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학생참여 공공미술 프로젝트 지도방안 연구 : 2009년 중학교 개정교육과정 중심으로 / 조선경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8
청구기호
TM 707 -13-249
형태사항
v, 58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61547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미술교육전공, 2013.8. 지도교수: 이종구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0

II. 공공미술의 이론적 배경 12

1. 공공미술의 개념과 정의 12

2. 공공미술의 역사와 변화 14

3. 공공미술의 유형 16

1) 공공장소 속의 기념조형물 17

2) 공공장소속의 환경조형물 19

3) 새로운 장르의 공공미술 23

4. 공공미술의 교육적 가치와 필요성 25

III. 2009년 중학교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미술교육 27

1. 2009년 개정 교육과정 중 주요 개정 내용 및 개정 방향 27

2. 2007년 개정교육과정과 2009년 개정교육과정의 차이점 28

3. 중학교 미술교과서에서의 공공미술 30

4. 공공미술 관련단원 표현활동 수업 내용분석 및 비교 37

IV. 공공미술 지도계획 43

1. 공공미술 교육적 활용의 한계점 43

2. 공공미술을 활용한 미술지도 계획 43

1) 단원 44

2) 단원선정 이유 44

3) 단원 학습의 목표 44

4) 차시 계획서 45

3. 본시학습계획 46

1) 본시 학습목표 46

2) 본시 학습계획(세안) 46

3) 지도상의 유의점 52

4) 평가기준 및 평가표 52

4. 수업결과 56

V. 결론 59

참고문헌 61

국문초록 63

Abstract 65

[표 1] 공공미술의 기능 13

[표 2] 공공미술의 개념과 제도적 변화 14

[표 3]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차이점 29

[표 4] 두산동아, 미진사, 천재교육, 금성출판사 공공미술부분 정리 31

[표 5] 단원과 학습주제 44

[표 6] 차시 계획서 45

[표 7] 본시 학습계획(세안) 46

[표 8] 평가기준 표 52

[그림 1-1] 〈3.1독립선언기념탑〉, 1980 17

[그림 1-2] 〈정조대왕 능행 반차도〉, 2005 17

[그림 1-3] 〈세계 평화의 문〉, 1988 18

[그림 1-4] 〈카루젤 개선문〉, 1808 18

[그림 1-5] 〈세종대왕상〉, 2009 18

[그림 1-6] 〈자유의 여신상〉, 1976 18

[그림 1-7] 〈오페라 하우스〉, 1973 19

[그림 2-1] 조나단 브로프스키, 〈망치질하는 사람〉, 2002 20

[그림 2-2] 헨리 무어, 〈누운 형태〉, 2007 20

[그림 2-3] 알렉산더 칼더, 〈플라밍고〉, 1974 20

[그림 2-4] 클레스 올댄버그, 〈셔틀콕과 블루베리파이〉, 1999 21

[그림 2-5] 클레스 올댄버그, 〈자이언트 풀볼〉, 1977 21

[그림 3-1] 〈라데팡스〉, 1958-1990 22

[그림 3-2] 〈구엘공원〉, 1900-1914 22

[그림 3-3] 도쿠진 요시오카, 〈비가 오면 사라지는 의자〉, 2002 23

[그림 3-4] 시게루 우치다, 〈님께 드릴 건 사랑밖에 없어요!〉, 2004 23

[그림 4-1] 프랭크 스텔라, 〈아마벨〉, 1997 24

[그림 4-2] 클레스 올덴버그, 〈스프링〉, 2006 24

[그림 4-3] 홍현숙, 〈은닉된 에너지〉, 2002 24

[그림 4-4] 로이 리히텐슈타인, 〈집III〉, 2002 25

[그림 5-1] 함께 만드는 시각문화 학생예시 작품 37

[그림 5-2] 김연지 외 30명(학생작품), 〈완성된 미술실 보관함〉 38

[그림 5-3] 김민경(학생작품), 〈노는 걸 멀리해야 공부할 수 있어〉, 2007 38

[그림 5-4] 이소라(학생작품) 〈나가서 놀고 싶어〉, 2007 38

[그림 5-5] 이하얀 외(학생작품), 〈화장실을 쾌적한 공간으로 변화〉, 2004 39

[그림 5-6] 이상백 외(학생작품), 〈재활용 수거장에 학생들이 그린 벽화〉, 2009 39

[그림 5-7] 김경아 외(학생작품), 〈선과선의 연결로 모양과 공간을 만듬〉, 2012 40

[그림 5-8] 구영희 외(학생작품), 〈이를 물은 악어〉(모래조소/20x200x30), 2009 40

