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김연수 바디 〈적벽가〉의 구성과 음악적 특징 = Music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Yeon Su Kim badi's 〈Jeogbyeog-ga〉 / 서정민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8
청구기호
TD 780 -14-226
형태사항
viii, 317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445506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양대학교 대학원, 음악학과, 2014.8. 지도교수: 김영운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지 10

I. 서론 12

1. 연구목적 12

2. 연구 방법 및 대상 16

3. 선행연구 검토 21

II. 동초 김연수의 생애와 음악 활동 27

III. 김연수 바디 〈적벽가〉의 대목 구성 34

1. 바디별 대목 구성 및 사설 비교 34

2. 바디별 장단 구성 비교 60

3. 김연수 바디 〈적벽가〉 대목 구성의 특징 72

IV. 바디별 〈적벽가〉의 음악적 비교 분석 77

1. 삼고초려(유관장 인물치레) 대목 81

2. 군사설움(부모생각) 대목 91

3. 군사설움(자식생각) 대목 101

4. 남병산 제단 대목 112

5. 자룡이 활 쏘는 대목 120

6. 새타령 대목 131

V. 김연수 바디 〈적벽가〉의 음악적 특징과 지향 139

1. 김연수 바디 〈적벽가〉의 음악적 특징 139

2. 김연수 바디 〈적벽가〉의 음악적 지향 154

VI. 결론 161

참고문헌 167

Abstract 175

부록 177

〈부록 1〉 (제목없음) 179

1. 바디별 대목 구성 비교표 179

2. 바디별 장단 구성 비교표 191

〈부록 2〉 참고 악보 198

1. 김연수 198

2. 정권진 222

3. 임방울 249

4. 박동진 272

5. 송순섭 301

〈표 1〉 〈적벽가〉의 계보 13

〈표 2〉 김연수 창극 활동 28

〈표 3〉 김연수 음반 목록 31

〈표 4〉 바디별 '삼고초려' 대목 구성 37

〈표 5〉 바디별 '군사설움' 대목 구성 40

〈표 6〉 바디별 군사점고 등장인물 45

〈표 7〉 김연수 바디 '공명이 십만개의 살을 얻는' 대목 사설 비교 49

〈표 8〉 김연수 바디 '현덕의 재간청' 대목 사설 비교 50

〈표 9〉 김연수 바디 '현덕이 간청하는' 대목 사설 비교 52

〈표 10〉 김연수 바디 '남병산 제단' 대목 사설 비교 53

〈표 11〉 김연수 바디 '군사점고-골내종이' 대목 사설 비교 55

〈표 12〉 김연수 바디 '군사점고-내두리' 대목 사설 비교 58

〈표 13〉 〈적벽가〉에서 사용된 장단 60

〈표 14〉 바디별 〈적벽가〉 장단 구성 비교 62

〈표 15〉 바디별 〈적벽가〉 장단 사용 비율 68

〈표 16〉 바디별 〈적벽가〉 장단 구성 유사 비율 70

〈표 17〉 김연수 바디 붙임새 기호에 관한 용어 79

〈표 18〉 '삼고초려' 대목 바디별 악조와 출현음 82

〈표 19〉 '삼고초려' 대목 바디별 붙임새 사용 비율 87

〈표 20〉 '삼고초려' 대목 서편제 계열 바디 장단-사설 구성 비교 89

〈표 21〉 '군사설움(부모생각)' 대목 바디별 악조와 출현음 92

〈표 22〉 '군사설움(부모생각)' 대목 바디별 붙임새 사용 비율 97

〈표 23〉 바디별 '군사설움(부모생각)' 대목 장단-사설 구성 비교 99

〈표 24〉 '군사설움(자식생각)' 대목 바디별 악조와 출현음 101

〈표 25〉 '군사설움(자식생각)' 대목 바디별 붙임새 사용 비율 108

〈표 26〉 '남병산 제단' 대목 바디별 악조와 출현음 113

〈표 27〉 '남병산 제단' 대목 붙임새 사용 비율 117

〈표 28〉 '자룡이 활 쏘는' 대목 바디별 악조와 출현음 121

〈표 29〉 '자룡이 활 쏘는' 대목 붙임새 사용 비율 128

〈표 30〉 '새타령' 대목 바디별 악조와 출현음 132

〈표 31〉 '새타령' 대목 붙임새 사용 비율 136

〈표 32〉 바디별 〈적벽가〉 악조 140

