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俗談의 活用 環境과 表現 意味 硏究 / 김혜경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2
청구기호
TD 411 -14-294
형태사항
v, 193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425521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명지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2014.2. 지도교수: 이창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6

I. 서론 9

1.1. 연구목적 10

1.2. 연구사 검토 14

II. 속담의 활용 환경과 표현 의미 21

2.1. 사회 21

1. 열 사람이 지켜도 한 도둑놈을 못 막는다. 21

2. 말 한마디에 천 냥 빚도 갚는다. 24

3. 호랑이에게 물려가도 정신만 차리면 산다. 27

4. 사흘 굶어 도둑질 아니 할 놈 없다. 29

5.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다. 30

6. 믿는 나무에 곰이 핀다. 32

7. 미꾸라지 한 마리가 온 웅덩이를 흐려 놓는다. 33

8. 금강산도 식후경 35

9. 돈만 있으면 개도 멍첨지라 36

10. 손이 들이굽지 내굽나 38

11. 어물전 망신은 꼴뚜기가 시킨다. 39

12. 소 앓고 외양간 고친다. 40

13. 바늘 도둑이 소도둑 된다. 42

14. 산 입에 거미줄 치랴. 43

15. 봄비가 잦으면 마을 집 지어미 손이 크다. 44

16. 눈치가 빠르면 절에 가도 젓갈을 얻어먹는다. 45

17. 사람의 새끼는 서울로 보내고 마소 새끼는 제주로 보내라. 46

18.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 47

19. 가을 메는 부지깽이도 덤벙인다. 48

20. 염불에는 맘이 없고 잿밥에만 맘이 있다. 49

21. 작은 고추가 더 맵다. 50

22. 모르면 약이요 아는 게 병 51

23. 사람은 죽으면 이름을 남기고 범은 죽으면 가죽을 남긴다. 52

24. 여름비는 잠 비 가을비는 떡 비 53

25. 눈 감으면 코 베어 먹을 세상 53

26. 병 주고 약 준다. 54

27. 이월 바람에 검은 쇠뿔이 오그라진다. 55

28. 여인은 돌면 버리고 기구는 빌리면 깨진다. 55

29. 돈이 제갈량 56

30. 무는 개를 돌아본다. 57

31. 돈만 있으면 귀신도 사귄다. 58

32.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58

33. 암닭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 59

34.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 60

35. 재주는 곰이 넘고 돈은 되놈이 받는다. 60

36.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61

37. 꼽추는 고쳤어도 사람은 죽었다. 61

38. 뒷간에 갈 적 마음 다르고 올 적 마음 다르다. 62

39. 웃는 낯에 침 못 뱉는다. 63

40. 뱁새가 황새를 따라가면 다리가 찢어진다. 63

41. 구르는 돌은 이끼가 안 낀다. 64

42.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하는 것보다 못하다. 64

43. 세 살 적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 65

44. 여자는 사흘을 안 때리면 여우가 된다. 66

45. 소경 제 닭 잡아먹기 66

46. 업은 자식에게 배운다. 67

47. 참새가 방앗간을 그저 지나랴. 67

48. 고려공사 삼일(高麗公事 三日) 68

49. 열 사람이 지켜도 한 도둑놈올 못 막는다. 69

2.2. 정치 70

1.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70

2. 말 한마디에 천 냥 빚도 갚는다. 72

3. 손이 들이굽지 내굽나 73

4. 암탈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 74

5.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 75

6.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진다. 76

7. 들어온 놈이 동네 팔아먹는다. 77

8. 권세는 십 년을 가지 못한다. 77

9. 말 타면 경마 잡히고 싶다. 78

10. 고자쟁이가 먼저 죽는다. 79

11. 때리는 시어미보다 말리는 시누이가 더 밉다. 80

12. 호랑이에게 물려가도 정신만 차리면 산다. 81

