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이중언어 교육지원 과정에 참여한 중국 결혼이민자가정 어머니와 자녀의 어려움 및 변화 과정 / 이승숙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2
청구기호
TD 372.21 -15-533
형태사항
viii, 164, [19]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552118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2015.2. 지도교수: 배지희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논문개요

목차

I.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2. 연구문제 20

3. 용어의 정의 21

II. 이론적 배경 23

1. 결혼이민자가정의 현황 및 언어적 특성 23

1) 결혼이민자가정의 현황 23

2) 결혼이민자가정 자녀의 언어 발달특성 25

3) 중국 결혼이민자가정의 언어 환경 특성 27

2. 이중언어 교육 30

1)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관점 30

2) 이중언어 교육의 중요성 34

3) 이중언어 교육 방법 37

3. 국내 결혼이민자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지원 정책 현황과 문제점 46

1) 국내 결혼이민자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지원 정책 현황 46

2) 결혼이민자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지원의 문제점 48

III. 연구방법 50

1. 연구 참여자 50

1) 결혼이민자가정 어머니와 자녀 53

2) 연구자 60

2. 연구절차 62

1) 예비연구 62

2) 본 연구 67

3. 자료의 수집 74

1) 자료수집 방법 74

2) 자료의 종류 79

4. 자료 분석 81

5. 자료의 신뢰성 확보 방안 83

IV. 연구결과 및 해석 86

1. 어머니들이 자녀에게 이중언어 교육을 하면서 겪는 어려움 86

1)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어려움: 불안! 갈등! 86

2) 이중언어 사용에 대한 주위의 부정적인 시선: '차가운 시선으로 바라보다' 89

3) 자녀의 언어 환경 변화: '잊혀지는 어머니 모국어' 91

2. 이중언어 교육지원에 참여하는 과정에서의 어머니와 자녀의 경험 94

1) 소집단 부모 교육에 참여한 어머니의 경험: '나의 언어, 나의 권리' 94

2) 가정방문교육에 참여한 어머니와 자녀의 경험: '나의 언어를 찾아가기 위한 노력' 106

3) 모-자 놀이 활동에 참여한 어머니와 자녀의 경험: '삶 속에 녹아있는 두 언어의 발견' 122

3. 이중언어 교육지원 후에 나타난 어머니와 자녀의 변화 양상 128

1)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인식 재고 및 가족의 지원: '다시 찾은 나의 권리' 129

2)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지식과 정보 습득: '엄마로서의 새로운 도전' 133

3) 자녀의 균형적인 이중언어 발달: '두 언어 사이를 넘나들기' 137

4) 모-자 간 모어소통을 통한 자녀와의 원만한 관계 형성: '谢谢, 儿子!(아들아, 고마워!) vs 妈妈, 我爱你!(엄마, 사랑해요!)' 143

5)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정서적지지 및 정보 교환: '함께 소통하며 용기 북돋기' 148

V. 논의 및 결론 152

1. 논의 152

2. 결론 및 제언 172

참고문헌 176

ABSTRACT 190

〈표 1〉 결혼이민자가정 자녀의 연령별 현황 24

〈표 2〉 이중언어 발달을 촉진하는 12단계 42

〈표 3〉 국내 결혼이민자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지원 정책 47

〈표 4〉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인 배경(어머니) 52

〈표 5〉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인 배경(유아) 52

〈표 6〉 기초 요구 조사 내용 64

〈표 7〉 예비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65

〈표 8〉 이중언어 교육지원 내용 및 방법 68

〈표 9〉 소집단 부모교육 내용 71

〈표 10〉 동화 선정 기준 및 선정된 동화 72

〈표 11〉 선정된 동화 목록 72

〈표 12〉 모-자 놀이 활동 내용 73

〈표 13〉 개별면담 과정 및 내용 75

〈표 14〉 집단면담 과정 및 내용 77

[그림 1] 결혼이민자 연도별·국적별 현황 24

[그림 2] 이중언어 교육지원 과정 및 연구 과정 70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결혼이민자가정 어머니들이 자녀에게 이중언어를 교육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이며, 어머니와 자녀는 이중언어 교육지원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이중언어 교육지원 후에 나타나는 어머니와 자녀의 변화 양상은 어떠한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결혼이민자가정 어머니들이 자녀에게 이중언어를 교육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둘째, 중국 결혼이민자가정 어머니와 자녀는 이중언어 교육지원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가?

