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장애노인의 건강체력 향상을 위한 특수체육 프로그램 분석 = (The)analysis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improvement of elderly with disability / 변정균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5.8
청구기호
TD 796.087 -15-2
형태사항
ix, 161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545416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특수체육전공, 2015.8. 지도교수: 김경숙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요약

목차

I. 서론 16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6

2. 연구문제 20

3. 용어의 정의 25

1) 장애노인 25

2) 건강체력 25

3) 특수체육(Adapted Physical Activity) 26

4. 연구의 제한점 26

II. 이론적 배경 28

1. 노인 및 장애노인의 특성 28

2. 뇌졸중 장애인의 특성 및 체력 33

3. 뇌졸중 장애노인의 건강체력과 특수체육 35

III. 연구 방법 42

1. 연구절차 42

1) 체계적 문헌고찰 42

2) 전문가 협의 43

3) 계층분석 43

2. 자료분석 44

1)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 44

2)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53

3) 계층분석(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54

3. 연구 참여자 선정 57

1) 전문가 검토를 위한 연구 참여자 57

2) 계층분석을 위한 연구 참여자 57

4. 조사도구 58

IV. 연구 결과 60

1. 뇌졸중 장애인의 건강체력 향상을 위한 건강체력 요인에 따른 운동유형 및 운동 프로그램의 체계적 문헌고찰 60

1) 상체근력 운동유형 및 운동 프로그램 60

2) 하체근력 운동유형 및 운동 프로그램 62

3) 심폐지구력 운동유형 및 운동 프로그램 69

4) 유연성 운동유형 및 운동 프로그램 72

5) 신체조성 운동유형 및 운동 프로그램 76

2. 보행 가능 뇌졸중 장애노인의 건강체력 향상을 위한 건강체력 요인에 따른 운동유형 및 특수체육 프로그램 구성요소 78

1) 상체근력 운동유형 및 특수체육 프로그램 구성요소 78

2) 하체근력 운동유형 및 특수체육 프로그램 구성요소 79

3) 심폐지구력 운동유형 및 특수체육 프로그램 구성요소 82

4) 유연성 운동유형 및 특수체육 프로그램 구성요소 83

5) 신체조성 운동유형 및 특수체육 프로그램 구성요소 84

3. 휠체어 사용 뇌졸중 장애노인의 건강체력 향상을 위한 건강체력 요인에 따른 운동유형 및 특수체육 프로그램 구성요소 85

1) 상체근력 운동유형 및 특수체육 프로그램 구성요소 85

2) 심폐지구력 운동유형 및 특수체육 프로그램 구성요소 87

3) 유연성 운동유형 및 특수체육 프로그램 구성요소 88

4) 신체조성 운동유형 및 특수체육 프로그램 구성요소 89

4. 보행 가능 뇌졸중 장애노인의 건강체력 향상을 위한 건강체력 요인, 운동유형, 특수체육 프로그램 우선순위 분석 90

1) 건강체력 요인 간 우선순위 분석 90

2) 운동유형 간 우선순위 분석 91

(1) 상체근력 운동유형 간 우선순위 91

(2) 하체근력 운동유형 간 우선순위 91

(3) 심폐지구력 운동유형 간 우선순위 92

(4) 유연성 운동유형 간 우선순위 93

(5) 신체조성 운동유형 간 우선순위 93

3)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분석 94

(1) 상체근력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94

(2) 하체근력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97

(3) 심폐지구력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101

(4) 유연성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102

(5) 신체조성 특수체육 프로그램 104

4) 보행 가능 뇌졸중 장애노인의 건강체력 향상을 위한 전체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106

5. 휠체어 사용 뇌졸중 장애노인의 건강체력 향상을 위한 건강체력 요인, 운동유형, 특수체육 프로그램 우선순위 분석 107

1) 건강체력 요인 간 우선순위 107

2) 운동유형 간 우선순위 분석 108

(1) 상체근력 운동유형 간 우선순위 108

(2) 심폐지구력 운동유형 간 우선순위 109

(3) 유연성 운동유형 간 우선순위 109

(4) 신체조성 운동유형 간 우선순위 110

3)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분석 111

(1) 상체근력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111

(2) 심폐지구력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113

(3) 유연성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115

(4) 신체조성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117

4) 휠체어 사용 뇌졸중 장애노인의 건강체력 향상을 위한 전체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119

