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한국어 조사 교육 연구 : 맥락에 기초한 '은/는', '이/가'를 중심으로 = (A)study on the method of teaching Korean particles in context : with a focus on un/nun and i/ka / 서정숙 인기도
발행사항
용인 : 강남대학교 대학원, 2014.8
청구기호
TD 411 -14-724
형태사항
v, 184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454687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강남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2014.8. 지도교수: 김동언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1. 서론 9

1.1. 연구 목적 9

1.2. 선행 연구 검토 12

1.2.1. '은/는', '이/가'의 국어학적 논의 13

1.2.2. '은/는', '이/가'의 교육적 논의 19

1.3. 연구 방법 및 논의의 구성 27

2. '은/는', '이/가'의 사용 맥락 31

2.1. 맥락의 개념과 기능 31

2.1.1. 맥락의 개념 31

2.1.2. 맥락의 기능 37

2.1.2.1. 정보 구조 실현 37

2.1.2.2. 의미 실현 48

2.2. '은/는'의 사용 맥락 50

2.2.1. 화제 표지 50

2.2.2. 대조 60

2.2.3. 생략 71

2.3. '이/가'의 사용 맥락 73

2.3.1. 주격 표지 73

2.3.2. 선택 지정 81

2.3.3. 생략 88

3. '은/는', '이/가'의 실현 양상 91

3.1. 분석 자료 및 전체 사용 빈도 91

3.2. '은/는'의 실현 양상 93

3.2.1. 전체 양상 94

3.2.2. 화제 표지 '은/는' 95

3.2.3. 대조 '은/는' 98

3.3. '이/가'의 실현 양상 104

3.3.1. 전체 양상 104

3.3.2. 주격 표지 '이/가' 106

3.3.3. 선택 지정 '이/가' 110

3.4. 정리 111

4. '은/는', '이/가'의 교수-학습 방안 113

4.1. 교육 단계 113

4.2. 교육 내용 119

4.2.1. 화제 표지 '은/는(I)' 119

4.2.2. 주격 표지 '이/가' 121

4.2.3. 화제 표지 '은/는(II)' 123

4.2.4. 대조 '은/는' 125

4.2.5. 선택 지정 '이/가' 127

4.2.6. 대조 '은/는'의 화용적 기능 128

4.2.7. 주격 표지 '이/가'의 화용적 기능 129

4.3. 수업 모형 130

4.4. 교수·학습의 실제 136

4.4.1. 화제 표지 '은/는(I)' 136

4.4.2. 주격 표지 '이/가' 140

4.4.3. 화제 표지 '은/는(II)' 145

4.4.4. 대조 '은/는' 149

4.4.5. 선택 지정 '이/가' 156

4.4.6. 대조 '은/는'의 화용적 기능 161

4.4.7. 주격 표지 '이/가'의 화용적 기능 164

5. 결론 171

참고문헌 177

Abstract 190

〈표1〉 언어적 맥락과 상황적 맥락의 적용 방향 33

〈표2〉 '주제부-설명부' 구조 35

〈표3〉 드라마 '오작교 형제들' 1~10회 분석 자료 92

〈표4〉 '은/는', '이/가'의 실현 빈도 93

〈표5〉 '은/는'의 의미 기능별 빈도 94

〈표6〉 '은/는'의 의미별 실현형과 생략형의 교체 가능 빈도 95

〈표7〉 화제표지 '은/는'의 실현 맥락 96

〈표8〉 맥락별 화제 표지 '은/는'의 실현형과 생략형의 교체 가능 빈도 97

〈표9〉 화제 표지 '은/는'의 성분별 실현 빈도 97

〈표10〉 화제 표지 '은/는'의 성분별 실현 맥락 98

〈표11〉 대조 '은/는'의 실현 맥락 99

〈표12〉 대조 '은/는'의 의미별 실현 100

〈표13〉 '은/는'의 의미별 실현형과 생략형의 교체 가능 빈도 100

〈표14〉 대조 '은/는'의 의미별 실현 맥락 101

〈표15〉 성분별 대립의 '은/는' 102

〈표16〉 성분별 반의의 '은/는' 103

〈표17〉 성분별 불확실의 '은/는' 103

〈표18〉 '이/가'의 의미 기능별 빈도 105

〈표19〉 '이/가'의 의미 기능별 실현형과 생략형의 교체 가능 빈도 105

〈표20〉 정보 구문에 따른 주격 표지 '이/가'의 실현 106

〈표21〉 정보 구문별 주격 표지 '이/가'의 실현형과 생략형의 교체 가능 빈도 107

〈표22〉 성분별 주격 표지 '이/가'의 실현(표없음) 107

〈표23〉 문장 유형에 따른 주격 표지 '이/가'의 실현 108

〈표24〉 문장 유형별 주격 표지 '이/가'의 실현형과 생략형의 교체 가능 빈도 109

〈표25〉 주격 표지 '이/가'가 실현되는 수사의문문의 정보 구문 110

〈표26〉 정보 구문에 따른 선택 지정 '이/가'의 실현 111

〈표27〉 '은/는', '이/가'의 교육 단계 115

〈표28〉 학습 단계별 '은/는', '이/가'의 교육 순서 119

〈표29〉 '은/는', '이/가'의 수업 모형 132

〈그림1〉 화제 표지 '은/는(I)' 136

〈그림2〉 화제 표지 '은/는(I)' 136

〈그림3〉 주격 표지 '이/가' 141

〈그림4〉 주격 표지 '이/가' 141

〈그림5〉 주격 표지 '이/가' 141

〈그림6〉 주격 표지 '이/가' 141

〈그림7〉 반의의 '은/는' 151

〈그림8〉 대립의 '은/는' 151

〈그림9〉 불확실의 '은/는' 151

초록보기 더보기

 The Korean particles ‘un/nun’ and ‘i/ka’ with speech, syntactic, and semantic functions are used in certain contexts. They are formally and syntactically positioned which affects and also their patterns to understand and use ‘un/nun’ and ‘i/ka’, understanding the discourse context must precede and sentence components, structure, and meaning systematically reinforced.

Therefore, this study explains the discourse, syntactic, and semantic functions of ‘un/nun’ and ‘i/ka’ in discourse context and discuses distribution and semantic patterns of ‘un/nun’ and ‘i/ka’ to build a relevant educational foundation. The study also proposes a step-by-step curriculum to teach the various functions realized by ‘un/nun’ and ‘i/ka’.

