세계일보 (2014년 10 월 22일자) 미소장
303 “在學生은 一年 服務토록: 中央敎委 三案件을 建議키로.” 동아일보 (1956 년 2월 18일자) 미소장
304 “전시학생은 연기, 병사당국서 재확인.” 동아일보 (1953년 2월 21일자) 미소장
305 “戰時學生은 延期, 兵事當局서 再確認.” 동아일보 (1953년 2월 1일자, 2 면) 미소장
306 “學徒軍事訓練 復活.” 동아일보 (1957년 9월 13일자) 미소장
307 “學徒軍事訓練 흐지부지, 國防・文敎 未合意.” 경향신문 (1958년 1월 21일 자) 미소장
308 “學徒軍事訓練實施.” 부산대학신문 (1961년 5월 15일자, 3면) 미소장
309 “學徒軍事訓練에 國防文敎合意, 六月부터 全國 一齊히 實施.” 동아일보 (1952년 5월 7일자) 미소장
310 “學徒軍事訓練에 虜獲武器를 배정.” 동아일보 (1953년 12월 15일자) 미소장
311 GLOBAL LEADER (경제전문월간지, 2008년 6월호) 미소장
312 고승민. “軍 간부 대량 유출 ‘심각’...장교 77%가 임관 3년 내 전역 .” 뉴시스 (2014년 10월 27일자) 미소장
313 경찰공무원법 제24조 (법률 제12233호, 2011년 5월 30일 개정) 미소장
314 고등교육법 제14조 (법률 제12174호, 2011년 9월 개정) 미소장
315 국가공무원법 제2조 (법률 제12792호, 3월 28일 개정) 미소장
316 국가공무원법 제2조 ②항 2. 미소장
317 국가재건최고회의법 제18조. 미소장
318 국방부 병무국. “병역법 개정안 제38조.” 제53회 국무회의록 (1955. 9. 2.), 국가기록원 관리번호 BA0085175. 미소장
319 국방부 병무국. “학생병역기간에 관한 제보고.” 제5회 국무회의록 (1956 1. 13.), 국가기록원 관리번호 BA0085176. 미소장
320 군인복무규율 제4조 2항 (대통령령 제24077호, 2012년 8월 31일 개정) 미소장
321 군인사법 제6조 ①항 (법률 제1006호, 1962. 1. 20.) 미소장
322 대통령령 제20282호 (2007. 9. 20.) 미소장
323 대한민국 헌법 제74조 ①항. 미소장
324 법률 제444호 병역법. 미소장
325 인적자원개발 기본법 제2조 1항(법률 제6713호, 2002. 8. 26.) 미소장
326 인적자원개발 기본법 제2조 2항(법률 제6713호, 2002) 미소장
327 군인사법 서울: 법률문화원, 2007. 미소장
328 정부조직법(법률 제11690호, 2013년 3월 23일 개정) 미소장
329 헌법(1987. 10. 9.) 제5조 ②, 제54조 ①, 제60조 ②, 제73조, 제74조 ①, 제 74조 ①ㆍ②, 제87조 ④, 제89조, 제89조 ②ㆍ⑥ㆍ⑮. 미소장
330 군인사법 제6조 (법률 제7085호, 2004. 1. 20.) 미소장
331 육군3사관학교 설치법 제1ㆍ2조(법률 제11690호) 미소장
332 ROTC중앙회 홈페이지(http://www.rotc.or.kr/) (검색일: 2014. 12. 22.) 미소장
333 갑종장교단 중앙회 홈페이지(http://www.kocs.or.kr/)(검색일: 2015. 3. 21.,2015. 4. 11.) 미소장
334 국방부 홈페이지(http://www.mnd.go.kr/) (검색일: 2015. 3. 17.) 미소장
335 미 육군 OCS 홈페이지(http://www.armyocs.com/modules.php?name=Content&pa=showpage&pid=4) 미소장
336 미 육군ROTC 홈페이지(http://www.goarmy.com/rotc/college_students.jsp)(검색일: 2014. 9. 11.) 미소장
337 미 프린스턴대학 홈페이지(http://www.princetonview.com/cte/article/military)(검색일: 2014. 11. 12.) 미소장
338 병무청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mma.go.kr/www.mma3) (검색일: 2015.2. 11.) 미소장
339 외교부 홈페이지(www.mofa.go.kr) (검색일: 2015. 3. 13.) 미소장
340 위키피디아 홈페이지(http://ko.wikipidia.org) (검색일: 2014. 11. 12.) 미소장
341 육군3사관학교 총동문회 홈페이지(http://www.3sa.or.kr/) (검색일: 2015. 2.13.) 미소장
342 육군3사관학교 홈페이지(http://www.kaay.mil.kr/) (검색일: 2015. 2. 13.) 미소장
343 육군본부 홈페이지(http://www.army.mil.kr/) (검색일: 2015. 2. 13.) 미소장
344 육군사관학교 홈페이지((http://www.kma.go.kr/) (검색일: 2014. 12. 15.,2014. 12. 16.) 미소장
345 육군학사장교총동문회 홈페이지(http://www.haksa.or.kr/) (검색일: 2015. 2. 13.) 미소장
346 육군학생군사학교 홈페이지(http://www.armyofficer.mil.kr/) (검색일: 2015.2. 13.) 미소장
347 육사총동창회 홈페이지(http://www.kmaaa.or.kr/) (검색일: 2015. 2. 12.) 미소장
348 이스라엘 군사력(http://www.globalfirepower.com/) (검색일: 2015. 2. 17.) 미소장
349 조선닷컴(http://www.chosun.com/2013.8.26.) (검색일: 2015. 3. 13.) 미소장
350 합동참모본부 홈페이지(http://www.ics.mil.kr/) (검색일: 2015. 2. 15.) 미소장
351 아시아경제(www.asia.co.kr) (2011년 9월 28일자) (검색일: 2014. 4. 25.) 미소장
352 Kraft (전투력) Freiburg, 1989. 미소장
353 Supreme Command: Soldiers, Statesmen and Leadership in Wartime. New York: The Free Press, 2002. 미소장
354 Gneisenau. Berlin, 2 vols., 1882. 미소장
355 Professionalism and the Military-Past, Present, the Future: A Canadian Perspective, The Canadian Forces Leadership Institute(2002) 미소장
356 The Man on Horseback. N. Y.: Praeger, 1962. 미소장
357 General Headquartera Supreme Commander For the Allied Powers. Summation of Non-Miliyary Activities in Japan and Korea No. 1. 1945. 미소장
358 Stein and the Era of Reform in Prussia, 1807~1815 passim, but esp, ch. 8. Prinston, 1922. 미소장
359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 War Policy and the First Year of Occupation - 1941~1946. Histories Division Office of the... 미소장
360 Competing in the third wav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7. 미소장
361 The Soldier and The State: The Theory and Politics of Civil-Military Relations.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미소장
362 Political Order in Changing Societies.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68. 미소장
