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서울 도시한옥의 적응태 = Adaptation type of urban-Hanok in Seoul / 정기황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5.8
청구기호
TD 690 -15-483
형태사항
xiv, 252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558160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2015.8. 지도교수: 송인호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2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1

제2절 연구의 대상 및 방법 24

제3절 선행연구 및 개념 정의 27

1. 선행연구 분석 27

2. 개념 정의 30

제2장 도시의 확장과 도시한옥 입지(立地)변화 35

제1절 한양의 자연발생적 도심주거지 '서촌' 50

1. 자연발생적으로 도시화된 주거지(1894년 이전) 50

2. 근대적 도시계획을 통한 일본인 '근린주거지역'으로 개발(1894~1962년) 58

3. 도로의 확폭과 고밀(高密)의 도심으로 변화(1962~1980년) 68

4. 자연발생적 주거지와 재개발(1980~2000년) 74

5. 한옥보존정책과 상업화·고급주거지로 변화(2000~현재) 76

제2절 경성의 대형필지 개발로 만들어진 도심주거지 '북촌' 81

1. 대형필지의 사대부 주거지(1894년 이전) 81

2. 대형필지의 분할로 개발된 가회동(1894-1962년) 81

3. 주택난과 한옥보존제도(1962-1980년) 92

4. 도시한옥주거지의 개발(1980-2000년) 93

5. 한옥보존제도로 '관광지화', '고급주거지화' 된 북촌(2000년-현재) 98

제3절 경성의 도시계획에 의한 도외주거지 '돈암지구' 103

1. '조선시가지계획령'과 '돈암지구'(1894-1962년) 103

2. '보문로'의 상업화(1962-1980년) 114

3. 다가구·다세대 개발에 적합한 필지(1980-2000년) 116

4. 계속되는 다세대·다가구의 개발과 근린상업화(2000년-현재) 125

제4절 서울의 주택난 해소를 위해 계획된 교외주거지 '청량리' 129

1. 서울의 확장과 교통의 발달로 만들어진 청량리(1962년 이전) 129

2. 경제개발계획과 개량주택 건설(1962-1980년) 136

3. 시장의 발달과 도시한옥주거지의 변화(1980-2000년) 141

4. 도시한옥주거지의 시장화(2000-현재) 147

제5절 소결: 도시한옥밀집지역의 입지조건과 도시한옥과의 상관성 151

제3장 서울 도시한옥의 적응태(適應態) 163

제1절 '생활방식 변화' 적응태 171

1. 현대적 생활 수용을 위한 '수납공간 확장' 171

2. 생활 동선의 편리를 위한 '공간의 연결' 183

3. 거실개념(LDK) 등 새로운 주거개념 도입에 의한 '거실 중심형 적응태' 191

제2절 기술 발달에 의한 적응태 201

1. 새로운 주택 인프라(난방, 수도 등)의 변화에 의한 '마당입면 변화형 적응태' 201

2. 새로운 재료 개발에 의한 '마당 내부화 적응태' 209

3. 새로운 부자재 개발에 의한 '대공간화 적응태' 217

제3절 제도 도입에 의한 적응태 225

1. 다가구법에 의한 셋집구조로서의 '채 분리형 적응태' 225

2. 다가구법에 의한 셋집구조로서의 '채 분리' 적응태 사례 228

3. 다가구법의 주거지역 내 상업허용에 의한 "결합형 적응태" 232

4. 한옥보존정책에 의한 고급주거로서의 "초기형 지향" 240

5. 한옥보존제도에 의한 새로운 공간 확장을 위한 '입지 활용형 적응태' 247

제4절 연구에 대한 논의(論議) 253

제4장 결론 259

참고문헌 261

ABSTRACT 269

표 1-1. 시기별 한옥관련 논문발표 수 27

표 1-2. 시기별 한옥관련 논문의 대상 및 범위 28

