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뮤직비디오에 나타나는 여성성의 표출과 이데올로기적 함의 : 여성 댄스 뮤직비디오의 포맷과 콘텐츠, 공간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Representation of feminity in music videos and their ideological meanings : a semiotic analysis on format, contents and space of female artists' dance music videos / 이규동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3.8
청구기호
TM 070 -13-107
형태사항
xi, 198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61110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2013.8. 지도교수: 백선기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12

제1장 서론 15

1. 문제제기 15

2. 연구목적 17

제2장 기존문헌 고찰 및 이론적 배경 19

1. 뮤직비디오의 정의 및 특성 19

가. 뮤직비디오의 정의 19

나. 뮤직비디오의 특성 20

2. 뮤직비디오의 포맷과 콘텐츠 23

가. 뮤직비디오의 음악 장르별 콘텐츠 23

나. 뮤직비디오 영상의 포맷과 콘텐츠 27

3. 뮤직비디오의 공간과 의미 35

가. 뮤직비디오에서의 공간 35

나. 뮤직비디오의 공간과 의미 38

4. 뮤직비디오와 여성성의 관계 40

가. 여성성의 개념 40

나. 뮤직비디오에 나타나는 여성성 표출방식 42

다. 뮤직비디오의 여성성과 이데올로기 43

제3장 연구문제 47

제4장 연구방법 49

1. 분석대상 49

가. 국내 뮤직비디오 시상식의 역사 49

나. 분석 대상 52

2. 분석방법 53

가. 기본 분석틀 -피스크(Fiske)의 텔레비전 약호 53

나. 영상화면의 기호 구성 분석 55

다. 바르트의 2단계 의미작용 59

라. 분석과정에 대한 정리 60

제5장 연구결과 62

1. 엄정화 〈배반의 장미〉의 분석 62

가. 가사의 기호학적 분석 및 서사분석 62

나. 영상의 기호학적 분석 66

다. '배반의 장미'의 소결 86

2. 이효리 〈10 minutes〉의 분석 87

가. 가사의 기호학적 분석 및 서사분석 87

나. 영상의 기호학적 분석 92

다. '10 minutes'의 소결 113

3. 원더걸스 〈Nobody〉의 분석 114

가. 가사의 기호학적 분석 및 서사분석 114

나. 영상의 기호학적 분석 119

다. 'Nobody'의 소결 141

4. 소녀시대 〈Gee〉의 분석 142

가. 가사의 기호학적 분석 및 서사분석 142

나. 영상의 기호학적 분석 146

다. 'Gee'의 소결 165

5. 티아라 〈롤리폴리〉의 분석 166

가. 가사의 기호학적 분석 및 서사분석 166

나. 영상의 기호학적 분석 170

다. '롤리폴리'의 소결 193

제6장 결론 194

1. 요약 194

2. 결론 및 함의 198

3. 연구의 한계 및 제언 202

참고문헌 204

ABSTRACT 210

〈표 1〉 뮤직비디오의 특성과 그 의미 22

〈표 2〉 뮤직비디오 포맷과 콘텐츠의 분류 방식 34

〈표 3〉 연도별 뮤직비디오 작품상/인기상 51

〈표 4〉 분석 대상의 음악 차트 순위 52

〈표 5〉 카메라 기법과 그 의미 55

〈표 6〉 샷의 종류와 개념 56

〈표 7〉 샷의 앵글 및 움직임의 종류와 의미 57

〈표 8〉 조명에 내포된 기의 57

〈표 9〉 색의 연상 및 상징 58

〈표 10〉 바르트의 의미 작용 2단계 59

〈표 11〉 각 분석 항목별 분석방법 61

〈표 12-1〉 '배반의 장미' 가사의 기호학적 분석 62

〈표 12-2〉 '배반의 장미'의 제1층위에서의 2단계 의미형성 68

〈표 12-3〉 '배반의 장미'의 제1층위 중 '장소'의 2단계 의미형성 74

〈표 12-4〉 '배반의 장미'의 내러티브 축에서 제2층위의 의미형성 (1) 75

〈표 12-5〉 '배반의 장미'의 내러티브 축에서 제2층위의 의미형성 (2) 78

〈표 12-6〉 '배반의 장미'의 퍼포먼스① 축에서 제2층위의 의미형성 80

〈표 12-7〉 '배반의 장미'의 퍼포먼스②, ③ 축에서 제2층위의 의미형성 82

