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시몬 김성수 주교의 삶과 장애인평생교육·복지의 실천철학 = (A)study on practical philosophy of lifelong education and welf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of Saint Simon, Bishop Kim Sung Soo / 이영선 인기도
발행사항
용인 :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5.2
청구기호
TD 371.91 -15-3
형태사항
v, 139 p. ; 30 cm
자료실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제어번호
KDMT1201529856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단국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장애인평생교육·복지전공, 2015.2. 지도교수: 박원희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2. 연구내용 13

3. 용어 정의 14

3.1. 실천철학(實踐哲學) 14

3.2. 장애인평생교육·복지 14

4. 연구대상과 방법 14

4.1. 연구참여자 15

4.2. 연구자 21

4.3. 자료수집 절차 23

4.4. 자료 분석 28

4.5. 자료의 진실성과 타당도 30

4.6. 연구자의 윤리 31

II. 김성수 주교 생애사 재구성 33

1. 김성수 주교의 생애 약사(略史) 33

1) 출생 33

2) 학령기 33

3) 청소년기 34

4) 청년기 34

5) 결혼 34

6) 「성베드로학교」 교장 35

7) 성공회대학교 총장 35

8) 「성베드로학교」 명예교장 36

9) 노년 - 고향에서의「우리마을」 촌장 할아버지 37

2. 자신의 길로 인한 가족의 헌신 37

2.1. 어머니 38

2.2. 부인 후리다 박사 39

2.3. 자녀 44

III. 촌장 김성수 주교의 장애인 교육을 위한 실천활동 46

1. 좌절 속에서 핀 나눔을 실천하는 신부 46

1.1. 소외된 자를 찾아서 47

1.2. 한 장의 편지로부터 촉발된 교육 활동 47

2. 1974년 「성베드로학교」 설립 49

2.1. 신부로서 특수학교를 세워가는 과정에서의 분투노력(奮鬪努力) 49

2.2. 혼자가 아닌 한 마음으로 이룬 학교 53

2.3. 「성베드로학교」는 귀족학교 61

3. 「성베드로학교」에서 파생한 교육기관 74

3.1. 1976년 외국인 특수학교 설립 74

3.2. 1982년 장애아동 장난감 도서관 개관 75

3.3. 유아를 위한 『희망학교』의 개교 76

4. 1998년 직업재활시설「우리마을」설립 76

4.1. 삶의 끝자락에 선 촌장할아버지의 안식 77

4.2. 혼자가 아닌 한마음으로 이룬「우리마을」공동체 80

4.3. 공간의 존재 「우리마을」 83

4.4. 장애인 직업 : 보물찾기 88

4.5. '나'로부터 시작된 '우리' 91

5. 「우리마을」로부터 파생된 시설 94

5.1. 요셉의 집 95

5.2. 마리아 주간보호시설 95

5.3. 설립 중인 주간보호시설 95

5.4. 「우리마을」양로원의 꿈 96

IV. 장애인과 함께 한 40년의 교육적 함의(含意) 98

1. 진정성(眞情性) : 사랑과 나눔의 실천 98

1.1. 내 마음의 거울 98

1.2. 가족과 같은 마음 101

2. 지속성(持續性) : 함께 끝까지 111

2.1. 내적 지속성 : 마음속 깨달음 111

2.2. 외적 지속성 : 시련(試鍊)속 기대감 116

3. 현실성(現實性) : 함께 가자 121

3.1. 조용한 항의에 나타난 결실 121

3.2. 함께 사는 기쁨 122

V. 논의 및 결론 126

1. 논의 126

2. 결론 133

참고문헌 135

부록 141

〈부록1〉 한국 최초 1978년 스페셜올림픽 태평양지구 하계대회 141

〈부록2〉 1981년도 일본 특수 올림픽 사진 142

〈부록3〉 「성베드로학교」 연혁 143

〈부록4〉 우리마을 연혁 144

Abstract 145

〈표 1〉 연구참여자 정보 16

〈표 2〉 연구참여자 연보 16

〈표 3〉 보조 연구자료 제보자 정보 18

〈표 4〉 신문, 저서, TV 출연 자료 목록 27

〈표 5〉 「우리마을」 문서 자료 목록 28

〈표 6〉 '우리 마을' 후원금 모금 현황 83

〈표 7〉 「성베드로학교」 연혁 143

