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9
1.1. 연구배경 및 목적 9
1.2. 연구내용 및 방법 9
제2장 돌설치형 생태이동로에 관한 연구 11
2.1. 생태이동로의 기본개념 11
2.2. 하천 생태이동로의 종류 14
2.3. 선행 연구동향 22
제3장 하상입경 결정공식 29
3.1. Abt and Johnson공식 36
3.2. Ullmann공식 39
3.3. Ferro공식 41
3.4. Robinson et al.공식 43
3.5. USACE공식 45
3.6. Whittaker and Jäggi공식 46
3.7. 하상입경 결정공식의 비교 및 검증 47
제4장 하상 조도계수의 산정 50
4.1. 국내의 조도계수의 산정 방법 50
4.2. 조도계수의 수리학적 산정방법 50
4.2.1. Darcy-Weisbach의 저항계수를 이용한 조도계수의 산정 51
4.2.2. 경사를 이용한 조도계수 추정 56
4.3. 하상 조도계수 산정공식의 비교 및 검증 56
제5장 최적 생태이동로 형태 결정 61
5.1. 평균유속공식 검토 61
5.2. 최적 생태이동로의 형태 64
제6장 결론 및 추후 연구 과제 67
6.1. 결론 67
6.2. 추후 연구 과제 68
참고문헌 69
국문초록 73
ABSTRACT 74
〈Fig 2.1〉 하도 폭 전체적으로 유체가 흐르는 생태이동로 11
〈Fig 2.2〉 하도의 일부분으로 유체가 흐르는 생태이동로 12
〈Fig 2.3〉 전면월류형 풀식 어도와 설치 사례 16
〈Fig 2.4〉 아이스하버식 어도와 설치 사례 17
〈Fig 2.5〉 버티컬 슬롯식 어도 18
〈Fig 2.6〉 도벽식 어도와 설치 사례 19
〈Fig 2.7〉 조작식 어도 20
〈Fig 2.8〉 Borland식 어도 22
〈Fig 2.9〉 Rock-Ramp fishway at Locketts Crossing, Australia 24
〈Fig 2.10〉 Improved fish passage through the installation of a full-width Rock-Ramp fishway at Currowan Creek, Australia 25
〈Fig 2.11〉 Restoring Fish Passage at Dargavilles Crossing, Wallamba River, Australia 26
〈Fig 2.12〉 Pool and weir fishway at Locketts Brewarrina river, Australia 27
〈Fig 2.13〉 Fishway of Sawmill Dam, Massachusetts, USA 28
〈Fig 3.1〉 Envelope와 Best-fit 곡선 30
〈Fig 3.2〉 경사의 변화에 따른 Abt and Johnson(1991)식의 검토 39
〈Fig 3.3〉 경사의 변화에 따른 Ullmann(2000)식의 검토 41
〈Fig 3.4〉 경사의 변화에 따른 Ferro(1999)식의 검토 43
〈Fig 3.5〉 경사의 변화에 따른 Robinson et al.(1998)식의 검토 44
〈Fig 3.6〉 경사의 변화에 따른 USACE(1991)식의 검토 46
〈Fig 3.7〉 경사의 변화에 따른 Whittaker and Jäggi(1986)식의 검토 47
〈Fig 3.8〉 전체 공식에 대한 비교 그래프 49
〈Fig 4.1〉 식 4.2에 따른 수심별 Darcy-Weisbach 저항계수 55
〈Fig 4.2〉 식 4.2와 식 4.4의 저항계수와 수심의 관계 비교 58
〈Fig 4.3〉 식 4.2와 식 4.4에서 산출한 조도계수와 수심의 관계 비교 59
〈Fig 4.4〉 식 4.7에 따른 조도계수와 경사의 관계 60
〈Fig 5.1〉 ax및 ay의 정의(이미지참조) 61
〈Fig 5.2〉 표준모형의 수심별 저항계수 그래프 64
〈Fig 5.3〉 돌설치형 생태이동로의 종평면도 65
〈Fig 5.4〉 돌설치형 생태이동로의 평면도 66
〈Fig 5.5〉 돌설치형 생태이동로의 횡단면도 66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