363 Education and Military Leadership, Prinston: Prinston Univ. Press, 1959. 미소장
364 High Flyers.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8. 미소장
365 The Power Elit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56. 미소장
366 The Professional Soldier New Edition. New York: Free Press, 1971. 미소장
367 The Ruling Class. New York, 1939. 미소장
368 The Emergent Military: Calling, Profession, Occupation? in Franklin D. Margitta(ed) The Changing World of the American Military.... 미소장
369 2000 Making Citizen-Soldiers: ROTC and the Ideology of American Military Servic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0. 미소장
370 Soidiers in Politics: Military Coups and Government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Hall, 1977. 미소장
371 Occupation. Eenyclopedia of Social Sciences. N.Y: Macmillian Co, Publishers, 1944. 미소장
372 The Open Society and Its Enemies, 1945.Democracy. New York: Harper & Row, 1973. 미소장
373 Military Advisors in Korea: KMAG in Peace and War, Office of the Chief of Military History. Washington D.C.: Department of the... 미소장
374 Life and Times of stein 2 vols. Boston, 1879. 미소장
375 The Armies of the Great Powers. London, 1859. 미소장
376 War, Morality, and Military Profession (1986) 미소장
377 A Study of War 2nd e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5. 미소장
378 Firm Resources and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네이버 미소장
379 Work orientation vs hygienic orientation: A bi-polar approach to the study of work motivation 네이버 미소장
380 “Conflicting Loyalties and American Military Ethic.” 미소장
381 “Army officer Shortage : Background and Issues for Congress.” CRS Report for Congress(2006). 미소장
382 “The Motivation to Work.” N. Y.: Wiley(1959). 미소장
383 Prediction of Employment Status Choice Intentions 네이버 미소장
384 “A theory of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50(1943). 미소장
385 From Institution to Occupation 네이버 미소장
386 Institutional/Occupational Trends in Armed Forces: An Update 네이버 미소장
387 National Security Action Memorandum 55, Jerome Slater. “A Political Warrior or Soldier Stateman.” Armed Force. & Society Vol. 4,... 미소장
388 Soldiers in Politics: Military Coups and Government.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Hall, 1977. 미소장
389 “Regular Army Commissions for ROTC Graduates.” US Army War Collage, Report Paper(1988). 미소장
390 “The Core Competitive of the Corpor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May-June, 1990). 미소장
391 Authoritarian Brazil: Origin, Politics and Future. New - 227 - Haven: Yale Univ. Press, 1973. 미소장
392 The New Professionalism of Internal Warfare and Military Role Expension in Alfred Stepan ed., Authoritarian Brazil: Origins, Policies... 미소장
393 “The New Professioinalism of Internal Warfare and Military Role Expension.” Abraham F. Lowenthl ed, Armies and Politics in Latin... 미소장
394 “The Armies of the Great Powers.” (London, 1859). 미소장
395 Das Militarische Wei buch Deutchlands(1994) 미소장
396 Dept, of U.S. Army. A Review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officers(RETO) (Washington, D.C.; USGPO, June 1978, p.Ⅲ-3. 미소장
397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Armed Forces in Korea 3. 미소장
398 53 미소장
399 57 미소장
400 86 미소장
401 88 미소장
402 91 미소장
403 103 미소장
404 111 미소장
405 HQ USAFIK. “Report of proceeding of Board of Officers.” (1945. 11. 18.) 미소장
406 “Final Report of General Maddox, Chief KMAG 1954” (1954. 10. 16.) RG 550, Entry 1-a(1) Box 44. 미소장
407 “Population Representation in the Military Services.” Office of the under Secretary of defence, personnel and readiness(2011) 미소장
408 “Quaterly Historical Summary(U): Office of the Senior Personnel/Adjustant General Advisor, ROKA, January-March 1965.” (1965. 4.... 미소장
409 U.S. Army Reserve Officer‘s Training Corps.(2012) 미소장
410 U.S. Dept. of the Army, RETO, P.Ⅲ-10. 미소장
411 U.S. National Defense Annual Report(2002) 미소장
412 The Ruling Elites: Elite Theory, Power and American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