셋째, 이중언어 교육지원 후에 나타나는 중국 결혼이민자가정 어머니와 자녀의 변화 양상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2014년 3월 4일부터 7월 5일까지 경기도 G시에 거주하는 만 5세 자녀를 둔 중국 결혼이민자가정 어머니와 그들의 자녀 4쌍을 대상으로 이중언어 교육지원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이중언어 교육지원은 소집단 부모 교육 4회기, 가정방문교육 8회기, 모-자 놀이 활동 4회기를 포함하여 총 16회기로 진행되었다. 연구기간 중 개별면담 39회, 집단면담 2회를 포함한 총 41회 분의 면담자료와 16회분의 참여관찰 자료, 현장노트, 연구자 저널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범주화하고 의미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결혼이민자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이에 대한 인식과 정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들은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인식과 정보 부족으로 인하여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에 확신을 가지지 못한 채 갈등하고 있었다. 또한 중국 결혼이민자가정 어머니들은 주위 사람들의 어머니 모국어 사용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으로 인해 자녀에게 이중언어를 교육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즉, 어머니들은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신념을 가지고 있더라도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시어머니와 남편의 태도와 주위 사람들이 갖고 있는 어머니 나라에 대한 사회적 편견으로 인하여 자녀에게 이중언어를 교육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녀가 유아교육기관에 다니게 되면서 자녀의 언어 환경이 변화하게 되고 그로 인해 어려움이 더욱 가중되었다. 이와 같이 유아들은 유아교육기관에 다니기 시작하면서 어머니의 모국어 사용이 줄고 한국어 사용은 늘어나게 되어 어머니의 모국어가 감퇴되거나 소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결혼이민자가정 어머니와 자녀는 이중언어 교육지원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소집단 부모교육, 가정방문교육, 모-자 놀이 활동에 참여하였다. 어머니들은 소집단 부모교육에 참여하면서 이중언어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이론과 동화 읽기 방법, 동화책 및 교재 교구 제작 등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실제적인 지도 방법을 배울 수 있었다. 또한 가정방문교육에 참여한 어머니들은 자녀에게 이중언어를 직접 지도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들에 대해 전문가의 피드백을 받아 이를 수정하고 해결해 나가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 가정방문교육에 참여한 유아들은 이중언어 수업을 통해 연구자와 함께 이중언어 동화책을 읽고 이와 연계된 놀이 활동에 참여하였다. 또한 가정방문교육을 시작하기 전 유아들의 어머니 모국어 수준과 가정에서의 대화량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 모국어 수준이 다양하고 가정에서 어머니와의 대화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유아들은 어머니 모국어 수준을 고려하여 선정된 동화를 활용한 이중언어 수업을 받을 수 있었으며, 동화와 연계된 다양한 교재 교구를 통해 어머니 모국어에 흥미를 가지고 자연스럽게 습득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되었다. 모-자 놀이 활동에 참여한 어머니와 자녀들은 함께 모여 다양한 놀이와 체험 활동을 하면서 자녀들은 어머니 나라의 언어와 문화를 경험할 수 있었으며, 어머니들은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정보를 자국 어머니들과 공유하고 정서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셋째, 중국 결혼이민자가정 어머니들은 지원 과정을 통해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게 되었으며,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을 위해 가족들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스스로 모색하고 실천하게 되었다. 또한 아버지들은 자녀의 지원 과정을 통해 이중언어 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고 지지하게 되었다. 어머니들은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이론과 실제적인 지도 방법을 배우게 되면서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습득할 수 있었다. 주입식 교육이 아닌 이론과 실제로 진행 된 교육지원을 통해 어머니들은 스스로 문제에 대한 답을 찾아가거나 연구자의 피드백을 통해 잘못된 부분을 수정해나가고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는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이처럼 어머니들은 이중언어 교육지원 과정에 참여하면서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을 위한 역량이 강화되었고,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신념을 보다 확고히 하게 되었다.

유아들은 본 지원 과정을 통해 어머니 모국어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점차 균형적인 이중언어 발달을 보였다. 이처럼 균형적인 이중언어 발달로 인해 어머니와 자녀가 어머니 모국어로 소통할 수 있게 되어 어머니와 자녀의 긍정적인 관계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또한 어머니들은 지원 과정을 통해 스스로 자신의 중국식 어투를 교정해보고, 자녀와의 대화 방법을 배우면서 자녀와 좀 더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외에도 모-자 놀이 활동을 통해 자녀들은 어머니 나라의 언어와 문화를 어머니 나라의 사람들과 함께 공유 하고 경험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자녀들은 부모 나라의 두 언어와 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형성해 나갈 수 있었으며, 이중언어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들은 이중언어를 교육하면서 겪는 어려움을 서로 공감하면서 정서적으로 격려와 지지를 받을 수 있었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SNS)를 통해서 유아들은 어머니 모국어로 된 동화와 동요를 들으면서 어머니 모국어를 자주 접하게 되었고 어머니들은 보다 쉽게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고 이를 적용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중국 결혼이민자가정 어머니와 자녀들은 이중언어 교육지원과정에 참여하면서 긍정적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이처럼 결혼이민자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을 지원하는 것은 어머니의 모어양육을 지원하고 자녀의 이중언어 발달뿐만 아니라 이중 언어와 문화에 대한 정체성 형성에도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보다 지속적이고 장기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한 지원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