표 1-3. 논문의 체계 개념도 34

표 2-1. 도시한옥의 변화조건에 의한 시기구분 연표 36

표 2-2. 조선 후기 한성부의 인구 변화와 호당 인구수 37

표 2-3. 1911년 서울 주민의 직업구성 41

표 2-4. 서울의 인구 변화와 호당 인구수 43

표 2-5. 근대2기 서울의 인구 변화와 호당 인구수 44

표 2-6. 현대기 서울의 인구 변화와 호당 인구수 46

표 2-7. 가전기기 보급률 47

표 2-8. '역사문화도시 서울의 한옥선언'의 필요성과 기대효과 48

표 2-9. 현대기 서울의 인구 변화와 호당 인구수 49

표 2-10. 서촌지역 관련 도시계획 연표 58

표 2-11. 1917년 영업세의 지역별·민족별 납세현황(논문의 대상지역 내) 61

표 2-12. 1917년 한상 및 일상 점포의 지역별 분포 61

표 2-13. 가회동 개발업자과 토지주의 변화 관계 86

표 2-14. 가회동 인구변화추이 93

표 2-15. 북촌 관련 법제도 및 정책 98

표 2-16. 북촌의 변화진단 및 전망 99

표 3-1. 지역별·시간별 도시한옥 적응태의 양상 166

표 3-2. 종로구 누하동 10-7번지(1989) 181

표 3-3. 종로구 가회동 11-39번지(1986) 182

표 3-4. 동대문구 용두동 102-37번지(1989) 182

표 3-5. 사례 1 : 종로구 누하동 226번지(2010년) 189

표 3-6. 성북구 동소문동4가 108번지(2006) 190

표 3-7. 성북구 동소문동4가 108번지(1989) 190

표 3-8. 종로구 누하동 144-3번지(2010) 199

표 3-9. 종로구 가회동 11-131번지(2006) 199

표 3-10. 성북구 안암동2가 26번지(2012) 200

표 3-11. 종로구 체부동 153-6번지(2010) 207

표 3-12. 종로구 가회동 11-46번지(1990's) 207

표 3-13. 동대문구 제기동 897-8번지(2012) 208

표 3-14. 종로구 가회동 11-47번지(1990's) 215

표 3-15. 성북구 안암동2가 17번지(2012) 215

표 3-16. 동대문구 제기동 897-10번지(2012) 216

표 3-17. 사례 1 : 종로구 체부동 166-1번지(2010) 223

표 3-18. 사례 2 : 종로구 가회동 11-103번지(1990's) 223

표 3-19. 사례 3 : 성북구 동소문동1가 129번지(2006) 224

표 3-20. 종로구 가회동 11-46번지(1990's) 231

표 3-21. 동대문구 용두2동 102-93번지(1989) 231

표 3-22. 종로구 체부동 85-1번지(2006) 237

표 3-23. 동대문구 제기동 774번지(2012) 238

표 3-24. 동대문구 제기동 846-12번지(2012) 239

표 3-25. 종로구 가회동 11-47번지(2006) 245

표 3-26. 종로구 가회동 11-91번지(2006) 245

표 3-27. 종로구 가회동 11-131번지(2006) 245

표 3-28. 종로구 누하동 226번지(2010) 251

표 3-29. 종로구 가회동 11-16번지(2006) 251

표 3-30. 종로구 가회동 11-44번지(2006) 252

그림 1-1. 서울의 확장과 논문대상지역 24

그림 1-2. 논문대상지역의 한옥분포도 25

그림 1-3. 도시한옥 적응 예시1 31

그림 1-4. 도시한옥 순응 예시1) 31

그림 1-5. 도시한옥 적응 예시2 31

그림 1-6. 도시한옥 순응 예시2 31

그림 2-1. 서울, 도시 확장의 변천도 35

그림 2-2. 도성도(都城圖), 조선후기(19세기 전반), 규장각 소장 37

그림 2-3. 경기형 '웃방꺾음집'과 중부형 '부엌꺾음집' 38

그림 2-4. 상류주택의 규범에 따른 민가의 공간구성 38

그림 2-5. 맹씨행단 40

그림 2-6. 향단 40

그림 2-7. 연경당 40

그림 2-8. 복덕방-부동산중개업 42

그림 2-9. 부엌개선사례 42

그림 2-10. 건양사 한옥 분양광고 42