〈표 33〉 바디별 악조 활용 변조변청 사용 횟수 145

〈표 34〉 바디별 진양조장단 대목 붙임새 사용비율 148

〈표 35〉 바디별 중모리장단 '새타령' 대목 붙임새 사용비율 151

〈표 36〉 바디별 중중모리장단 '군사설움(자식생각)' 대목 붙임새 사용비율 152

〈표 37〉 바디별 자진모리장단 붙임새 사용비율 153

〈악보 1-1〉 '삼고초려' 대목 바디별 아래음역 확장 라-레 선율 83

〈악보 1-2〉 '삼고초려' 대목 박동진 바디 (라)-레-솔' 선율 84

〈악보 1-3〉 '삼고초려' 대목 김연수 바디 완전4도 골격선율 84

〈악보 1-4〉 '삼고초려' 대목 바디별 '3도 위 변조변청' 85

〈악보 1-5〉 '삼고초려' 대목 박동진 바디 악조 활용 86

〈악보 1-6〉 바디별 '삼고초려' 대목 주요 붙임새 88

〈악보 1-7〉 '삼고초려' 대목 바디별 '자고기이허며-' 사설 장단 90

〈악보 2-1〉 '군사설움(부모생각)' 대목 김연수 바디 5도 관계 변청활용 93

〈악보 2-2〉 '군사설움(부모생각)' 대목 정권진 바디 5도 관계 변청활용 93

〈악보 2-3〉 '군사설움(부모생각)'대목 김연수, 정권진 바디 5도 위 변청활용 94

〈악보 2-4〉 '군사설움(부모생각)' 대목 김연수 바디 4도 아래 변청 94

〈악보 2-5〉 '군사설움(부모생각)' 대목 김연수 바디 악조 활용 95

〈악보 2-6〉 '군사설움(부모생각)' 대목 송순섭 바디 4도 위 변청 96

〈악보 2-7〉 '군사설움(부모생각)' 대목 송순섭 바디 악조 활용 96

〈악보 2-8〉 바디별 '군사설움(부모생각)' 대목 주요 붙임새 98

〈악보 3-1〉 '군사설움(자식생각)' 대목 바디별 시' 음 독립사용 102

〈악보 3-2〉 '군사설움(자식생각)' 대목 바디별 5도 위 변청 104

〈악보 3-3〉 '군사설움(자식생각)' 대목 바디별 악조 활용 105

〈악보 3-4〉 '군사설움(자식생각)' 대목 정권진 바디 우조 선율 105

〈악보 3-5〉 '군사설움(자식생각)' 대목 정권진 바디 악조 106

〈악보 3-6〉 '군사설움(자식생각)' 대목 박동진 바디 우조 + 계면조 107

〈악보 3-7〉 바디별 '군사설움(자식생각)' 대목 완자걸이·잉어걸이 붙임새 109

〈악보 3-8〉 바디별 '할부정 불식허고' 사설 엇붙임 비교 111

〈악보 4-1〉 '남병산 제단' 대목 김연수 바디 완전 4도 관계 골격선율 114

〈악보 4-2〉 '남병산 제단' 대목 박동진 바디 아래음역 선율 114

〈악보 4-3〉 '남병산 제단' 대목 임방울 바디 골격선율 115

〈악보 4-4〉 '남병산 제단' 대목 송순섭 바디 3도 위 변조변청 115

〈악보 4-5〉 '남병산 제단' 대목 송순섭 바디 악조 활용 116

〈악보 4-6〉 '남병산 제단' 대목 바디별 주요 붙임새 118

〈악보 5-1〉 '자룡이 활 쏘는' 대목 서편제 계열 바디 우조선율 122

〈악보 5-2〉 '자룡이 활 쏘는' 대목 서편제 계열 바디 악조 활용 122

〈악보 5-3〉 '자룡이 활 쏘는' 대목 동편제 계열 바디 우조선율 123

〈악보 5-4〉 '자룡이 활 쏘는' 대목 동편제 계열 바디 악조 활용 124

〈악보 5-5〉 '자룡이 활 쏘는' 대목 송순섭 바디 변조변청 선율 125

〈악보 5-6〉 '자룡이 활 쏘는' 대목 송순섭 바디 악조 활용 125

〈악보 5-7〉 '자룡이 활 쏘는' 대목 바디별 시' 음 독립사용 선율 126

〈악보 5-8〉 바디별 '자룡이 활 쏘는' 대목 주요 붙임새 129

〈악보 6-1〉 '새타령' 대목 바디별 5도 위 변청 133

〈악보 6-2〉 '새타령' 대목 5도 위 변청 악조 활용 134

〈악보 6-3〉 '새타령' 대목 서편제 계열 바디 4도 아래 변청 134

〈악보 6-4〉 '새타령' 대목 서편제 계열 바디 4도 아래 변청 악조 활용 135

〈악보 6-5〉 바디별 '새타령' 대목 주요 붙임새 137

〈악보 7-1〉 김연수 바디 우조에서 4도 관계 선율 141

〈악보 7-2〉 바디별 '자룡이 활 쏘는' 대목 우조 골격 선율 143

〈악보 7-3〉 '남병산 제단' 대목 박동진 바디 우조 골격 선율 144

〈악보 7-4〉 바디별 우조 골격선율 145

〈악보 7-5〉 '삼고초려' 대목 김연수 바디 붙임새 활용 150