Chapter 2 discusses the concept and function of context as a mechanism to realize ‘un/nun’ and ‘i/ka’. Context is divided into linguistic and situational contexts, determining a sentence’s information structure and meaning. ‘Topic’ and ‘focus’ structure is a Korean sentence’s information. A speaker and listener share a topic through linguistic and situational context. ‘Focus’ is new information impacting the entire proposition and is relational rather than instructional newness.

‘un/nun’ and ‘i/ka’ are grammatical forms determined in speech context. ‘un/nun’ is a topic marker showing the preceding word is a topic and structuring cohesive discourse. Also, it represents contrast and ‘un/nun’, depending on the semantic relation between the preceding word and sister-member, can denote ‘disagreement’, ‘opposition’, or ‘uncertainty’ and ‘un/nun’ as uncertainty reveals the speaker’s politeness. ‘i/ka’ is a nominative marker that suggests the preceding word is the sentence’s subject added to an auxiliary conjunctive ending and adverb, ‘i/ka’ enhances descriptive expression or, in a rhetorical question, reveals the speaker’s intention or attitude. Also, as a subject in the discourse context, the nominative marker indicates subject selection.

Chapter 3 examines patterns of ‘un/nun’ and ‘i/ka’, in 10 episodes of drama. Analysis showed the nominative marker ‘i/ka’ in great use for both new information and old/known information sentence structure, compared to other functions according to various distributions. ‘un/nun’ by contrast were highly used in linguistic and situational contexts. In semantic relation’s the order of ‘opposition>disagreement>uncertainty’was most frequent. Other distribution patterns of meanings and frequency were found. The topic marker ‘un/nun’, like ‘un/nun’ in contrast, showed a high rate in linguistic and situational contexts. Also, syntax varied in distribution. ‘i/ka’ was showed dominant in the selective listing of new information structure but not in rhetorical questions, auxiliary conjunctive ending, and adverbs.

Chapter 4 discusses the teaching steps,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of Chapters 2 and 3 for ‘un/nun’ and ‘i/ka’. In teaching, Level 1 teaching introduces the topic marker ‘un/nun(Ⅰ)’, nominative marker ‘i/ka’, topic marker ‘un/nun(Ⅱ)’, with ‘un/nun’ in contrast: Level 2, adds ‘i/ka’ for selective listing: Level 3 sets the pragmatic function of ‘un/nun’ and ‘i/ka’ in order of linguistic functions, frequency of use, and ease of teaching. As for education content, discourse units that reveals ‘un/nun’ and ‘i/ka’, syntactic function, formal characteristics, sentence structure and verb types are explained.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re provided based on PPP, but for teaching expanded functions of previously advanced grammar, the OHE model’s observation and hypothesis steps were integrated. Also, a method using pictures to context and linguistic functions is proposed, as well as a method to raise awareness of grammar types and visualize language through these enhancements. The method focuses on form to introduce, suggest, and explain steps.

This study discusses discourse, syntactic, and semantic functions of ‘un/nun’ and ‘i/ka’, and analyzes actual speech materials to examine overall linguistic phenomena by function, use and distribution of ‘un/nun’ and ‘i/ka’. This works also multi-level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patterns of the particle’s use.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