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요약
목차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범위(내용) 및 방법 13
제2장 군 리더십과 정예 장교 양성 아키텍처에 대한 고찰 14
제1절 군 리더십의 개념과 구성요소 14
1. 군 리더십의 개념 14
2. 군 리더십의 구성요소 15
가. 미 육군 15
나. 대한민국 육군 16
3. 육군의 리더십 센터 16
제2절 정예장교 양성 아키텍처 17
1. 정예장교 양성의 요건 17
가. 인성측면 17
나. 역량측면 19
2. 정예장교 양성 아키텍처 20
가. 정예장교 양성 아키텍처 개념 20
나. 정예장교 양성 아키텍처의 영역별 개념 22
제3장 웨스트포인트 리더십 교육체계 분석 48
제1절 일반적 교육체계 48
1. 교육목표 / 체계 48
2. 학사일정 50
3. 일반교육체계 51
제2절 군사학 교육체계 52
1. 군사교육체계 52
2. 국방 / 전략 전공 56
3. 체육학과 임무 및 교육체계 57
제3절 리더십 관련 교육체계 60
1. 지휘근무제도 60
2. 명예 및 존중제도 62
3. 리더십 평가 및 개발 시스템 63
4. 리더십 관련 제도 및 규정 65
가. 훈육요원 선발 / 임무 65
나. 외출 / 외박 규정 65
다. 삼금제도 66
라. 입시제도 66
마. 여생도 66
바. 사복착용 66
제4장 육군사관학교 리더십 교육체계 분석 66
제1절 전반적 교육체계와 변천 66
제2절 일반적 교육체계 분석 69
1. 역대 교과과정 개정(1981~2004) 69
2. 현 교과 과정(2008년 개정) 91
3. 소결론 93
제3절 군사학 교육체계 분석 94
1. 경과 분석 94
2. 소결론 106
제4절 리더십 교육체계 분석 107
1. 경과분석 107
2. 소결론 119
제5장 결론 120
참고문헌 125
Abstract 126
〈그림2-1〉 정예장교像과 5대 학습중점의 관계 21
〈그림2-2〉 정예장교 양성 아키텍처 22
〈그림3-1〉 웨스트포인트 교육의 세가지 축 50
〈그림3-2〉 웨스트포인트 군사교육체계 53
〈그림3-3〉 웨스트포인트 4년간 군사교육 프로그램 53
〈그림3-4〉 체육교육 편성 58
리더십은 학자마다 다른 정의를 내리고는 있지만, 큰 맥락에서 리더가 조직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구성원 또는 부하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북한의 핵무기 위협과 갖은 안보위기의 상황에서 군의 리더십 부분은 그 중요성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대한민국의 국가와 군에 헌신하는 정예장교 양성을 목적으로 존재하는 육군사관학교, 생도들의 리더십 교육 훈련 내용을 분석해 봄으로써, 리더십 역량 제고를 위한 효과적인 리더십 교육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육군사관학교는 1946년 개교 이래 오늘에 이르기까지 육군의 정예장교 양성을 위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왔다. 현재 사관학교는 생도들에게 4년 동안의 교육훈련과 수련을 통해 5대 학습중점(군사적 역량, 지적 역량, 신체적 역량, 가치관 및 윤리의식, 사회적 품성)을 토대로 역량과 품성을 배양하고 4가지 태도(사명감, 자기인식, 자기통제, 관계인식)를 내면화 시키고 있다. 또한, 사관학교는 사관생도의 리더십 향상을 위해 커뮤니케이션, 상담심리, 리더십이론 과목을 바탕으로 교육, 실습, 평가, 피드백 시스템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또 임관을 앞둔 4학년에게는 외부위탁교육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로써 생도들이 군대조직에서 지휘관(자)의 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근래에 일어났던 일련의 군 사고는 이런 사관생도 교육, 리더십 교육부분에 개선해 나갈 점이 있다는 바를 시사한다.
현재, 육군사관학교의 리더십 교육은 타 사관학교 및 외국의 계급 및 직책과 연계하여 그에 요구되는 임무 및 역할 수행능력과 리더십의 역량 개발을 위해 실시되기 보다는 기본 소양위주의 교육 이어서 그 효과성에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담당하는 기관(리더십 센터)을 구성하는 인원 및 교육시간도 부족하다.
향후 생도 자치지휘근무제도를 확립하기 위해서라도 야전에서 적용되는 계급과 직책에 연계된 지휘근무제도로 개선하여 1학년 팀원, 2학년 팀 리더, 3학년 부사관, 4학년 장교로 나누어서 실제 야전에서 발휘되는 리더십을 체험, 습득하는 형식으로 교육이 바뀌어야 할 것이다. 지원체계 제도적 보완 또한, 현재 부족한 리더십센터의 인원 및 교육시간은 사이버 훈련장설치 및 경험이 풍부한 현역장교, 예비역 장성·장교 등의 인원을 충원함으로써 더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