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고전적의 장정기법에 관한 연구 = (A)study on the bookbinding skill of the oriental old books / 홍순천 인기도
발행사항
청주 :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5.8
청구기호
TM 020 -15-74
형태사항
ix, 134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544587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청주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15.8. 지도교수: 박문열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I. 緖言 13

1. 硏究의 目的 13

2. 硏究의 方法과 制限 14

2.1. 硏究의 方法 14

2.2. 硏究의 制限 15

3. 先行硏究의 槪觀 16

3.1. 裝訂의 用語에 관련된 硏究 17

3.2. 裝訂用 菱花紋이나 菱花紙 등에 관련된 硏究 18

3.3. 裝訂의 材料에 관련된 硏究 22

3.4. 裝訂用 藥劑의 試料分析에 관련된 硏究 25

3.5. 遺物과 관련된 裝訂의 硏究 26

3.6. 保存科學과 관련된 裝訂의 硏究 29

II. 古典籍의 起源 35

1. 古代의 典籍 35

1.1. 龜甲獸骨書 36

1.2. 靑銅銘文書 37

2. 竹書와 帛書 38

2.1. 竹簡木牘書 38

2.2. 帛書 42

III. 古典籍의 裝訂의 發展 45

1. 卷軸裝 45

2. 旋風裝 46

3. 蝴蝶裝 49

4. 包背裝 50

5. 線裝 51

IV. 古典籍 表紙의 發展과 製作 55

1. 表紙의 發展 55

2. 表紙의 製作道具 56

2.1. 菱花板 57

2.2. 蜜蠟 61

2.3. 밀돌 63

2.4. 염색된 褙接紙 64

3. 表紙의 製作方法 67

V. 古典籍의 裝訂과 그 製作技法 77

1. 卷軸裝의 製作法 77

1.1. 書本의 連接 78

1.2. 書本의 褙接 80

1.3. 書本 및 비단의 마름질 82

1.4. 비단붙이기 83

1.5. 귀접이 84

1.6. 上·下軸 주머니 붙이기 86

1.7. 제1차 褙接 및 말리기 87

1.8. 제2차 褙接 및 乾燥板 건조 88

1.9. 염주질 및 마무리 마름질 89

1.10. 上軸 및 軸木달기 89

1.11. 帶子 및 籤子 연결 92

2. 旋風裝의 製作法 93

2.1. 葉子의 褙接 94

2.2. 葉子 및 비단 마름질 95

2.3. 비단 붙이기 97

2.4. 제1차 褙接 및 말리기 98

2.5. 제2차 褙接과 乾燥 99

2.6. 비단 마름질 및 葉子 접기 100

2.7. 表紙의 製作 101

2.8. 裝訂 102

3. 蝴蝶裝의 製作法 106

3.1. 冊紙접기 107

3.2. 假裝 108

3.3. 表紙의 製作 109

3.4. 裝訂 110

3.5. 蝴蝶裝 제작의 유의점 112

4. 包背裝의 製作法 113

4.1. 冊紙접기 113

4.2. 假裝 114

4.3. 表紙의 製作 116

4.4. 裝訂 117

4.5. 包背裝 제작의 유의점 118

5. 線裝의 製作法 119

5.1. 冊紙 접기 121

5.2. 假裝 121

5.3. 表紙의 製作 124

5.4. 裝訂 125

5.5. 線裝製作의 유의점 127

VI. 結論 131

參考文獻 137

ABSTRACT 141

國文要約 145

[表 1] 古典籍制度의 發展過程 53

[表 2] 表紙에 사용되는 비단의 종류와 그 특징 56

[表 3] 선풍장과 절첩장의 비교 105

[圖 1] 권축장 부분 명칭 (앞) 78

[圖 2] 권축장 부분 명칭 (뒤) 78

[圖 3] 연접 순서도 79

[圖 4] 권축장 (설계도) 83

[圖 5] 서본과 변아의 연결방식 85

[圖 6] 귀접이 (도식) 86

[圖 7] 엽자 제작 (설계도) 97

[圖 8] 마름질 (도식) 100

[圖 9] 엽자 풀칠 (도식) 102

[圖 10] 선장의 각 부분별 명칭 120

[圖 11] 가장 구멍 뚫기(도식) 123

[圖 12] 오침안정 내기 (도식) 125

[圖 13] 오침안정법 129

[사진 1] 권축장(공신교서) 46

