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Ferns and lycophytes of Cambodia = 캄보디아의 양치 및 석송 식물상 / 황인천 인기도
발행사항
전주 :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3.8
청구기호
TD 570 -13-509
형태사항
vii, 592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70758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전북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2013.8. 지도교수: 선병윤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Title Page

Contents

요약 7

I. Introduction 11

II. Historical background 16

1. Botanical study 16

2. Study of ferns 18

III. Materials and Methods 24

1. Field survey 24

2. Taxon sampling 27

3. Classification systems 27

4. Literatures 28

IV. Results and Discussion 30

1. Characteristics of ferns and lycophytes in Cambodia 30

1) List of ferns 30

2) Distribution by province 36

3) Distribution by altitude 38

4) Distribution by ecology 41

5) Phytogeographical patterns 44

2. New Taxa 48

1) xCephalodictyum thambangensis B.-Y. Sun & I.C. Hwang, hybrid nov. 48

2) Lindsaea kohkongensis B.-Y. Sun & I. C. Hwang sp.nov. 54

3. Taxonomic treatment 61

1. Lycopodiaceae P. Beauv. ex Mirb., Hist. Nat. Vég. Classés par Familles 4: 293. 1802. 66

2. Selaginellaceae Willk. Anleit, Stud. Bot. 2: 163. 1854. 75

3. Isoetaceae Dumort., Anal. Fam. Pl. 67. 1829. 106

4. Psilotaceae J. W. Griff. & Henfr., Microgr. Dict.540. 1855. 108

5. Equisetaceae Michx. ex DC., Essai Propr. Méd. Pl. 49. 1804. 110

6. Ophioglossaceae Martinov, Tekhno-Bot. Slovar. 438. 1820. 112

7. Marattiaceae Kaulf. Enum. Filic. 31. 1824. 118

8. Osmundaceae Martinov, Tekhno-Bot. Slovar. 445. 1820. 122

9. Hymenophyllaceae Mart., Consp. Regn. Veg. 3. 1835. 124

10. Gleicheniaceae C. Presl, Reliq. Haenk. 1: 70. 1825. 152

11. Dipteridaceae Seward & E. Dale, Phil. Trans. R. Soc. B 194: 487, 499, 502. 1901. 164

12. Lygodiaceae M. Roem., Handb. Allg. Bot. 3: 520. 1840. 166

13. Schizaeaceae Kaulf., Wesen Farrenkr. 119. 1827. 175

14. Marsileaceae Mirb. in Lam. & Mirb. Hist. Nat. Vég. 5: 126. 1802. 178

15. Salviniaceae Martinov, Tekhno-Bot. Slovar. 559. 1820. 181

16. Plagiogyriaceae Bower, Ann. Bot. (London) 40: 484. 1926. 185

17. Cibotiaceae Korall, Taxon 55(3): 712. 2006. 187

18. Cyatheaceae Kaulf., Wesen Farrenkr. 119. 1827. 189

19. Lindsaeaceae C. Presl ex M.R. Schomb., Reis. Br.-Guiana 3: 883, 1048. 1848. 199

20. Pteridaceae E.D.M. Kirchn., Schul.-Bot. 109. 1831. 219

21. Dennstaedtiaceae Lotsy, Vortr. Bot. Stammesgesch. 2: 655. 1909. 275

22. Aspleniaceae Newman, Hist. Brit. Ferns 6. 1840. 295

23. Blechnaceae Newman, Hist. Brit. Ferns, ed. 2: 8. 1844. 318

24. Athyriaceae Alston, Taxon 5: 25. 1956. 325

25. Thelypteridaceae Pic. Senn., Webbia 24: 709. 1970. 335

26. Lomariopsidaceae Alston, Taxon 5: 25. 1956. 374

27. Dryopteridaceae Herter, Revista Sudamer. Bot. 9: 15. 1949. 378

28. Tectariaceae Panigrahi, J. Orissa Bot. Soc. 8: 41. 1986. 416

29. Oleandraceae Ching ex Pic. Serm., Webbia 20(2): 745. 1965. 435

30. Nephrolepidaceae Pic. Serm., Webbia 29(1): 8-11. 1974. 441

31. Davalliaceae M.R. Schomb., Reis. Br.-Guiana 3: 883. 1848. 451

32. Polypodiaceae J. Presl & C. Presl, Delic. Prag.:159. 1822. 467

4. Conclusion 558

Abstract 560

References 565

Appendix 1. List of ferns and lycophytes in Cambodia 576

Table 1. Survey dates and regions 24

Table 2. Summary of the checklist of ferns and lycophytes in Cambodia 31

Table 3. Taxa found only in the literatures 34

Table 4. List of species showing restricted distribution in particular area 37

Table 5. Division of ecology type 42

Table 6. Comparision of characters in Cephalomanes javanicum, × Cephalodictyum thmabangensis and Abrodictyum obscurum 51