13. 사훌 굶어 도둑질 아니 할 놈 없다. 81

14. 어물전 망신은 꼴뚜기가 시킨다. 82

15. 재주는 곰이 넘고 돈은 되놈이 받는다. 82

16.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83

17. 꼽추는 고쳤어도 사람은 죽었다. 83

18. 뒷간에 갈 적 마옴 다르고 올 적 마음 다르다. 84

19. 웃는 낯에 침 못 뱉는다. 84

20. 뱁새가 황새를 따라가면 다리가 찢어진다. 85

21. 구르는 돌은 이끼가 안 낀다. 85

22.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하는 것보다 못하다. 86

23. 개 꼬리 삼 년 묵어도 황모 되지 않는다. 86

24. 제 버릇 개 줄까. 87

25. 모난 돌이 정 맞는다. 87

26. 이웃이 사촌보다 낫다. 88

27. 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한다. 88

28. 쌀독에서 인심 난다. 89

29. 중이 고기 맛을 알면 절에 빈대가 안 남는다. 89

30. 고려공사 삼일(高麗公事 三日) 90

31. 나랏일을 하는 것은 재앙의 근본이다. 95

32. 쥐를 때리려 해도 접시가 아깝다. 97

33. 무른 땅에 말뚝 박기 98

34.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진다. 100

35. 관가 돼지 배 앓는 격 101

36.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날까. 102

37. 열 사람이 지켜도 한 도둑놈을 못 막는다. 104

38. 술 마신 자는 우물에 들어가지 않는다. 105

39. 녹비에 가로왈 106

40. 언 발에 오줌 누기 107

41. 맺은 놈이 풀지 108

2.3. 국제 109

1. 개 꼬리 삼 년 묵어도 황모 되지 않는다. 109

2.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 110

3. 큰 코 다칠세라 111

4. 호랑이에게 물려가도 정신만 차리면 산다. 112

5. 손이 들이굽지 내굽나 112

6.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다. 113

7. 어물전 망신은 꼴뚜기가 시킨다. 113

8. 재주는 곰이 넘고 돈은 되놈이 받는다. 114

9. 사촌이 땅올 사면 배가 아프다. 114

10. 세 살 적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 115

11. 여자는 사흘을 안 때리면 여우가 된다. 115

12.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진다. 116

13. 제 버릇 개 줄까. 116

14. 모난 돌이 정 맞는다. 116

15. 이웃이 사촌보다 낫다. 117

16. 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한다. 117

17.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 118

18. 범의 굴에 들어가야 범올 잡는다. 118

2.4. 경제 119

1. 값싼 비지떡 119

2. 개 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산다. 121

3. 외상이면 소도 잡아먹는다. 121

4. 서울이 낭이라니까 과천부터 긴다. 122

5.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123

6. 사람의 새끼는 서울로 보내고 마소 새끼는 제주로 보내라. 123

7.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 124

8. 가을 메는 부지깽이도 덤벙인다. 124

9. 재주는 곰이 넘고 돈은 되놈이 받는다. 125

10. 세 살 적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 125

11. 소경 제 닭 잡아먹기 126

12. 쌀독에서 인심 난다. 126

13.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 127

14. 공짜라면 양잿물이라도 먹는다. 127

15. 고려공사 삼일(高麗公事 三日) 128

2.5. 문화 128

1.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가윗날만 같아라. 128

2. 중이 고기 맛을 알면 절에 빈대가 안 남는다. 130

3. 복날 개 패듯 131

4. 대한이 소한의 집에 가서 얼어 죽는다. 132

5. 사람의 새끼는 서울로 보내고 마소 새끼는 제주로 보내라. 132

6. 염불에는 맘이 없고 잿밥에만 맘이 있다. 133

7. 꼽추는 고쳤어도 사람은 죽었다. 133

