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유료방송시장에 대한 세 가지 실증분석 = Three empirical analyses of the Korea pay television market / 곽은경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5.8
청구기호
TD 330 -15-201
형태사항
vii, 92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558133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2015.8. 지도교수: 성낙일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케이블TV 시장에서의 수직결합과 채널 송출 및 구성 14

제1장 서론 14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4

제2절 선행 실증연구 17

제2장 케이블TV 시장에서의 수직결합과 채널 송출 및 구성 현황 22

제1절 케이블TV 시장에서의 수직결합 현황 22

제2절 각 MSO별 PP 채널송출 현황 25

제3절 각 MSO별 PP 채널구성 현황 27

제3장 분석방법과 결과 28

제1절 분석방법 28

1. 분석모형 및 추정방법 28

2. 설명변수 29

제2절 분석결과 32

1. 분석자료 32

2. 추정결과 34

제4장 결론 38

참고문헌 40

II. IPTV VOD 이용행태와 통합시청률 43

제1장 서론 43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43

제2절 우리나라 통합시청률 추진 계획과 논쟁점 45

1. 우리 정부의 통합시청률 추진계획 45

2. 통합시청률을 둘러싼 논쟁점 46

제2장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48

제1절 연구문제 48

제2절 연구방법 50

1. 분석방법1: VOD 이용률과 본방 시청률과의 상관관계 50

2. 분석방법2: 1주차 VOD 시청률 포함의 타당성 51

3. 분석자료 52

제3장 연구결과 54

제1절 VOD 시청률의 통합시청률 포함 여부 54

1. 본방 시청률과 VOD 이용률 간 비교 54

2. 본방 시청률과 VOD 이용률 간 상관분석 56

제2절 1주차 VOD 시청률 포함의 타당성 59

1. 주별 VOD 시청실적 분석 59

2. 회귀모형 추정결과 61

제4장 결론 62

참고문헌 64

부록 67

III. IPTV VOD 이용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70

제1장 서론 70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70

제2절 선행연구 검토 71

1. 뉴미디어와 도입과 기존 매체의 관계 72

2. 방송 프로그램의 창구효과 73

3. TV 프로그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75

제2장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77

제1절 연구문제 77

제2절 연구방법 78

1. 분석모형 78

2. 분석자료 79

제3장 연구결과 81

제1절 요약통계량 81

제2절 다운로드 건수 및 시간 84

1. 시청률과 다운로드 건수/시간 간 상관분석 84

2. 시청률과 구간별 VOD 이용시간 간 상관분석 84

3. 변수별/기간별 VOD 평균 시청시간 86

제3절 회귀분석결과 89

1. 다운로드 시간을 종속변수로 설정한 경우 89

2. 몰입도 지수를 종속변수로 설정한 경우 92

제4장 결론 95

참고문헌 98

ABSTRACT 103

〈표 I-1〉 MSP별 SO와 PP 현황 23

〈표 I-2〉 MSP별 SO/PP 숫자 및 매출액 변동추이 24

〈표 I-3〉 MSO별 수직결합 PP 및 경쟁 PP의 송출비율 26

〈표 I-4〉 PP 유형별 의무전송채널 비율과 평균 시청률 26

〈표 I-5〉 MSO/PP그룹별 채널번호 평균 27

〈표 I-6〉 의무전송채널 내역 31

〈표 I-7〉 요약통계량 33

〈표 I-8〉 추정결과 37

〈표 II-1〉 방송사별 분석대상 프로그램 수 53

〈표 II-2〉 주별 VOD 총 시청시간의 점유비중 54

〈표 II-3〉 본방 시청률과 VOD 이용률 비교 56

〈표 II-4〉 방송사별 본방 시청률과 VOD 이용률 간 상관계수 57

〈표 II-5〉 장르별 본방 시청률과 VOD 이용률 간 상관계수 58

〈표 II-6〉 시청률별 본방 시청률과 VOD 이용률 간 상관계수 58

〈표 II-7〉 주별 VOD 시청시간 간 상관계수 60

〈표 II-8〉 장르별 회귀모형 추정결과 61

〈표 II-9〉 기간 구분별 회귀모형 추정결과 61

〈부록 표 II-1〉 방송프로그램별 통합/합계/VOD 이용률 순위 67

〈표 III-1〉 분석대상 방송프로그램 수 80

〈표 III-2〉 요약통계량 83

〈표 III-3〉 시청률과 다운로드 건수/시간 간 상관계수 84

〈표 III-4〉 본방 시청률과 VOD 이용시간 간 상관계수 : 본방 시청률 기준 86

〈표 III-5〉 각 범주별 방송프로그램 당 평균 시청시간과 몰입도 88

〈표 III-6〉 추정결과: 종속변수 = VOD 시청시간 91

〈표 III-7〉 추정결과: 종속변수 = VOD 몰입도 94