Table 7. Comparision of characters in L. ensifolia, L. kohkongensis and L. heterophylla 57

Fig 1. Research areas in the literatures 23

Fig 2. Survey areas in Cambodia 26

Fig 3. Number of species distribution at each region 37

Fig 4. Distribution of species and its maximum altitude 39

Fig 5. Distribution of species and its minimum altitude 40

Fig 6. Number of taxa by altitudinal belt 41

Fig 7. Distribution rate of ecology type 44

Fig 8. A comparition of the species of ferns in Cambodia and other neighboring countries 45

Fig 9. Distribution rate of ferns in Cambodia on the Asiatic tropics 46

Fig 10. Distribution of the Main Taxanomic Group of the Cambodian Ferns in the Neighboring Countries 48

Fig 11. Comparision of plants in 1-Abrodictyum obscurum, 2-Cephalomanes javanicum and 3-× Cephalodictyum thmabangensis 52

Fig 12. Comparision of Cells in 1-Cephalomanes javanicum, 2-×Cephalodictyum thmabangensis and 3-Abrodictyum obscurum 52

Fig 13. ×Cephalodictyum thmabangensis 53

Fig 14. Habitate and Plants of L. kohkongensis 58

Fig 15. Comparision of Plant in 1, 2-L. ensifolia, 3-L. heterophylla and 4-L. kohkongensis 59