8. 업은 자식에게 배운다. 134

9. 개 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산다. 134

10. 공짜라면 양잿물이라도 먹는다. 135

11. 쥐를 때리려 해도 접시가 아깝다 135

12. 고려공사 삼일 137

2.6. 스포츠 138

1. 호랑이에게 물려가도 정신만 차리면 산다. 138

2. 손이 들이굽지 내굽나 138

3. 작은 고추가 더 맵다. 139

4. 참새가 방앗간을 그저 지나랴. 139

5.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 140

6. 범의 굴에 들어가야 범을 잡는다. 140

7. 공짜라면 양잿물이라도 먹는다. 140

III. 속담의 활용 양상 142

3.1. 대치형 143

1. 고려공사 삼일 143

2. 미꾸라지 한 마리가 온 웅덩이를 흐려 놓는다. 145

3. 녹비에 가로왈 146

4. 여자가 한을 품으면 오뉴월에도 서리가 내린다. 147

5. 가마솥 밑이 노구솥 밑을 검다 한다. 147

6. 길가에 집짓기 148

7. 사람은 죽으면 이름을 남기고 범은 죽으면 가죽을 남긴다. 148

3.2. 도치형 149

1. 열 사람이 지켜도 한 도둑놈을 못 막는다. 149

3.3. 첨가형 150

1. 업은 자식에게 배운다. 150

3.4. 축약형 151

1. 사람은 죽으면 이름올 남기고 범은 죽으면 가죽을 남긴다. 151

2. 고려공사 삼일 151

IV. 속담 활용 환경의 통합적 접근 153

4.1. 사용 빈도와 분포 153

4.2. 활용 환경의 상호 관계망 156

V. 결론 165

참고문헌 170

부록 173

〈부록 1〉 『조선왕조실록』 소재 속담 173

〈부록 2〉 경향신문〈여적〉 소재 속담 186

Abstract 199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구비물인 속담이 어떠한 언어 환경 속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어 오늘날까지 구비 전승되고 있는지 밝히는 방편의 하나로, 경향신문 단평란 <여적>과『조선왕조실록』에서 사용된 속담을 기본 자료로 하여, 속담이 활용된 맥락을 비교 · 분석하고 그 변화의 양상과 상호간의 관련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속담은 우리의 언어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대중 속에 유통 또는 사용 되고 있으며, 시대의 변천에 따라 새로운 속담이 생성되고 소멸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속담 사전이나 속담 모음집에 기록된 속담보다는 속담이 직접 활용된 맥락을 통해서 속담의 활용 양상과 표현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가치가 있는 일이라 생각한다. 본 연구를 위해 경향신문 <여적> 난에서 활용된 속담과『조선왕조실록』에서 활용된 속담 중에서 2회 이상 반복적으로 사용된 속담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 속담들 간의 활용 환경을 살펴보고 관계의 상호성을 분석하기 위해 <여적> 난에서 속담을 활용한 텍스트를 속담을 사용한 시점과 사회 · 정치 · 경 제 · 문화 · 국제 · 스포츠의 맥락으로 분류하고,『조선왕조실록』에서 속담을 활용한 텍스트는 속담을 사용한 시점과 사회 · 정치 · 경제 · 문화의 맥락으로 분류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 <여적> 난에서는 하나의 속담이 하나의 같은 사용 맥락에서 활용되는가 하면, 또한 다른 맥락에서도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회와 관련된 맥락에서 활용된 속담으로「열 사람이 지켜도 한 도둑놈을 못 막는다」, 「사흘 굶어 도둑질 아니 할 놈 없다」, 「바늘 도둑이 소도둑 된다」, 「여자는 사흘을 안 때리면 여우가 된다」,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눈 감으면 코 베어 먹을 세상」등이 있다. 이 속담들은 사회적 맥락 특히 그 중에서도 주로 범죄와 관련된 사건 · 사고의 맥락에서 활용되었다.

정치와 관계된 맥락에서 활용된 속담은 정치인들의 태도와 부정부패, 정당, 정부 정책과 관련해서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말 한마디에 천 냥 빚도 갚는다」,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 「어물전 망신은 꼴뚜기가 시킨다」, 「제 버릇 개 줄까」등은 정치인의 언어, 행동과 관련해서 활용되었고, 「손이 들이굽지 내굽나」, 「들어온 놈이 동네 팔아먹는다」등은 같은 당끼리, 우리끼리라는 집단의 식이 반영되어 활용되었다.