그림 2-11. 경제개발계획과 우리의 살림살이 44

그림 2-12. 절충식가옥 44

그림 2-13. 2008년 서울시 한옥선언 48

그림 2-14. 종로구 가회동 31번지 일대 48

그림 2-15. 종로구 삼청동 일대 48

그림 2-17. 조선시대 서촌지역 51

그림 2-18. 청풍계, 겸재 정선(1676~1759) 51

그림 2-19. 자수궁교 51

그림 2-20. 1890년대 광화문 일대 전경사진 52

그림 2-21. 서촌지역 입지조건에 따른 도로와 필지구조 다이어그램 53

그림 2-22. 1910년대 누상·누하동 일대 지적도 54

그림 2-23. 1910년대 체부동 일대 지적도 50

그림 2-24. 옥호정 배치도 55

그림 2-25. 옥호정도(玉壺亭圖), 1815년 추정. 55

그림 2-26. 한규설대감가, 1890년대 한옥 55

그림 2-27. 중부형 민가의 배치유형 55

그림 2-28. 서촌지역의 도시한옥 초기형 추정 평면도 57

그림 2-29. 자하문 길 주변지역의 도시한옥 적응 다이어그램 62

그림 2-30. 금천시장 길 주변지역의 도시한옥 적응 다이어그램 63

그림 2-31. 옥류동 물길 주변지역의 도시한옥 적응 다이어그램 64

그림 2-32. 1930년대 서촌지역 전경사진 65

그림 2-33. 1910년대 서촌지역 도로와 필지구조 다이어그램 65

그림 2-34. 1930년대 서촌지역 도로와 필지구조 다이어그램 65

그림 2-35. 1920년대 누상·누하동 일대 지적도 66

그림 2-36. 1920년대 체부동 일대 지적도 66

그림 2-37. 1930년대 누상·누하동 일대 지적도 66

그림 2-38. 1930년대 체부동 일대 지적도 66

그림 2-39. 1940년대 누상·누하동 일대 지적도 67

그림 2-40. 1940년대 체부동 일대 지적도 67

그림 2-41. 자하문 길 주변지역의 도시한옥 적응 다이어그램 68

그림 2-42. 금천시장 길 주변지역의 도시한옥 적응 다이어그램 69

그림 2-43. 통인시장 길 주변지역의 도시한옥 적응 다이어그램 71

그림 2-44. 경복궁 일대 72

그림 2-45. 자하문로 확폭 이후의 적선동, 내자동 일대 72

그림 2-46. 1960년대 누상·누하동 일대 지적도 73

그림 2-47. 1960년대 체부동 일대 지적도 73

그림 2-48. 1960-70년대 서촌지역 도로와 필지구조 다이어그램 74

그림 2-49. 1980-90년대 서촌지역 도로와 필지구조 다이어그램 74

그림 2-50. 1990년대 체부동동 항공사진 74

그림 2-51. 1980년대 서촌지역 도시한옥 평면(1989) 75

그림 2-52. 2000년대 서촌지역 도로와 필지구조 다이어그램 76

그림 2-53. 2000년대 서촌지역 도시한옥 평면도(2006) 77

그림 2-54. 2000년대 누상·누하동 항공사진 78

그림 2-55. 2000년대 체부동 항공사진 78

그림 2-56. 2010년대 누상·누하동 항공사진 78

그림 2-57. 2010년대 체부동 항공사진 78

그림 2-58. 2010년대 서촌지역 도시한옥 평면도(2010) 79

그림 2-61. 조선시대 북촌지역 81

그림 2-62. 옥호정도(玉壺亭圖), 1815년 추정. 81

그림 2-63. 가회동 대형필지 도시한옥주거지 개발당시의 토지와 토지주 현황 82

그림 2-64. 북촌지역 입지조건에 따른 도로와 필지구조 다이어그램 85

그림 2-65. 가회동 1, 11, 31, 33번지 시기별 개발현황 87

그림 2-66. 1936년 이전 북촌지역 도로와 필지구조 다이어그램 80

그림 2-67. 1930년대 북촌지역 도로와 필지구조 다이어그램 80

그림 2-68. 1940년대 북촌지역 도로와 필지구조 다이어그램 88

그림 2-69. 1910년대 가회동 일대 지적도 89

그림 2-70. 1920년대 가회동 일대 지형도 89

그림 2-71. 1930년대 가회동 일대 지적도 89

그림 2-72. 1960년대 가회동 일대 항공사진 89

그림 2-73. 가회동11번지 지형과 도시한옥 유형 모델링 90