〈표 8〉 「우리마을」 연혁 144

〈그림 1〉 김성수 주교의 장애인평생교육 업적 97

〈그림 2〉 장애인 평생교육·복지의 3요소 125

〈사진 1〉 가족사진 37

〈사진 2〉 1974년 성공회신학교 모습 52

〈사진 3〉 1975년에 성공회신학교 터에 설립한 「성베드로학교」 건물과 기숙사 57

〈사진 4〉 스페셜올림픽 성베드로학교 대회기 141

〈사진 5〉 한국대표 성베드로학교 선수들의 입장 141

〈사진 6〉 성베드로학교 선수들 경기 모습 142

〈사진 7〉 성베드로학교 참가 선수 단체사진 142

초록보기 더보기

 이 연구는 장애인평생교육·복지 관점에서 김성수 주교의 삶과 교육활동의 실천철학을 도출하여 장애인평생교육·복지가 지향해야 할 방향으로서 실증적 교육상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김성수 주교의 생애사를 구체적으로 파악하며 특수교육진흥법이 제정되기 전, 1973년에 특수학교 설립을 시작으로 40여년간 장애인과 함께한 그의 삶의 교육적 업적을 분석하였다. 둘째, 위의 연구내용에서 제기한 그의 교육업적을 지속 가능케 한 활동의 원천으로서 장애인평생교육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2013년 4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연구참여자와 정보제공자들의 심층면담과 사진 그리고 문서자료 등 보조 연구자료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하고 부호화하여 개념화하였고 1차 분석에서 도출한 소주제를 포괄하는 중간분류 주제를 찾은 이후, 속성이 유사한 중간 주제를 찾고 분류해나가면서 범주화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성공회 신부이며, 성공회 대주교와 성공회대학교 총장을 지냈으며, 현재는 「우리마을」 촌장(村長)으로 다양한 삶의 이력과 경험이 있다. 그는 우리나라 장애학생들이 교육에서 배제되어 가정에서 방치되어 있거나 복지시설에 사는 시대적 상황에서 특수학교 「성베드로학교」를 설립하였으며, 상속받은 유산을 성공회재단에 기부하여 장애성인을 위한 직업재활시설인 「우리마을」을 설립하였다.

김성수 주교가 실천한 교육활동 자료를 통하여 그가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무엇이며, 그의 심중에 자리 잡고 있는 장애인과 어떻게 나눔의 삶을 살았는지를 살펴보았다. 장애학생과의 만남은 성공회 신부였던 그에게 재단에서 특수학교를 설립하라는 권유로부터 시작되었다. 장애 가정 앞에 놓인 현실을 장애학생 교육환경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모습이 나타났으며, 자신의 부인인 후리다 박사와 학교 교사들, 수녀와 자원봉사자들, 외국인 후원자 등의 도움이 있었다. 이처럼 과거의 장애인들과 경험되어진 실천이 현재 「우리마을」 촌장으로 있는 삶을 이어주는 중요한 연결고리가 되었다. 더 나아가 과거와 현재의 삶으로 인해 양로원을 설립하고 싶은 미래를 이어가는 원동력이며 의미였다. 그 의미는 왜 ‘그는 이 교육활동들을 하였는지?’ 에서 찾을 수 있었다.

첫째, 진정성이다. 그는 폐결핵을 앓으므로 소외된 외로운 경험에서 장애인과 소통하려 하였으며 가족과 같은 마음으로 함께 살고 있다. 또한, 그는 장애인을 목적적 존재로 보았으므로 사랑과 물질을 나눌 수 있었다.

둘째, 지속성이다. 그가 40여 년을 장애인과 함께할 수 있었던 것은 어려움과 시련에서 장애 가정의 안타까운 현실을 보았다. 장애 가정이 처한 현실은 그로 하여금 그들을 도와야겠다는 결심을 다지며 시련을 극복하게 하는 힘이 되었다.

셋째, 현실성이다. 그는 진정성과 지속성의 실천으로 실질적인 도움을 통해 현실에서 「성베드로학교」, 장난감도서관, 우리마을, 주간보호시설, 공동가정생활 등이 나타났다.

진정성 있는 실천과 지속 가능케 한 인내의 결과들이 장애인의 실질적인 삶에서 현실적인 결과물로 나타났다. 즉 인내를 가지고 그 일을 지속할 수 있게 한 것은 장애인을 향한 진정성 있는 사랑의 실천이었다.

결국, 장애인평생교육·복지는 ‘함께 생활한다’는 것이다. 이는 삼중적인 인과관계로 설명할 수 있다. 주체-대상-방법의 삼중적 논지로써 진정성 있는 주체의 입장에서 장애인을 목적적 관계로 보며, 현실에서 나누는 기쁨을 함께하자는 것이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