[그림 5-9] 김지선 외 4명(학생작품), 〈용솟음〉(모래/가변크기) - 땅 위로 기운이 솟는 느낌을 모래에 쌓아 표현하였다. 41

[그림 5-10] 개선 전 모습 42

[그림 5-11] 이예닮(학생작품), 〈우리학교 개선 프로젝트〉 42

[그림 5-12] 박진호(학생작품), 〈전통거리〉 42

[그림 6-1] 예시과정1 47

[그림 6-2] 예시과정2 48

[그림 6-3] 예시과정3 48

[그림 6-4] 예시과정4 48

[그림 6-5] 예시과정5 49

[그림 6-6] 예시과정6 49

[그림 6-7] 예시작품1 50

[그림 6-8] 예시작품2 50

[그림 6-9] 예시작품3 51

[그림 7-1] 작품진행 1 56

[그림 7-2] 작품진행 2 56

[그림 7-3] 모의수업 학생작품 1 57

[그림 7-4] 모의수업 학생작품 2 57

[그림 7-5] 모의수업 학생작품 3 58

[그림 7-6] 모의수업 학생작품 4 58

초록보기 더보기

 오늘날 현대인들에게 미술은 더 이상 일부러 찾아다니는 문화가 아닌 우리 시대의 흐름에 따라 함께 공존하고 변화하는 생활이 되었다. 대표되는 문화양상중의 하나로 공공미술은 환경을 아름답게 하고 미술에 대한 새로운 가치함량을 길러준다. 이에 따라 공공미술은 학생들에게는 미술관에 가야만 미술을 감상하는 것이라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일상생활 속에서 미적 가치를 발견하고 느끼며 경험을 통한 미술의 가치를 발견하게 한다. 또한, 생활 속에 들어온 공공미술의 예들은 학생들로 하여금 미술에 대한 비판적 사고와 공공미술의 특징인 소통과 공동체를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 될 것이다.

이렇듯 공공미술이 학생들에게 미적 체험을 가장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사회적 , 교육적 의미를 부여함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공공미술에 대해 무지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공공미술의 폭넓은 역할과 교육적 경험을 학생들에게 심어주어 공공미술의 이해력과 협동심 등의 향상을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공공미술의 이론적인 고찰과 2009년 개정교육과정 중학교 교과서 내용을 통해 연구배경의 타당성을 만들고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수업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흐름을 살펴보면, II장에서는 공공미술의 개념 및 변화와 활용에 따른 예시를 제시하여 공공미술이 학생들에게 도입되어야 하는 필요성과 교육적인 효과에 대해 서술하였다. III장에서는 2009년 개정교육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그에 따라 바뀐 중학교 교과서에서 공공미술의 단원과 내용을 비교 분석한다. 이어서 IV장에서는 '책상커버'제작을 통한 미술지도안을 세워 학생들에게 지도한 결과를 제시하고 V장에서는 결론으로 마무리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내의 공공미술 내용을 바탕으로 새로운 수업 지도안을 구성하여 교사의 주도적인 수업이 아닌 학생 참여 수업으로 모둠활동을 통해 수업의 목적과 학습내용을 습득하고 계속적인 질의응답을 통해 학생들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었다.

둘째, 공공미술 수업을 통해 현대 사회 곳곳에 자리 잡고 있는 공공미술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개념을 얻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더하여 위와 같은 결과를 더 효과적으로 기대하기 위해 공공미술 수업의 진행을 위한 학교현장의 실질적 지원과 이해와 수업개발을 바탕으로 학교현장에서의 교사와 학생을 위한 공공미술 인식에 대한 강좌와 프로그램소개로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활성화 장려를 제시한다.

본 연구는 이처럼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공공미술수업을 중학교 교육의 특성에 맞게 구체적인 수업지도방안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