[사진 2] 선풍장(책문) 48

[사진 3] 호접장(불서) 49

[사진 4] 포배장(「홍제전서」) 51

[사진 5] 선장(비단표지) 52

[사진 6] 선장(능화 표지) 52

[사진 7] 국화문 능화판 58

[사진 8] 만자문 (학·봉황) 능화판 58

[사진 9] 판목 마련 (풀칠) 60

[사진 10] 판하본 (화고) 붙이기 60

[사진 11] 기름 칠하기 60

[사진 12] 문양 새기기 60

[사진 13] 미정제 밀랍 61

[사진 14] 정제 밀랍 61

[사진 15] 밀돌 63

[사진 16] 한지 염색 (치자) 65

[사진 17] 배접 염색지 65

[사진 18] 염료 (황벽) 67

[사진 19] 염료 끓이기 67

[사진 20] 염색 한지 (치자) 67

[사진 21] 염색 한지 (황벽) 67

[사진 22] 마름질하기 68

[사진 23] 습기 가하기 68

[사진 24] 능화판 밀랍 칠하기 68

[사진 25] 시문하기 68

[사진 26] 능화표지 69

[사진 27] 15世紀 菱花紋樣 70

[사진 28] 16世紀 菱花紋樣 71

[사진 29] 17世紀 菱花紋樣 72

[사진 30] 18世紀 菱花紋樣 73

[사진 31] 19世紀 菱花紋樣 74

[사진 32] 20世紀 菱花紋樣 75

[사진 33] 서본 마름질 80

[사진 34] 연접 전 수평 맞추기 80

[사진 35] 연접부 풀칠 80

[사진 36] 연접 80

[사진 37] 서본 배접 81

[사진 38] 서본 마름질 82

[사진 39] 변아 붙이기 84

[사진 40] 중앙회장 붙이기 84

[사진 41] 상·하 회장 붙이기 84

[사진 42] 밀착도 높이기 84

[사진 43] 대칼선내기 85

[사진 44] 귀접이 85

[사진 45] 상·하축 주머니 붙이기 86

[사진 46] 귀접이 비단 묽은 풀칠 87

[사진 47] 1차 배접 87

[사진 48] 제2차 배접 88

[사진 49] 표지부분 비단 배접 88

[사진 50] 건조판 분리 89

[사진 51] 마무리 마름질 89

[사진 52] 상축 달기 90

[사진 53] 축목 제작 91

[사진 54] 축목 달기 91

[사진 55] 대자 연결 92

[사진 56] 제첨 붙이기 92

[사진 57] 완성 권축장 93

[사진 58] 엽자 펴기 95

[사진 59] 엽자 배접 95

[사진 60] 엽자 마름질 95

[사진 61] 마름질 완료 95

[사진 62] 비단 치수 산출 96

[사진 63] 비단 마름질 96

[사진 64] 비단 풀칠 98

[사진 65] 비단 붙이기 98

[사진 66] 밀착도 높이기 98

[사진 67] 완성된 비단 붙이기 98

[사진 68] 제1차 배접 99

[사진 69] 다짐솔 두드리기 99

[사진 70] 제2차 배접 99

[사진 71] 건조판 건조 99

[사진 72] 접힘선 치수 산출 101

[사진 73] 접기 101

[사진 74] 시문하기 101

[사진 75] 시문된 표지 101

[사진 76] 표지 접기 102

[사진 77] 완성 표지 102

[사진 78] 엽자 풀칠 103

[사진 79] 표지 붙이기 103

[사진 80] 완성 선풍장 104

[사진 81] 인출 책지 107

[사진 82] 책지 접기 107

[사진 83] 판심부 풀칠 108

[사진 84] 책지 붙이기 108

[사진 85] 압착기 압착·건조 108

[사진 86] 가장자리 마름질 108

[사진 87] 가장된 책지 109

[사진 88] 염색 한지 109

[사진 89] 한지 마름질 109

[사진 90] 시문하기 110

[사진 91] 시문된 표지 110

[사진 92] 책지 크기 표시 110

[사진 93] 중첩 모서리 마름질 110

[사진 94] 표지 붙이기 111

[사진 95] 제첨 붙이기 111

[사진 96] 압착기 압착·건조 111

[사진 97] 완성 호접장 112

[사진 98] 인출 책지 준비 114

[사진 99] 책지 접기 114

[사진 100] 종이끈 제작 114

[사진 101] 가장 구멍 표시 114

[사진 102] 가장 구멍 만들기 115

[사진 103] 가장 115

[사진 104] 가장자리 마름질 115

[사진 105] 매듭부분 평활도 내기 115

[사진 106] 가장 종이끈 115

[사진 107] 가장 책지 115

[사진 108] 표지 시문하기 116