V. 결론 및 제언 121

1. 결론 121

2. 제언 124

참고문헌 126

Abstract 137

부록 11

부록 1. 계층분석 설문지(보행 가능) 142

부록 2. 계층분석 설문지(휠체어 사용) 162

표 1. 장애노인의 구분 32

표 2. 전문가 검토를 위한 연구 참여자 특성 57

표 3. 계층분석을 위한 연구 참여자 특성 58

표 4. 계층분석 설문지 예시 59

표 5. 상체근력 운동유형 및 운동 프로그램 62

표 6. 하체근력 운동유형 및 운동 프로그램 67

표 7. 심폐지구력 운동유형 및 운동 프로그램 71

표 8. 유연성 운동유형 및 운동 프로그램 74

표 9. 신체조성 운동 프로그램 분석 77

표 10. 상체근력 운동유형 및 특수체육 프로그램 구성요소 78

표 11. 하체근력 운동유형 및 특수체육 프로그램 구성요소 80

표 12. 심폐지구력 운동유형 및 특수체육 프로그램 구성요소 82

표 13. 유연성 운동유형 및 특수체육 프로그램 구성요소 83

표 14. 신체조성 운동유형 및 특수체육 프로그램 구성요소 84

표 15. 상체근력 운동유형 및 특수체육 프로그램 구성요소 86

표 16. 심폐지구력 운동유형 및 특수체육 프로그램 구성요소 87

표 17. 유연성 운동유형 및 특수체육 프로그램 88

표 18. 신체조성 운동유형 및 특수체육 프로그램 구성요소 89

그림 1. 뇌졸중 장애노인의 건강체력 향상을 위한 특수체육 프로그램 분석 절차 44

그림 2. 체계적 문헌고찰 절차 46

그림 3. 상체근력 문헌고찰 절차 47

그림 4. 하체근력 문헌고찰 절차 48

그림 5. 근지구력 문헌고찰 절차 49

그림 6. 심폐지구력 문헌고찰 절차 50

그림 7. 유연성 문헌고찰 절차 51

그림 8. 신체조성 문헌고찰 절차 52

그림 9.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 절차 53

그림 10. 건강체력 요인, 운동유형, 특수체육 프로그램 구성요소 우선순위 도출 과정 56

그림 11. 건강체력 요인 간 우선순위 90

그림 12. 상체근력 운동유형 간 우선순위 91

그림 13. 하체근력 운동유형 간 우선순위 92

그림 14. 심폐지구력 운동유형 간 우선순위 92

그림 15. 유연성 운동유형 간 우선순위 93

그림 16. 신체조성 운동유형 간 우선순위 94

그림 17. 과제지향형 운동에 따른 상체근력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94

그림 18. 다양한 도구를 사용한 상지운동에 따른 상체근력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95

그림 19. 탄성밴드 운동에 따른 상체근력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96

그림 20. 수중운동에 따른 하체근력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97

그림 21.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운동에 따른 하체근력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98

그림 22. 점진적 저항운동에 따른 하체근력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99

그림 23. 탄성밴드 운동에 따른 하체근력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100

그림 24. 수중운동에 따른 심폐지구력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101

그림 25. 지상운동에 따른 심폐지구력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102

그림 26. 보조자와 스트레칭에 따른 유연성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103

그림 27. 스트레칭에 따른 유연성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103

그림 28. 수중운동에 따른 신체조성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104

그림 29. 복합운동에 따른 신체조성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105

그림 30. 보행 가능 뇌졸중 장애노인의 전체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106

그림 31. 건강체력 요인 간 우선순위 107

그림 32. 상체근력 운동유형 간 우선순위 108

그림 33. 심폐지구력 운동유형 간 우선순위 109

그림 34. 유연성 운동유형 간 우선순위 110

그림 35. 신체조성 운동유형 간 우선순위 110

그림 36. 과제지향형 운동에 따른 상체근력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111

그림 37. 다양한 도구를 사용한 상지운동에 따른 상체근력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112