그림 2-74. 북촌지역의 도시한옥 초기형 추정 평면도 91

그림 2-75. 가회동 11번지 공동주택 계획안 94

그림 2-76. 1980-90년대 북촌지역 도로와 필지구조 다이어그램 94

그림 2-77. 1980년대 가회동 일대 항공사진 94

그림 2-78. 1990년대 가회동 일대 항공사진 94

그림 2-79. 1980년대 북촌지역 도시한옥 평면도(1986) 96

그림 2-80. 1990년대 북촌지역 도시한옥 평면도 97

그림 2-81. 2000년대 북촌지역 도로와 필지구조 다이어그램 100

그림 2-82. 2000년대 가회동 일대 항공사진 101

그림 2-83. 2010년대 가회동 일대 항공사진 101

그림 2-84. 2000년대 북촌지역 도시한옥 평면도 102

그림 2-85. 조선시대 돈암지역 103

그림 2-86. 토막집 103

그림 2-87. 토막집 유형 2 103

그림 2-88. 토지구획정리사업(1965년 이후~1977년 10월 현재) 106

그림 2-89. 1936년 돈암지구 계획도 108

그림 2-90. 1950년대 돈암지구 전경사진 109

그림 2-91. 돈암지역 입지조건에 따른 도로와 필지구조 다이어그램 109

그림 2-92. 1920년대 보문동 일대 지형도 110

그림 2-93. 1930년대 보문동 일대 지적도 110

그림 2-94. 1940년대 보문동 일대 지적도 110

그림 2-95. 1960년대 보문동 일대 지적도 110

그림 2-96. 1940년대 돈암지역 개발초기 도로와 필지구조 다이어그램 112

그림 2-97. 돈암지역의 도시한옥 초기형 추정 평면도 113

그림 2-98. 1970년대 누상·누하동 항공사진 114

그림 2-99. 보문로 2층 한옥상가 모식도 114

그림 2-100. 보문로 2층 한옥상가 1 114

그림 2-101. 보문로 2층 한옥상가 2 114

그림 2-102. 보문로 2층 한옥상가 3 114

그림 2-103. 도로변의 빌딩개발(동소문동) 115

그림 2-104. 보문로변의 가로입면(2012) 115

그림 2-105. 보문로변 건물의 전후면 가로입면(2012) 115

그림 2-106. 1980-90년대 돈암지역 개발초기 도로와 필지구조 다이어그램 116

그림 2-107. 1980년대 누상·누하동 항공사진 117

그림 2-108. 1990년대 누상·누하동 항공사진 117

그림 2-109. 성북구 안암동2가 40번지 일대 전경사진(2012) 119

그림 2-110. 성북구 안암동2가 40번지 일대 가로입면 현황(2012) 119

그림 2-111. 돈암지역 안암동2가 40번지 일대의 1970-2010년대 변화 항공사진 120

그림 2-112. 돈암지역 안암동2가 40번지 일대(2013) 120

그림 2-113. 돈암지역 보문동7가 87번지 일대의 1970-2010년대 변화 항공사진 121

그림 2-114. 돈암지역 보문동7가 87번지 일대(2013) 121

그림 2-115. 돈암지역 정릉동 178-57번지 일대의 1970-2010년대 변화 항공사진 122

그림 2-116. 돈암지역 정릉동 178-57번지 일대(2013) 122

그림 2-117. 1980년대 돈암지역 도시한옥 평면도(1989) 123

그림 2-118. 2000년대 돈암지역 도시한옥 평면도(2006) 124

그림 2-119. 2000년대 돈암지역 개발초기 도로와 필지구조 다이어그램 125

그림 2-120. 2000년대 누상·누하동 항공사진 125

그림 2-121. 2010년대 누상·누하동 항공사진 125

그림 2-122. 돈암지역 동소문동6가 86번지 일대(2013) 126

그림 2-123. 돈암지역 동소문동6가 86번지 일대 가로입면(2013) 126

그림 2-124. 2012년대 돈암지역 도시한옥 평면도(2012) 127

그림 2-125. 조선시대 북촌지역 129

그림 2-126. 경춘선 성동역 129

그림 2-127. 1910년 청량리 129

그림 2-128. 청량리역 129

그림 2-129. 1920년대 제기동 일대 지형도 130

그림 2-130. 1920년대 용두동 일대 지형도 130