Fig 16. Lindsaea kohkongensis 60

초록보기 더보기

캄보디아는 타이만의 동쪽으로 위치하며, 동경 102°41′-107°37′, 북위 10°21′-14°41′사이에 있다. 국토의 넓이는 181,035 ㎢이다. 캄보디아는 서부지역과 국경을 따라 분포하는 산지를 제외하곤 대부분이 평지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 산지는 북서쪽에서 남서쪽으로 이어지는 Cardamom mountains과 Elephant mountains, 북쪽으로 태국에서 라오스까지 이어지는 Dangre mountains가 있으며, 동쪽에는 라오스와 베트남의 국경이 있는 Ranttanakiri지역에서 남쪽의 Namlier mountain 까지 이어지는 Central Highland 지역이 있다. 캄보디아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메콩 강은 동북쪽에서 부터 400km를 흘러 베트남의 Mekong delta지역에 이른다. 캄보디아의 중부에는 아시아 최대의 Tonle Sap 호수가 위치하며, 우기에 메콩 강의 수위가 올라가면, Tonle Sap 호수로 흘러들고, 건기때 메콩 강의 수위가 내려가면 호수의 물은 다시 강으로 흘러 만조 때에 바닷물이 강으로 역류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기후는 건기와 우기가 뚜렷한 몬순 기후대에 속 한다. 우기에는 남서풍이 불며 고온다습하고, 강수량은 1,000-4,000mm가량으로 지역적 편차가 크다. 건기는 북서풍이 불며 건조한 날씨가 지속된다. 캄보디아를 포함한 인도차이나 반도의 식물연구는 1800년대 후반에 시작 되었으며, 양치식물 연구는 Thorel에 의해 1866년부터 1868년 까지 Tonle Sap호수에서 메콩 강을 따라 라오스로 까지 이동하면서 채집된 표본을 근거로 시작되어 졌다. 이후 1900년대 초반까지 Pierre, L., Godefroy, A., 등에 의해 조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표본은 Pellaea cambodiensis Baker, Polypodium lebeufii Baker, Polypodium lateritium Baker 등 3 신종이 Baker에 의해 1891년 발표 되어 첫 문헌으로 확인된다. 또한 Tardieu & Christensen은 1936년부터 1939년 까지 Les Fougères D'Indochine V–XII에 캄보디아의 식물을 포함하여 발표하게 되며, 해당 목록을 포함하여 1939년부터 1951년에 Flore générale de l'Indochine에 142분류군이 기록된다. 그리고 2000년에는 Dy Phon에 의해 15분류군, 2009년 Maxwell은 17분류군의 양치식물을 포함하여 캄보디아의 식물목록을 발표하게 된다. 따라서 캄보디아에서는 162분류군의 양치식물이 기록된다. Cyathea podophylla var oculata, Antrophyum callifolium var. germainii, Antrophyum coriaceum, Pteris cretica var. laeta, Tectaria cumingiana, Davallia divaricata var. orientalis 등 6 분류군은 문헌에 기록된 표본을 확인한 결과 오동정으로 판단되어 제외 하였으며, Hymenophyllum osmundoides, Pyrrosia eberhardtii 등 2 분류군은 문헌 검토결과 H. polyanthos, P. heteractis의이명으로 판단되어 제외 하였다. Athyrium macrocarpum var. atkinsonii 는 채집지역이 베트남 지역으로 제외 하였다. 기존 문헌에 기록된 9 분류군이 제외 되였다. Lindsaea cambodgensis, Crepidomanes racemulosum, Dicranopteirs pedata 등 7분류군은 학자에 따라 견해를 달리 하는 종들로 분류학적 재검토가 이루어졌다. 또한 1 신 잡종 ×Cephalodictyum thmabangensis와 1 신종 Lindsaea kohkongensis를 확인 되었다. Cambodia의 양치식물은 32과 102속 330종 7변종으로 총 337 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167 분류군이 캄보디아에서 추가로 기록 되었다. 특산식물은 3 분류군이 확인 되었다. 문헌에서만 확인된 분류군은 21분류군으로 확인되며, 해당 분류군들은 표본정보가 없거나 분류학적으로 문제시 되더라도, 인접국가의 조사자료에서 캄보디아에 분포한다고 언급된 분류군 이거나 캄보디아내의 조사자료로서 충분히 분포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어 목록에 포함하였으며, 분류학적으로 문제시 되는 분류군에 대해서도 해당 분류군의 모든 표본을 확인할수 없어 목록에서 제외 하지 않았다. 캄보디아양치식물은 각 지역별로 많은 산지가 포함되거나 폭포등의 특이 지형이 있는 곳에서 많은 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해당 지역에서만 확인된 분류군 또한 이와 같은 지형적 특성에 영향이 있었다. 각 고도 구간에 해당하는 종수는 300 m, 800 m, 1,200 m 구간에 특징적으로 구분되어 지고 있다. Cambodia의 식생 분포에서 대체로 Alt. 300 m 까지는 낙엽활엽수림, Alt. 300 m 이상에서는 상록활엽수림이 분포하고 있다. Alt. 800 m 부근에서부터는 대부분 산지 능선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지형적으로도 변화가 이루어지는 구간이다. 또한 Alt. 800 m 부분에서부터 gymnosperm 식물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Alt. 1,200 m에서는 gymnosperm 식물이 군락을 나타내기도 하며, 넓은 초지가 형성되기도 한다. 양칙식물이 특징적으로 구분된 구간은 식생이나 지형적인 연관성도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각 구간별로는 800-1,200 m에서 190 taxa 로 가장 높은 다양성을 보이고 있었으며, 1,200 m 이상에서 101 taxa로 가장 낮은 다양성을 나타내었다. 800-1,200 m 구간에서 가장 높은 종 다양성을 보이는 것은 대부분의 산지가 해당 고도의 구간에 포함되어 있어 Cambodia의 지형적인 특성으로 보여진다. 생태형 별로는 44.4% 가 착생성으로 확인되고, 건조한 지역에서 확인되는 분류군과 계곡, 하천 등의 특정 지역에서 분포하는 분류군은 50% 이상으로 건조한 환경에 적응하거나 회피하여 분포하는 분류군으로 캄보디아의 몬순기후를 반영하는 결과로 보여진다. 주변국가와의 비교에서는 특정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종류는 말레이시아에서 오스트레일리아 북쪽까지 이어지는 지역보다 중국남부를 포함하는 아시아 대륙에 보다 유사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남쪽방향으로는 말레이 반도를 거쳐 모두 섬으로 이루어진 지역으로 monsoon의 방향에 따른 분포확산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 남부 지역과의 유사도가 높게 나타나는 결과 남북방향으로 이어지는 강과 산맥의 영향이 보다 큰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지역적으로 특정 분포를 보이는 양치식물은 캄보디아의 양치식물이 어느 지역에 영향을 더 많이 받는지를 알게 해주는 중요 종들이며 이러한 지형적 지리적 특징에는 monsoon, 산맥, 강 등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기후와 지형 지리적인 특징과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또한 캄보디아의 양치식물은 동남아시아 지역의 분포확산 경로의 중간 지역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