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키르기즈스탄 고려말 어휘의 어원에 대한 연구 = (A)study on the etymolgy of Kyrgyzstan Korean words / 조올가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5.2
청구기호
TM 411 -15-214
형태사항
vii, 74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536834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2015.2. 지도교수: 허용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5

Abstract 8

1. 서론 11

1.1. 연구 목적 11

1.2. 연구 방법 12

1.3. 연구사 14

1.4. 논의 구성 15

2. 고려말 어휘의 어원론적 연구 16

2.1. 음운 변화 16

2.1.1. 'ㅐ'→'ㅑ', 'ㅓ'→'ㅔ', 'ㅏ'→'ㅑ'로 변화된 현상 17

2.2. 형태 변화 23

2.2.1. 구두리(=언돌) 23

2.2.2. 똥수칸(화장실) 25

2.2.3. 어시(=부모) 26

2.2.4. 냐난다(=냄새나다) 26

2.2.5. 가먀(=가마, 솥) 27

2.2.6. 가먀치(=누룽지) 28

2.2.7. 자분다(=졸리다) 30

2.2.8. 똥무르(=설사) 30

2.2.9. 카르뚜먀(=도마) 30

2.2.10. 국시분투리(=국수분틀(이), 국수틀) 31

2.2.11. 우티(=옷(이), 옷) 32

2.3. 의미 변화 32

2.3.1. 일없다(=괜찮다) → 일없다(=소용이나 필요가 없다) 32

2.3.2. 거북사리명사(=성격 급한 사람) → 거북살스레부사(=몹시 거북스럽게)(이미지참조) 33

2.3.3. 먕심하다(=조심하다) → 명심하다 (잊지 않도록 마음에 깊이 새겨 두다) 34

2.3.4. 바쁘다(=힘들다, 어렵다) → 바쁘다(=시간 없다) 34

2.3.5. 분주하다(=시끄럽다) → 분주하다(=이리저리 바쁘고 수선스럽다) 35

2.3.6. 곱다(=예쁘다) → 곱다(=모양, 생김새, 행도거지 따위가 산뜻하고 아름답다) 35

2.3.7. 간디다(=예쁘다) → 간지다(=간드러진 멋이 있다) 36

2.3.8. 지애비(=그의 아버지) → 지아비(=웃어른 앞에서 자기 남편을 낮추어 이르는 말) 36

2.3.9. 지애미(=그의 어머니) → 지어미(=웃어른 앞에서 자기 아내를 낮추어 이르는 말) 37

2.3.10. 반차이/반찬(=무회무침) → 반찬(=밥하고 같이 먹는 음식) 38

2.3.11. 기차다(기가 막히다) → 기차다(말할 수 없을 만큼 좋거나 훌륭하다) 38

2.3.12. 고리/골+이(머리) → 골(골수; 뇌) 39

2.3.13. 떼기[떡+이](밀가루로 만든 빵) → 떡(곡식 가루를 찌거나, 그 찐 것을 치거나 빚어서 만든 음식을 통틀어 이르는 말) 40

2.3.14. 차무리 (=장물, 장국) 42

2.3.15. 도투새끼(=①돼지새끼, ②심술쟁이) 43

2.4. 방언 44

2.4.1. 가쥬리 (=과줄(이), 과즐) 44

2.4.2. 카르구기(=칼국), 떼데구기(=뜨더둑) 46

2.4.3. 박주기(=박죽(이), 밥주걱) 47

2.4.4. 바르쪼기[발쪽+이](=족발) 47

2.4.5. 값이 눅다(=값이 싸다) 48

2.4.6. 아다모끼(=옹고집쟁이) 49

2.4.7. 간댜이(찌레이) (=간장(이), 간장;=지령) 49

2.4.8. 뱐샤(=벤세, 만두) 50

2.4.9. 지름구비(=기름굽이) 51

2.4.10. 감디(①=감주, 막걸리; ②=감자) 51

2.4.11. 하부리(=하불) 52

2.4.12. 아바이, 하나바이(=할아버지) 52

2.4.13. 아먀 (=아매, 할머니) 53

2.4.14. 맏아바이(=맏아버지) 54

2.4.15. 맏아먀(=맏아마/맏아매, 맏어머니) 55

2.4.16. 아디바이(=아즈바이, =아재비) 55

2.4.17. 아디마이(=아지미, 아재미) 56

2.4.18. 아댜(=아재) 57

2.4.19. 행니미(=형님(이)) 57

2.4.20. 서야/세야(=성, 성아, 세야) 58

2.4.21. 오라바이 (=오라비, 올아바, 오빠) 58

2.4.22. 느베 (=누이, 누나) 59

2.4.23. 남재 (=남자, 남편) 59

2.4.24. 안까이 (=안깐, 아내) 60

2.5. 신조어 61

2.5.1. 목뚜사이 (=목두상, 나무로 만든 낮은 의자) 61

2.5.2. 고본질(=고본 + 질) 61

2.5.3. 촌소웨트(=권력 기관) 62

2.5.4. 등게리 (=등걸(이), 조끼) 62

2.5.5. 마르간댜(=말과 간자) 63

2.5.6. 졸루재(=술꾼) 63

2.6. 러시아어 영향으로 인한 변화 64

2.6.1. 러시아어와 고려말의 합성 신조어 64

2.6.2. 러시아어 차용어 65

2.6.3. 러시아어 영향으로 인한 변화 66