그림 2-131. 1930년대 제기동 일대 지적도 130

그림 2-132. 1930년대 용두동 일대 지적도 130

그림 2-133. 1940년대 제기동 일대 지적도 131

그림 2-134. 1940년대 용두동 일대 지적도 131

그림 2-135. 1960년대 제기동 일대 지적도 131

그림 2-136. 1960년대 용두동 일대 지적도 131

그림 2-137. 1940년대 제기동 일대 지적도 132

그림 2-138. 1960년대 제기동 일대 지적도 132

그림 2-139. 1934년 청량리 토지구획정리사업도 133

그림 2-140. 청량리 소나무길(1930's) 134

그림 2-141. 청량리역 앞(1935) 134

그림 2-142. 1961년 불타버린 청량리 시장 134

그림 2-143. 1963년 청량리 시장 134

그림 2-144. 철거 전, 청량리 지역 134

그림 2-145. 철거 후, 청량리 지역(1967) 134

그림 2-146. 1974년 지하철1호선 개통 136

그림 2-147. 1974년 지하철1호선 개통 136

그림 3-148. 1973년 폐선 된 경춘선 부지에 만들어진 주택 136

그림 2-149. 1970년대 제기동 일대 항공사진 138

그림 2-150. 1970년대 용두동 일대 항공사진 138

그림 2-151. 1980년대 제기동 일대 항공사진 138

그림 2-152. 1980년대 용두동 일대 항공사진 138

그림 2-153. 청량지역 입지조건에 따른 도로와 필지구조 다이어그램 139

그림 2-154. 1960년대 말 청량지역 개발초기 도로와 필지구조 다이어그램 139

그림 2-155. 청량지역의 도시한옥 초기형 추정 평면도 140

그림 2-156. 경동시장 현황도(2012, 동대문구 제기동) 141

그림 2-157. 1980-90년대 청량지역의 도로와 필지구조 다이어그램 143

그림 2-158. 1990년대 제기동 일대 항공사진 144

그림 2-159. 1990년대 용두동 일대 항공사진 144

그림 2-160. 2000년대 제기동 일대 항공사진 144

그림 2-161. 2000년대 용두동 일대 항공사진 144

그림 2-162. 1980년대 돈암지역 도시한옥 평면도(1989) 145

그림 2-163. 2000년대 돈암지역 도시한옥 평면도(2006) 146

그림 2-164. 2000년대 청량지역의 도로와 필지구조 다이어그램 147

그림 3-165. 청량리 청과물시장 일대 단면(도시한옥과 시장과의 관계) 147

그림 2-166. 2010년대 제기동 일대 항공사진 149

그림 2-167. 2010년대 용두동 일대 항공사진 149

그림 2-168. 2012년대 돈암지역 도시한옥 평면도(2012) 150

그림 2-169. 대상지역 개발방식 및 필지구획 151

그림 2-170. 중부형 민가의 배치유형 153

그림 2-171. 한규설대감가, 1890년대 한옥 153

그림 2-172. 경기형 민가 다이어그램 154

그림 2-173. 경기형 민가의 앙시도 154

그림 2-174. '튼 ㅁ'자형 도시한옥 다이어그램 156

그림 2-175. '튼 ㅁ'자형 도시한옥 앙시도 156

그림 2-176. 'ㄱ' + 'ㅡ'자형 도시한옥 다이어그램 157

그림 2-177. 'ㄱ' + 'ㅡ'자형 도시한옥 앙시도 157

그림 2-178. 'ㄱ'자형 도시한옥 다이어그램 158

그림 2-179. 'ㄱ'자형 도시한옥 앙시도 158

그림 2-180. 성북구 정릉동 178-57번지 일대 도시한옥 160

그림 2-181. 성북구 정릉동 372-20번지 일대 도시한옥 160

그림 2-182. 동대문구 제기동 일대 도시한옥 가로 160

그림 2-183. 동대문구 제기동 일대 도시한옥 대문 상부 160

그림 2-184. 동대문구 용두동 일대 도시한옥 160

그림 2-185. 동대문구 용두동 일대 도시한옥 대문 상부 160

그림 2-186. 동대문구 제기동 일대 도시한옥 대문 하부 160

그림 2-187. 동대문구 용두동 일대 도시한옥 대문 하부 160

그림 2-188. 'ㄷ'자형 도시한옥 1 다이어그램 161