그림 38. 탄성밴드 운동에 따른 상체근력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113

그림 39. 수중운동에 따른 심폐지구력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114

그림 40. 지상운동에 따른 심폐지구력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115

그림 41. 보조자와 스트레칭에 따른 유연성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116

그림 42. 스트레칭에 따른 유연성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116

그림 43. 수중운동에 따른 신체조성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117

그림 44. 복합운동에 따른 신체조성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118

그림 45. 휠체어 사용 뇌졸중 장애노인의 전체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119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장애노인의 건강체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건강체력 요인, 운동유형, 특수체육 프로그램의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뇌졸중 장애노인이 우선순위에 따라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외 뇌졸중 장애인을 대상으로 건강체력 요인에 따른 운동유형 및 운동 프로그램과 관련된 문헌들을 수집하였으며,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을 통하여 뇌졸중 장애인의 건강체력 요인에 따른 운동유형 및 운동 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문헌분석을 통해 도출된 내용을 토대로 전문가 협의를 하였으며, 뇌졸중 장애노인의 대상에 적합하게 수정·보완하였다. 뇌졸중 장애노인은 보행 가능 뇌졸중 장애노인과 휠체어 사용 장애노인으로 분류하였다. 보행 가능 뇌졸중 장애노인의 건강체력 요인은 상체근력, 하체근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신체조성으로 구성하였고, 휠체어 사용 뇌졸중 장애노인은 상체근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신체조성으로 구성하였다. 전문가 협의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건강체력 요인, 운동유형, 특수체육 프로그램의 우선순위를 분석하기 위해서 계층분석(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실시하였다. 계층분석(AHP)에는 특수체육 및 노인체육전공 석·박사급 연구원 15명의 전문가가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뇌졸중 장애인의 건강체력 향상을 위한 건강체력 요인에 따른 운동유형 및 운동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상체근력 운동유형 4개, 운동 프로그램 21개로 분석되었다. 하체근력 운동유형 11개, 운동 프로그램 41개로 분석되었다. 심폐지구력 운동유형 5개, 운동 프로그램 21개로 분석되었다. 유연성 운동유형 5개, 운동 프로그램 6개로 분석되었다. 신체조성 운동유형 3개, 운동프로그램 18개로 분석되었다.

둘째, 보행 가능 뇌졸중 장애노인의 건강체력 향상을 위한 건강체력 요인에 따른 운동유형 및 특수체육 프로그램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상체근력 운동유형 3개, 특수체육 프로그램 14개로 구성되었다. 하체근력 운동유형 4개, 특수체육 프로그램 21개로 구성되었다. 심폐지구력 운동유형 2개, 특수체육 프로그램 8개로 구성되었다. 유연성 운동유형 2개, 특수체육 프로그램 6개로 구성되었다. 신체조성 운동유형 2개, 특수체육 프로그램은 9개로 구성되었다.

셋째, 휠체어 사용 뇌졸중 장애노인의 건강체력 향상을 위한 건강체력 요인에 따른 운동유형 및 특수체육 프로그램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상체근력 운동유형 3개, 특수체육 프로그램 14개로 구성되었다. 심폐지구력 운동유형 2개, 특수체육 프로그램 7개로 구성되었다. 유연성 운동유형 2개, 특수체육 프로그램 5개로 구성되었다. 신체조성 운동유형은 2개, 특수체육 프로그램 9개로 구성되었다.

넷째, 보행 가능 뇌졸중 장애노인의 건강체력 향상을 위한 건강체력 요인, 운동유형, 특수체육 프로그램 우선순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강체력 요인 간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심폐지구력(33.3%) 요인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운동유형 간 우선순위 분석은 다음과 같다. 상체근력 운동유형 간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과제지향형 운동(54.8%)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하체근력 운동유형 간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수중운동(47.2%)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심폐지구력 운동유형 간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수중운동(76.3%)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유연성 운동유형 간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보조자와 스트레칭(64%)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신체조성 운동유형 간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수중운동(57.3%)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분석은 다음과 같다. 상체근력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는 과제지향형 운동 중 독립적으로 식사하기(62.9%)가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하체근력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는 수중운동 중 수중에서 걷기(38.8%)가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심폐지구력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는 수중운동 중 물 안에서 목표지점까지 가기(36.1%)가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유연성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는 보조자와 스트레칭 중 고관절에 회전 없이 치료사의 어깨에 다리 올려놓기(60%)가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신체조성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는 수중운동 중 빠르게 걸으며 앞으로 이동하기(41.2%)가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전체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는 물 안에서 목표지점까지 가기(7.7%)가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다섯째, 휠체어 사용 뇌졸중 장애노인의 건강체력 향상을 위한 건강체력 요인, 운동유형, 특수체육 프로그램 우선순위 분석은 다음과 같다. 건강체력 요인 간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상체근력(41.2%) 요인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운동유형 간 우선순위 분석은 다음과 같다. 상체근력 운동유형 간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과제지향형 운동(60.6%)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심폐지구력 운동유형 간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수중운동(69.4%)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유연성 운동유형 간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보조자와 스트레칭(78.4%)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신체조성 운동유형 간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수중운동(78.4%)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 분석은 다음과 같다. 상체근력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는 과제지향형 운동 중 독립적으로 식사하기(51.8%)가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심폐지구력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는 수중운동 중 상체만을 사용하여 목표지점까지 반복적으로 이동하기(33.5%)가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유연성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는 보조자와 스트레칭 중 고관절에 회전 없이 치료사 어깨에 다리 올려놓기(72.1%)가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신체조성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는 수중운동 중 수영장 벽면 잡고 이동하기(40.4%)가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전체 특수체육 프로그램 간 우선순위는 수영장 벽면 잡고 이동하기(11.9%)가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