〈그림 III-1〉 본방 후 경과일당 VOD 시청 건수 및 시간 변화추세 80

〈그림 III-2〉 본방 시청률과 VOD 이용률 간 산포도 85

초록보기 더보기

 방송시장은 기술발전에 따라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과거에는 원하는 프로그램의 시청을 위해 해당 프로그램이 편성된 시간대에 TV 앞을 지켜야 했으나,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TV시청의 시·공간적 제약이 사라졌다. 길을 가면서도 TV를 볼 수 있고 원하는 프로그램은 언제든 다시 시청할 수 있다. 특히 유선방송과 IPTV, 위성방송 등 유료방송의 시장변화가 주목할 만하다. 지상파3사의 본방 시청률보다 더 높은 시청률의 유료방송채널이 나오는가하면 IPTV로 다시보기를 이용하는 시청자들도 늘었다. 과거 지상파3사 중심의 시청행위와 대조되는 모습이다. 변화하는 유료방송시장의 현황을 확인하기 위해 이에 대한 실증연구를 진행했다.

본 연구는 세 가지 측면에서 유료방송시장에 대한 실증분석을 시행한 뒤 그 결과를 에세이로 구성했다. 각 에세이의 연구주제와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에세이는 2013년 2월 기준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 system operator)의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program provider) 채널번호 배정현황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종합유선방송에서 SO와 PP의 수직결합이 SO의 아날로그채널 송출 및 채널번호 배정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SO들이 자신과 수직계열관계에 있는 PP를 그렇지 않은 PP에 비해 송출할 확률이 더 높으며, 수직계열관계에 있으면서 송출된 PP들에게 평균적으로 낮은 채널번호를 부여한다는 결과를 확인했다. 이는 종합유선방송시장에서 SO와 PP의 수직결합이 경쟁관계에 있는 PP나 독립 PP들의 차별을 야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두 번째 에세이는 IPTV VOD(TV 다시보기) 시청행위를 통합시청률에 반영하는 것이 적절한지, 만약 그렇다면 어느 정도의 기간을 반영하면 좋을지 검토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3년 10월 23일부터 같은 해 11월 3일까지 2주간에 걸쳐 방영된 113개 방송프로그램에 대해, KT Olleh TV의 TV 다시보기에서 수집한 다운로드 횟수를 실적자료로 사용했다. 그 결과 방송프로그램의 본방송 시청률과 VOD 시청행태 간에는 상당한 괴리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방송통신위원회의 현행추진계획대로 VOD 시청행태를 통합시청률에 포함하는 것은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한편 VOD를 무료로 시청할 수 있는 기간 동안에는 유료로 시청해야하는 기간보다 외부충격의 효과가 오래 지속되었다. 이는 방송통신위원회의 현행추진계획에서처럼 1주차 VOD 시청기간만을 통합시청률에 합산할 경우 실제 시청자의 VOD 이용행태를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통합시청률에 홀드백 기간이 끝나는 4주차 시청행위를 반영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 에세이는 IPTV VOD가 기존의 실시간 방송을 보완하는지 혹은 대체하는지에 대한 실증분석이다. 시청률이 높을수록 VOD 이용시간이 많은 것으로 보아 IPTV VOD는 기존의 매체를 보완하는 기능을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시청률을 제곱한 변수의 회귀계수 추정값은 음의 값으로 시청률증가에 따른 VOD 이용증가폭은 점차 줄어든다. 시청률이 높은 프로그램일수록 실시간 시청과 VOD 이용이 경쟁관계를 형성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IPTV VOD 시청의 결정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청률, 방송사, 요일, 편성횟수, 방송시간, 방송등급, 장르 등의 변수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종속변수인 IPTV 이용횟수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했다. 방송사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SBS, MBC, KBS2, 기타방송사, KBS1 순으로 이용횟수가 많았으며, 주말편성 프로그램보다 주중편성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횟수가 많았다. 장르의 경우 드라마보다 연예오락, 시사교양 프로그램의 시청이 많았으며 매일 편성되는 프로그램의 VOD 이용횟수가 주1회, 주2회 편성되는 프로그램보다 많았다. 한편 방송시간대나 주말편성 더미 등 프로그램의 편성시간과 관련된 더미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