그림 2-189. 'ㄷ'자형 도시한옥 1 앙시도 161

그림 2-190. 'ㄷ'자형 도시한옥 2 다이어그램 162

그림 2-191. 'ㄷ'자형 도시한옥 2 앙시도 162

그림 3-1. 대상지역 도시한옥의 적응과정 분석 다이어그램 165

그림 3-2. 연대별 '적응태'의 추이 변화 그래프 167

그림 3-3. 적응태별 비교 그래프 167

그림 3-4. 1980's '적응태' 비교 그래프 167

그림 3-5. 1990s '적응태' 비교 그래프 167

그림 3-6. 2000's '적응태' 비교 그래프 167

그림 3-7. 대지면적별 '적응태'의 추이 비교 그래프 168

그림 3-8. 지역별 '적응태'의 추이 비교 그래프 169

그림 3-9. 서촌지역 '적응태' 그래프 169

그림 3-10. 북촌지역 '적응태' 그래프 169

그림 3-11. 돈암지역 '적응태' 그래프 169

그림 3-12. 청량지역 '적응태' 그래프 169

그림 3-13. 수납 확장형 적응태 다이어그램 171

그림 3-14. 대청 처마하부공간의 책장 172

그림 3-15. 대청 처마하부공간의 싱크대 172

그림 3-16. 안방 처마하부공간의 수납장 172

그림 3-17. 안방 처마하부공간의 장롱 172

그림 3-18. 주택 마당 증축 수납공간 174

그림 3-19. 처마하부공간 화장실 174

그림 3-20. 주택 마당 증축 수납공간 174

그림 3-21. 처마하부공간의 화장실 및 욕실 174

그림 3-22. 누상동 지가 변동추이 175

그림 3-23. 가회동 지가 변동추이 175

그림 3-24. 보문동 지가 변동추이 175

그림 3-25. 제기동 지가 변동추이 175

그림 3-26. 가회동 부동산 변동추이 176

그림 3-27. 가회동 부동산 변동분석 176

그림 3-28. 돈암동(동소문동6가) 부동산 변동추이 176

그림 3-29. 체부동 부동산 변동분석 176

그림 3-30. 현대적 생활 수용을 위한 '수납공간 확장' 사례1 179

그림 3-31. 방 연결형 적응태 다이어그램 183

그림 3-32. 쪽마루 활용 184

그림 3-33. 쪽마루 활용 184

그림 3-34. 쪽마루의 활용 184

그림 3-35. 도시한옥의 쪽마루 184

그림 3-36. 도시한옥의 쪽마루 184

그림 3-37. 툇마루 활용 184

그림 3-38. 5량 지붕구조 184

그림 3-39. 1고주 5량 구조 184

그림 3-40. 민영휘 가옥(현 인사동 민가다헌), 건축가 박길룡 185

그림 3-41. 입식부엌, 건축가 박길룡 185

그림 3-42. 생활 동선의 편리를 위한 '공간의 연결' 사례1 187

그림 3-43. 거실 중심형 적응태 다이어그램 191

그림 3-44. 철골확장 사례1의 철골 세부 사진(2012, 동대문구 제기동) 193

그림 3-45. 철골확장 사례1의 철골 세부 사진(2012, 동대문구 제기동) 193

그림 3-46. 거실개념(LDK) 등 새로운 주거개념 도입에 의한 '거실 중심화' 사례1 197

그림 3-47. 마당입면 변화형 적응태 다이어그램 201

그림 3-48. 부엌과 다락 입면 202

그림 3-49. 부엌과 다락 입면 202

그림 3-50. 부엌과 다락 입면 202

그림 3-51. 부엌 입면 202

그림 3-52. 개량부엌 202

그림 3-53. 주방 싱크대 202

그림 3-54. 새로운 주택기반시설 개발에 의한 '마당구성 변화' 사례1 205

그림 3-55. 마당 내부화 적응태 다이어그램 209

그림 3-56. 서촌지역 지붕사진(2006) 210

그림 3-57. 북촌지역 지붕사진(2012) 210

그림 3-58. 돈암지역 지붕사진(2012) 211

그림 3-59. 청량지역 지붕사진(2012) 211

그림 3-60. 새로운 부재재 개발에 의한 '마당 내부화' 사례1 213

그림 3-61. 대공간화 적응태 다이어그램 217

그림 3-62. 철골확장 사례1의 공사 전경사진(2012, 동대문구 제기동) 218

그림 3-63. 철골확장 사례1의 철골 세부 사진(2012, 동대문구 제기동) 218