국제와 관계된 맥락에서 활용된 속담은 주로 일본과 연관되면서 다수 활용되었다. 「개 꼬리 삼 년 묵어도 황모 되지 않는다」, 「세 살 적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 「제 버릇 개 줄까」, 「재주는 곰이 넘고 돈은 되놈이 받는다」 등 일본의 행태를 비유하는데 활용되었다.

경제와 관계된 맥락에서 활용된 속담은 금융, 부동산, 기업 등과 관련되어 다수 활용되었다. 「공짜라면 양갯물이라도 먹는다」, 「외상이면 소도 잡아먹는다」,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 「소경 제 닭 잡아먹기」등은 신용카드, 외채, 세금, 금리 등에 비유되었고, 「서울이 낭이라니까 과천부터 긴다」는 '과천' 이라는 지명이 있어 부동산에 비유되었다.「값싼 비지떡」과 「개 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산다」는 기업의 제품 생산과 기업윤리를 비유하였다.

문화와 관계된 맥락에서 활용된 속담은 풍속, 종교, 예술 등과 관련되어 활용되었다.「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가윗날만 같아라」, 「복날 개 패듯」, 「대한이 소한의 집에 가서 얼어 죽는다」등은 추석, 중복, 대한, 소한 등을 비유하였고, 「염불에 는 맘이 없고 잿밥에만 맘이 있다」, 「중이 고기 맛을 알면 절에 빈대가 안 남는다」는 종교와 관련되어 활용되었다.

스포츠와 관계된 맥락에서 활용된 속담은 선수의 정신력, 경기, 체전 등에서 활용되었다.「호랑이에게 물려가도 정신만 차리면 산다」, 「작은 고추가 더 맵다」, 「범의 굴에 들어가야 범을 잡는다」등은 선수들의 강한 정신력을 비유하는데 활용 되었고, 「참새가 방앗간을 그저 지나랴」와 「공짜라면 양잿물이라도 먹는다」, 「배보 다 배꼽이 더 크다」등은 스포츠 선수 외에 관계자와 관람객 등을 비유하였다.

하나의 속담이 다양한 맥락 속에서 활용된 속담으로「호랑이에게 물려가도 정신만 차리면 산다」는 속담을 들 수 있다. 이 속담은 급변하는 국제 정세, 정치, 사회 속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 환경, 스포츠 등 모든 영역에서 활용되었다. 이는 경 쟁사회 속에서 정신을 차리고 살아가야 하는 대중들의 의식이 속담으로 반영되어 있는 것을 보여준다 할 수 있다.「손이 들이굽지 내굽나」는 속담은 우리나라, 정치인의 같은 당, 우리 팀 등 '우리'라는 집단의식이 강하게 작용하는 맥락에서 활용 되었다.

『조선왕조실록』에서 활용된 속담은, 『조선왕조실록』이라는 문헌이 지니고 있는 특성상, 각각의 속담이 대부분 정치적 맥락에서 사용되었다. 「고려 공사 삼일」은 고려의 정책과 정령이 자주 바뀐다는 뜻이지만 "조선공사 삼일"로 활용되어 조선시대 정치와 관련되어 활용되었다. 또한 우리나라 사람들이 무슨 일을 할 때 처음에는 일을 잘하다가 나중에는 자주 바뀜을 지적하는 의미로도 활용되었다. 「쥐를 때리려 해도 접시가 아깝다」는 속담은 왕실의 계층 문화, 조선의 외교정책 등과 관련되어 활용되었고 「열 사람이 지켜도 한 도둑놈을 못 막는다」는 속담은 도둑, 죄인, 오랑캐를 비유하는데 활용되었다.

시대의 변천에 따라 『조선왕조실록』과 <여적>에서 공통으로 사용된 속담의 활용 양상은 속담의 기본 형식에 낱말이나 어구, 어휘 등으로 대치한 것, 낱말이나 어구, 절 등을 첨가한 것, 속담의 앞뒤를 도치하여 활용한 것, 속담의 일부분을 축 약하여 활용하였다. 활용된 속담에 따라 그 의미가 축소, 유지, 확대되기도 하였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