초록보기 더보기

 본고는 김연수바디 〈적벽가〉의 사설 구성과 음악적 특징 및 지향이 무엇인지 분석한 글이다. 김연수 바디 〈적벽가〉의 변별적 특질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여타 바디와의 비교 연구를 수행했다. 비교 대상으로 삼은 대표적인 바디는 서편제 계열의 정권진, 한승호바디, 동편제 계열의 임방울, 정광수, 박동진, 박봉술(송순섭)바디 그리고 신재효본 등이다. 김연수 바디 〈적벽가〉와 이들 바디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판소리 〈적벽가〉는 서편제와 동편제로 나뉘는 '제'의 특징적 구분이 아니라 바디별로 나누어짐을 알 수 있다. 〈적벽가〉는 김연수 바디를 포함한 비교 대상의 모든 바디에서 '초앞(도원결의 또는 공명천거)→삼고초려→박망파 싸움(또는 장판교싸움)→군사설움→공명이 동남풍 비는데→적벽대전→화용도 패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따라서 〈적벽가〉는 바디별로 '초앞'부터 '군사설움' 전(前)까지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그 후반부터는 유사한 내용으로 대목을 구성하고 있다.

둘째, 김연수 바디 〈적벽가〉 전반부의 사설은 정권진 바디의 것을 수용하고 있다. 초앞부터 '머리풀고 발벗인채' 대목까지이며, 신재효본과 박봉술제에서도 일부 사설을 수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수용방식은 한 대목의 사설을 오롯이 수용한 경우도 있지만, 장단의 변화, 사설의 가감, 한문으로 된 사설을 한글로 풀어서 구성, 새로운 사설 창작, 대목 순서 변화, 한글-한문 반복 사설구성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이면에 맞게 사설을 재구성하여 전개하고 있다.

셋째, 김연수 바디 〈적벽가〉의 장단 구성은 박봉술 바디와 가장 유사하다. 장단 사용 비율은 모든 바디에서 중모리와 자진모리장단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적벽가〉라는 영웅들의 전쟁이야기가 장단과 음악적인 요소가 만나면서 중모리와 자진모리장단이 주로 활용되어 구성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넷째, 김연수 바디 〈적벽가〉의 악조는 분석대상의 대목에서 우조와 계면조가 사용되고 있다. 우조는 아래음역이 확대되면서 미 음이 사용되며, 미-라' 의 완전4도 상행 선율이, 우조의 청과 완전4도 관계의 선율 도'-솔' 이 곡의 전체에서 골격선율로 사용된다. 악조의 일시적 변조, 변청은 계면조에서만 변청을 구성하고 있다.

다섯째, 김연수바디 〈적벽가〉의 붙임새 활용이다. 김연수바디는 '삼고초려' 대목에서 대마디대장단의 사용비율이 58.3%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며, 잉어걸이, 밀붙임, 당겨붙임 등의 다양한 붙임새를 활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는 진양조장단의 '24박론'을 구성하기 위함이다. 빠른 장단의 중중모리, 자진모리장단에서는 모든 바디에서 대마디대장단의 사용비율이 완자걸이, 잉어걸이 등의 붙임새와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김연수는 정정열의 소리를 계승하였지만, 거기에 머무르지 않고, 판소리에 대한 자신의 예술관을 바탕으로 새롭게 재구성하고 해석하여 김연수바디라는 새로운 판을 구성하였다. 그 판을 구성함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바로 이면이다. 그는 대목과 사설 구성, 장단의 이해, 악조 활용, 다양한 붙임새 등을 통하여 이면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특히 김연수는 악조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으며, 우조와 계면조의 악조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