그림 3-64. 철골확장 사례2의 공사 전경사진(2012, 동대문구 제기동) 218

그림 3-65. 철골확장 사례2의 철골 세부 사진(2012, 동대문구 제기동) 218

그림 3-66. 종로구 관훈동 누리(음식점) 219

그림 3-67. 종로구 가회동 이믿음치과(병원) 219

그림 3-68. 종로구 숭인동 도담도담 한옥도서관(도서관) 219

그림 3-69. 종로구 소격동 학고재(전시) 219

그림 3-70. 새로운 구조재 개발에 의한 '마당의 통합공간화' 221

그림 3-71. 채 분리형 적응태 다이어그램 225

그림 3-72. 다가구법에 의한 셋집구조로서의 '채 분리' 229

그림 3-73. 결합형 적응태 다이어그램 232

그림 3-74. 한옥의 상업적 유형 233

그림 3-75. 1930년대 한옥상가 모습 233

그림 3-76. 2층 상가한옥 233

그림 3-77. 종로구 원서동 궁중음식연구원(음식점) 233

그림 3-78. 내외부 사진 234

그림 3-79. 1936년 폐쇄지적도 234

그림 3-80. 다가구법에 의한 주거지역 내 상업시설 허용에 의한 '채 결합' 사례1 235

그림 3-81. 토속촌 지붕전경 237

그림 3-82. 토속촌 입구와 내부통로 237

그림 3-83. 토속촌 마당부분 지붕 237

그림 3-84. 청량리 주상복합 도시한옥 생활양태 평면도(2012, 동대문구 제기동) 239

그림 3-85. 청량리 주상복합 도시한옥 생활양태 단면도(2012, 동대문구 제기동) 239

그림 3-86. 초기형 지향형 적응태 다이어그램 240

그림 3-87. 한옥보존정책에 의한 고급주거지로서의 '초기형 지향' 사례1 243

그림 3-88. 입지 활용형 적응태 다이어그램 247

그림 3-89. 지하실과 다락 247

그림 3-90. 처마하부 지하 계단 247

그림 3-91. 툇칸부분 지하계단 247

그림 3-92. 한옥보존정책에 의한 초기형에서의 공간 확장을 위한 '새로운 공간 개발' 249

초록보기 더보기

 전통은 만들어진 것이다. 즉 전통은 고정불변의 법칙이 아니다. 한옥 또한 고정된 형태나 양식으로 정의되지 않는다. 한옥은 시대적 변화에 맞추어 오랜 시간 동안 다양한 방식으로 적응하며 현재 남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시한옥의 지속가능한 보존을 위해서는 거주자의 필요로 이루어진 적응과정에 대한 인정과 이를 바탕으로 한 방향성의 재설정이 필요하다. 서울의 도시한옥은 도시화 과정과 다양한 문화적 변화 속에서 전통적 주거양식의 고유성을 간직한 채 현재까지 약 100여 년을 지속해 온 서울의 중요한 전통적 주거양식이다.

이 연구는 현재까지 존속되어 온 서울의 대표적 도시한옥밀집지역인 '서촌', '북촌', '돈암', '청량리' 지역의 도시적 변화에 대한 역사적인 고찰과 각 지역의 기존 연구나 조사 자료 중에서 생활양태가 기록된 실측도면을 바탕으로 도시한옥 변화를 입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즉 도시한옥의 형태, 공간, 구조에 대한 형태적 기록인 '양식사적 연구'가 아닌 당시 시대적 조건과 거주자의 요구와 생활을 분석하는 '문화사(생활사)적 연구'이며, 시간적으로는 도시한옥에 누적된 층위를 분석하고 기록하는 '고고학적 연구'가 아닌, 변화 또는 영향 요소에 따라 도시한옥밀집지역과 도시한옥의 적응과정의 관계를 정리하는 '계보학적 연구'이다. 이런 분석을 통해 이 연구는 첫째, 거실개념, 입식생활, 위생개념 등의 도입에 따른 생활 방식 의 변화, 난방설비·수도설비·단열 및 방수 공법·유리·알루미늄·철골과 같은 신기술·신재료 등 기술의 발달, 주택관련 법제의 도입과 입지조건 등 도시적 변화에 의한 도시한옥의 '적응과정'을 입체적 분석을 통해 규명하였다. 둘째, 이를 통해 도시한옥에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도시한옥에 집적된 문화적 형태인 '적응태'를 찾아 도시한옥의 적응능력의 우수성과 적응방식을 밝히는 것이다.