[사진 109] 시문된 표지 116

[사진 110] 책지 크기 표시 117

[사진 111] 표지 접기 117

[사진 112] 표지 붙이기 117

[사진 113] 제첨 붙이기 117

[사진 114] 완성 포배장 118

[사진 115] 인출 책지 준비 121

[사진 116] 책지 접기 121

[사진 117] 종이끈 제작 122

[사진 118] 완성 종이끈 122

[사진 119] 가장 구멍 표시 122

[사진 120] 가장 구멍 만들기 122

[사진 121] 가장 122

[사진 122] 가장 종이끈 122

[사진 123] 매듭부분 평활도 내기 123

[사진 124] 가장자리 마름질 123

[사진 125] 가장 책지 123

[사진 126] 가장 모습 123

[사진 127] 시문하기 124

[사진 128] 시문된 표지 124

[사진 129] 책지 크기 표시 124

[사진 130] 표지 접기 124

[사진 131] 중첩 모서리 마름질 125

[사진 132] 완성된 표지 125

[사진 133] 오침안정 표시 126

[사진 134] 오침안정 내기 126

[사진 135] 철사에 밀랍 바르기 126

[사진 136] 오침안정 시작 지점 126

[사진 137] 선장 (꿰매기) 126

[사진 138] 면지 붙이기 126

[사진 139] 송곳자리 마무리 127

[사진 140] 제첨 붙이기 127

[사진 141] 완성 선장 128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동양의 각 시대별 典籍의 형태적 흐름과 裝訂制度의 발전에 관하여 고찰하고 아울러 典籍의 형태별 裝訂技術法을 이론적으로 정리함으로써, 우리 傳統文化의 復元에 一助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연구되었다.

본 연구에서 고구된 古典籍의 형태적 특징과 裝訂制度의 변천 및 전통 장정기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甲骨書와 靑銅銘文書 등은 正式의 典籍制度가 아니었으며, 竹簡書와 木牘書 및 帛書 등에 이르러 비로소 정식의 전적제도가 탄생되었다. 그리고 종이(紙)가 발명된 후로는 시대에 따라 다양한 典籍制度가 발전되었다.

(2) 竹簡書와 木牘書의 장정방식은 韋編이나 絲編이었으나, 帛書의 유통과 아울러 종이의 발명으로 紙書가 유통되면서부터 장정방식도 다양하게 발전되었다.

(3) 帛書와 紙書가 나타난 이후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古典籍의 장정은 卷軸裝-旋風裝-蝴蝶裝-包背裝-線裝 등으로 발전되었으며, 최종단계의 선장은 2매의 표지를 책지의 앞뒤로 각각 1매씩 대고 綴絲로 꿰매어 背面이 튼튼하여 쉽게 훼손되지 않는 장점으로 말미암아 현대에 이르기까지 古典籍의 裝訂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4) 古典籍의 裝訂을 위한 表紙材料로는 비단과 삼베 및 菱花紙 등이 있으며 그 중 우리나라 古典籍의 표지는 菱花紙로 장식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菱花紙는 밀랍을 바른 능화판에 염색된 배접지를 올려 밀돌로 試紋하여 紋樣을 돋워내며, 능화지의 제작에는 菱花板·蜜蠟·밀돌 및 染色된 褙接紙 등이 사용되었다.

(5) 서지학적 연구의 결과와 현전하는 유물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古典籍의 裝訂의 변화에 따른 형태적 흐름과 卷軸裝-旋風裝-蝴蝶裝-包背裝-線裝 등 우리나라 전통의 裝訂制度를 고찰하고 장정의 방법까지도 자세히 기술하였다. 특히 우리나라 古典籍의 형태적 특징뿐만 아니라 그 제작과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장정별 장정기법을 재현하여 시연하고 古典籍의 장정발전 단계에 따른 전통적인 장정의 裝訂技法을 理論化하여 記述하였다.

硏究者는 본 연구에서 고구된 古典籍 裝訂文化의 회복과 형태별 裝訂技術法의 이론적인 구축을 바탕으로, 우리 傳統의 裝訂技法이 復元됨은 물론 학술적인 토대도 마련되어 우리 傳統文化가 世界文化로 발전될 수 있기를 희망하는 바이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