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0
ABSTRACT 11
제1장 서론 12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2
1.2. 연구 동향 14
1.3. 연구 내용 및 구성 14
제2장 제안하는 시스템 16
2.1. 하우스 영역의 검출 18
2.2. 컬링 스톤 영역의 검출 21
2.3. 컬링 스톤 분류기 22
2.4. 컬링 스톤 추적기 23
2.4-1. 특징 공간 구성 23
2.4-2. 스톤 추적을 위한 최적 색상 추출 방법 24
2.4-3. 스톤 추적 정보의 유지 및 보정 방법 27
2.5. 검출 정보의 표현 29
제3장 실험 및 결과 30
3.1. 실험 설계와 환경 30
3.2. 하우스 영역의 검출 32
3.3. 검출 정보의 표현 33
3.4. 컬링 스톤의 추적 34
3.4-1. Mean-shift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톤 추적 35
3.4-2. 최적 색상 정보 추출 36
3.4-3. 스톤 추적 정보의 유지 및 보정 43
제4장 결론 및 향후 연구방향 45
참고문헌 47
[그림 2-1] 제안하는 시스템의 전체 흐름도 16
[그림 2-2] 하우스 내 좌표계 설정 18
[그림 2-3] 하우스 내 각 세부 명칭 19
[그림 2-4] 외곽선 이미지(좌)에서 수평선, 수직선 정보를 제거(우) 19
[그림 2-5] ROI의 설정 20
[그림 2-6] 차연산을 통한 스톤영역의 검출 및 모폴로지 연산 21
[그림 2-7] 검출된 스톤 영역을 레이블링 21
[그림 2-8] Hue 정보를 이용한 스톤 색상의 분류 22
[그림 2-9] 1차원 특징벡터(X)의 확률밀도함수 24
[그림 2-10] 컬링 스톤의 RGB 채널별 히스토그램의 확률분포함수와 누적분포함수 25
[그림 2-11] 최적 색상 추출 기법을 이용한 히스토그램 특징벡터 생성의 예 26
[그림 2-12] 칼만 필터를 이용한 컬링 스톤 추적 정보의 유지 및 보정 27
[그림 2-13] 칼만 필터 요소 28
[그림 2-14] 컬링 경기 기록을 위한 하우스 이미지 29
[그림 3-1] 컬링 실험 환경의 제작 30
[그림 3-2] 상황별 시퀀스 이미지 31
[그림 3-3] 기존의 허프 원 변환(좌), 제안된 방법(우) 32
[그림 3-4] 검출된 스톤의 좌표를 새로운 하우스 이미지에 표현 33
[그림 3-5] 적색 원 구간에서 레드 스톤 추적 35
[그림 3-6] 채널별 16개 bin으로 구성된 불균등 히스토그램(Set_1) 36
[그림 3-7] 채널별 16개 bin으로 구성된 불균등 히스토그램(Set_3) 37
[그림 3-8] 평균 기울기 값보다 큰 구간 중 연속적인 구간을 특징으로 할당 38
[그림 3-9] 제안한 방법으로 색상을 추출한 결과 39
[그림 3-10] RGB 컬러 모델 40
[그림 3-11] 칼만 예측 정보를 이용하기 위한 Threshold 43
[그림 4-1] 향구 연구 방향 46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