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10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3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15
제2장 기존문헌고찰 및 이론적 배경 18
제1절 인디음악 18
1. 인디음악의 정의 및 특징 18
2. 인디음악의 전개 20
제2절 하위문화 이론 23
1. 이데올로기, 헤게모니 24
1) 대중문화와 이데올로기 24
2) 대중문화와 헤게모니 25
2. 동시대문화연구소(CCCS)의 하위문화 연구 27
3. 딕 헵디지(Dick Hebdige)의 하위문화 이론 29
1) 딕 헵디지(Dick Hebdige)의 하위문화 연구 29
2) 하위문화의 특징 30
3) 합병의 두 형태 32
제3절 인디음악과 하위문화 34
제3장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36
제1절 연구문제 36
제2절 연구방법 38
1. 사례연구방법 38
2. 사례선정 40
제4장 연구분석 42
제1절 2000년대 후반, 한국사회와 대중음악의 지배 이데올로기 42
1. 2000년대 후반, 한국 사회의 지배 이데올로기 42
1) 새로운 정부 42
2) 88만원 세대, 삼포세대 43
3) 양극화, 빈부격차 44
2. 2000년대 후반, 한국 대중음악의 지배 이데올로기 45
1) 아이돌(idol) 스타 45
2) 디지털 음반(음원) 46
제2절 '장기하와 얼굴들'과 '십센치'에 나타나는 하위문화 특징 47
1. '장기하와 얼굴들'에 나타나는 하위문화 특징 47
1) 음악-사운드 47
2) 음악-가사 50
3) 제작 방식 55
4) 무대 58
2. '십센치'에 나타나는 하위문화 특징 60
1) 음악-사운드 60
2) 음악-가사 62
3) 제작 방식 66
4) 무대 68
3. 소결 70
제3절 '장기하와 얼굴들'과 '십센치'의 주류로의 합병과정 72
1. '장기하와 얼굴들'의 주류로의 합병과정 73
1) 출판물 73
2) TV 프로그램 75
2. '십센치'의 주류로의 합병과정 83
1) 출판물 83
2) TV 프로그램 84
3. 소결 90
제5장 결론 93
제1절 연구의 요약 및 의의 93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97
참고문헌 98
ABSTRACT 106
〈그림 2-1〉 대중문화와 이데올로기 25
〈그림 2-2〉 대중문화와 헤게모니 27
〈그림 2-3〉 하위문화의 생성 29
〈그림 4-1〉 '장기하와 얼굴들'의 〈싸구려 커피〉 도입부 악보 48
〈그림 4-2〉 '장기하와 얼굴들' 싱글 앨범 [싸구려 커피] 제작 과정 56
〈그림 4-3〉 '장기하와 얼굴들' 뮤직비디오 57
〈그림 4-4〉 장기하와 '미미시스터즈' 59
〈그림 4-5〉 '십센치' 무대 69
〈그림 4-6〉 '유재석과 면상들'의 무대 76
〈그림 4-7〉 〈무한도전〉 속 '장기하와 얼굴들' 영상 이미지 78
〈그림 4-8〉 〈유희열의 스케치북〉 속 '장기하와 얼굴들' 영상 이미지 80
〈그림 4-9〉 〈뮤직뱅크〉 속 '장기하와 얼굴들' 영상 이미지 82
〈그림 4-10〉 〈무한도전〉 속 '십센치' 영상 이미지 85
〈그림 4-11〉 〈유희열의 스케치북〉 속 '십센치' 영상 이미지 87
〈그림 4-12〉 〈뮤직뱅크〉 속 '십센치' 영상 이미지 89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