생활방식변화·기술의 발달·법제도의 도입 등의 다양한 변화조건들에 의해 도시한옥이 적응해 온 결과는 크게 3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생활방식의 변화에 의한 적응태'이다. 이는 새롭게 생활에 필요하게 된 물건들을 담기 위한 공간을 만들고, 공간을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적응 양상이다. 이런 변화에 대한 도시한옥의 공간적 변화 양상은 수납공간을 확장하고, 동선을 내부화하여 거실을 복도로 연결하거나 공용공간을 중심공간화하여 실들을 연결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 발달에 의한 적응태'이다. 이는 새로운 재료, 구조재, 공법의 개발로 주로 마당으로 공간을 확장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이런 변화에 대한 도시한옥의 공간적 변형은 난방방식과 입식개념의 도입으로 부엌에서 주방으로 변화하였으며, 이는 다락이 사라지고, 대청이 거실로 바뀌면서 내부 마당의 입면을 변화시켰다. 또한 철제 물받이, 알루미늄 차양 등의 확장으로 마당 전체를 덮어 가는 방식으로 마당을 내부화하였으며, 상업화에 따른 대공간의 필요로 목재 기둥을 없애고 철골로 보를 만들어 내부공간과 내부마당을 통합해 대공간화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셋째, '법제도의 도입에 의한 적응태'이다. 주로 다가구법과 한옥보존제도 등에 의해 공간구조가 변화하는 양태로 나타난다. 이런 변화에 대한 도시한옥의 공간적 양태는 안채와 바깥채를 공간적으로 분리하고 바깥채를 셋집으로 구조화하였으며, 한옥보존제도 심의 등에 따라 도시한옥은 지어질 당시의 형태인 초기형에서 지하실이나 다락 등 새로운 공간을 만들며 공간적 구조를 변화시키는 양태로 변화하였다. 이렇게 다양한 사회적 조건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전통적 주거양식인 한옥의 기본적인 고유성을 유지하고 적응해 온 것이다. 이를 통해 '적응태'는 '가부장적인 가족제도, 가족중심형 가족제도 등의 생활문화방식', '보편적 기술의 발달, 주변지역 경제구조 변화 등의 사회·경제적조건', '법제도 도입' 등의 인문적 조건과 공간적 형태와의 입체적 상관관계를 가진 문화적 형태임을 규명하였다. 또한 도시한옥은 적응과정을 거치면서 일종의 생물학적 진화과정과 같은 '적응태'를 만들었으며, 도시한옥이 현재 환경에서 살아 갈 수 있는 생명력을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이 연구 결과로 볼 때, 도시한옥은 조선시대 또는 근대 이전의 양식을 고스란히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으며, 그대로 유지 할 수 없었음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많은 도시한옥이 그랬듯이, 도시적 변화에 적응하지 못할 경우에는 소멸되었기 때문이다. 즉 도시한옥은 입지조건, 생활방식 변화, 기술의 발달, 제도의 도입 등 다양한 문화적 조건들이 바뀔 때마다 능동적으로 적응을 거듭해 왔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시한옥의 중요성은 현재 진행형인 '적응'이라 할 수 있으며, 적응한 도시한옥 자체의 '형태'와 '의미'에 있다. 도시한옥의 '적응과정과 적응태'에 관한 이 연구는 기존의 형태적이고, 양식사적 연구보다 거주자의 실제 필요에 의한 변화와 생활문화로서 도시한옥을 바라볼 수 있는 연구로서 의미를 가진다. 즉 '도시한옥'의 가치는 '한옥 또는 도시한옥'이냐 아니냐의 형식적 판단보다는, 거주자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와 어떻게 적응해 왔는지에 대한 판단이 중요하며, 이는 다른 주거양식과의 구분을 위한 '배타적 가치'가 아닌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는 '차이적 가치'를 찾는데 있다. 이 속에서 '한옥 또는 도시한옥'의 전통적 주거로서의 가치의 규정과 정의가 되어야만, 도시한옥이 전통적 주거로서 앞으로도 계속 이어져 내려갈 수 있을 것이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