2.6.4. 러시아어 영향으로 인한 단어의 의미 변화 70

2.6.5. 러시아 영향으로 인한 표현 변화 71

3. 결론 73

참고문헌 76

국어 인용 자료 목록 82

고려말 어휘 목록 83

초록보기 더보기

 본고는 키르기즈스탄 고려인들이 사용하는 언어인 고려말 어휘 어원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올해는 중앙아시아 고려인들이 한반도를 떠난 지 150년이 되었다. 고려인들이 150년 동안 모국과 멀리 떨어져 살았고 오랜 시간 동안 서로 접촉한 기회가 없었기 때문에 모국어를 잊어버리게 되었다. 현재 키르기즈스탄에서 고려인들이 2세대부터 6세대까지 2만 명 정도 거주하고 있다. 오늘날 이들은 대체로 러시아어를 사용하고 있다. 고려말을 쓴다 해도 어휘를 위주로 사용하고 문법을 무시하고 있다. 사용하는 어휘 중에 대체로 호칭어, 음식, 일상생활에 관한 단어가 대부분이다. 세대별로 고려말을 사용하는 빈도가 다를 수밖에 없다. 2세대와 3세대는 어느 정도 고려말 어휘를 기억하고 있지만 4세대부터는 모국어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상황이다. 오늘날 고려말이 소멸되고 있는 중이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 있다. 첫째, 오랜 시간 동안 모국과 접촉한 기회가 없었던 것 둘째, 다른 나라의 생활에 빨리 익숙해진 것 셋째, 고려인들끼리 집단 생활을 하지 않은 것 넷째, 고려말을 가정에서만 사용한 것 다섯째, 다른 민족 사람과 결혼하는 것 등이 있다.

지금까지 고려말 어휘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고려말 어휘에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져도 어휘를 제시하고 한국어로 의미를 번역하는 식으로 나타났다. 필자가 본 연구를 통해서 고려말 기본 어휘를 표준한국어와 대조하면서 각 단어의 어원을 찾는 데 목적을 둔다. 고려말 어휘 중 표준한국어와 발음상으로 비슷한 단어가 있는 반면에 발음과 형태가 다른 단어도 많다. 고려말이 오랜 시간 동안 모국어와 고립되어 있었고, 새로운 환경에서 영향을 받아서 발전되었으므로 표준한국어와 차이가 많은 것이 분명하다. 하지만 고려말 각 단어의 명칭은 우연히 생긴 것이 아니다. 단어마다 자기 어원과 역사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고려말과 한국어는 같은 뿌리를 가지고 있는 것이 분명한데 시간과 사용하는 위치가 바뀌었음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고려인들이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가장 기본 어휘의 분석을 통해서 그의 어원을 밝히려고 한다.

2장에서는 단어의 기원 및 유래, 음운과 형태 또한 의미 변화에 관한 예문을 통해서 어원적으로 어휘를 조사한다. 한 단어의 기원형을 동일계 언어와의 비교를 통해서 확인하고 특정 단어가 언제 처음으로 문헌에 등장하였는지, 또한 현재까지 어떤 형태 변화와 의미 변화를 거쳤는지, 그 변화의 결과는 어떠하였는지 기술한다. 어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계속 변화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어휘는 새로 생기기도 하고 없어지기도 하는데 다른 언어와의 접촉 과정에서 차용어를 받아들이기도 한다. 어느 어휘의 어형은 문헌상에는 나타나지 않고 오히려 방언형에서만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고려인들이 사용하는 고려말은 주로 함경도 방언과 육진 방언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고려말 어휘를 표준한국어, 함경도 방언 및 육진 방언의 어휘와 비교하여야 한다.

고려말 기본 어휘를 음운 변화, 형태 변화, 의미 변화, 방언, 신조어, 러시아 영향으로 인한 변화에 관한 분야로 나누어서 살펴본다. 각 단어를 현대 표준한국어와 대조하면서 어휘의 어원적인 해석, 변화된 과정, 근거 자료, 원래의 의미, 현재 사용 여부, 현재 사용 지역, 어휘 뜻 현황에 대해서 알아본다. 단어가 우연히 생기는 것이 아니고, 우연히 소멸되는 것도 아니다. 어휘가 언제 처음으로 어떻게 어디에서부터 왔는가, 그 원인이 무엇인가, 단어의 형태와 의미가 시간이 지나면서 어떻게 변화되었는가에 대해서 알아본다.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가장 기본 어휘가 키르기즈스탄 고려말에서 어떤 모습으로 남아 있는지 기술한다.

3장에서는 본고의 논의를 요약 정리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