〈표 12-8〉 '배반의 장미'에서 발견되는 신화 85

〈표 12-9〉 '배반의 장미'에 내재된 이데올로기 85

〈표 13-1〉 '10 minutes' 가사의 기호학적 분석 87

〈표 13-2〉 '10 minutes'의 제1층위에서의 2단계 의미형성 94

〈표 13-3〉 '10 minutes'의 제1층위 중 '장소'의 2단계 의미형성 100

〈표 13-4〉 '10 minutes'의 내러티브 축에서 제2층위의 의미형성 (1) 101

〈표 13-5〉 '10 minutes'의 내러티브 축에서 제2층위의 의미형성 (2) 104

〈표 13-6〉 '10 minutes'의 내러티브 축에서 제2층위의 의미형성 (3) 106

〈표 13-7〉 '10 minutes'의 퍼포먼스 축에서 제2층위의 의미형성 (1) 108

〈표 13-8〉 '10 minutes'의 퍼포먼스 축에서 제2층위의 의미형성 (2) 110

〈표 13-9〉 '10 minutes'에서 발견되는 새로운 여성성에 대한 신화 112

〈표 13-10〉 '10 minutes'에 내재된 이데올로기 112

〈표 14-1〉 'Nobody' 가사의 기호학적 분석 114

〈표 14-2〉 'Nobody'의 제1층위에서의 2단계 의미형성 121

〈표 14-3〉 'Nobody'의 제1층위 중 '장소'의 2단계 의미형성 126

〈표 14-4〉 'Nobody'의 내러티브 ①축에서 제2층위의 의미형성 127

〈표 14-5〉 'Nobody'의 내러티브 ②축에서 제2층위의 의미형성 129

〈표 14-6〉 'Nobody'의 내러티브 ③축에서 제2층위의 의미형성 (1) 132

〈표 14-7〉 'Nobody'의 내러티브 ③축에서 제2층위의 의미형성 (2) 135

〈표 14-8〉 'Nobody'의 내러티브 ③축에서 제2층위의 의미형성 (3) 138

〈표 14-9〉 'Nobody'에서 발견되는 신화 140

〈표 14-10〉 'Nobody'에 내재된 이데올로기 140

〈표 15-1〉 'Gee' 가사의 기호학적 분석 142

〈표 15-2〉 'Gee'의 제1층위에서의 2단계 의미형성 148

〈표 15-3〉 'Gee'의 제1층위 중 '장소'의 2단계 의미형성 153

〈표 15-4〉 'Gee'의 내러티브 축에서 제2층위의 의미형성 (1) 154

〈표 15-5〉 'Gee'의 내러티브 축에서 제2층위의 의미형성 (2) 156

〈표 15-6〉 'Gee'의 내러티브 축에서 제2층위의 의미형성 (3) 158

〈표 15-7〉 'Gee'의 퍼포먼스① 축에서 제2층위의 의미형성 160

〈표 15-8〉 'Gee'의 퍼포먼스② 축에서 제2층위의 의미형성 162

〈표 15-9〉 'Gee'에서 발견되는 신화 164

〈표 15-10〉 'Gee'에 내재된 이데올로기 164

〈표 16-1〉 '롤리폴리' 가사의 기호학적 분석 166

〈표 16-2〉 '롤리폴리'의 제1층위에서의 2단계 의미형성 172

〈표 16-3〉 '롤리폴리'의 제1층위 중 '장소'의 2단계 의미형성 178

〈표 16-4〉 '롤리폴리'의 내러티브① 축에서 제2층위의 의미형성 (1) 179

〈표 16-5〉 '롤리폴리'의 내러티브② 축에서 제2층위의 의미형성 (2) 181

〈표 16-6〉 '롤리폴리'의 내러티브② 축에서 제2층위의 의미형성 183

〈표 16-7〉 '롤리폴리'의 내러티브③ 축에서 제2층위의 의미형성 (1) 185

〈표 16-8〉 '롤리폴리'의 내러티브③ 축에서 제2층위의 의미형성 (2) 187

〈표 16-9〉 '롤리폴리'의 퍼포먼스 축에서 제2층위의 의미형성 189

〈표 16-10〉 '롤리폴리'에서 발견되는 신화 192

〈표 16-11〉 '롤리폴리'에서 발견되는 이데올로기 192

〈표 17-1〉 각 노래별 여성성의 제1층위와 제2층위에서의 변화관계 예시 197

〈표 17-2〉 각 노래별로 발견되는 여성성 200

〈표 17-3〉 각 노래별로 발견되는 이데올로기 200

〈그림 1-1〉 텔레비전 약호체계 및 콘텐츠, 포맷와의 관계 53

〈그림 1-2〉 텔레비전 약호를 응용한 뮤직비디오 영상분석틀 54

〈그림 3-1〉 '배반의 장미'의 내러티브 축 66

〈그림 3-2〉 '배반의 장미'의 퍼포먼스①, ②, ③ 축 67

〈그림 4-1〉 '10 minutes'의 내러티브 축 92

〈그림 4-2〉 '10 minutes'의 퍼포먼스 축 93

〈그림 5-1〉 'Nobody'의 내러티브 축 119

〈그림 6-1〉 'Gee'의 내러티브 축 146

〈그림 6-2〉 'Gee'의 내러티브 및 퍼포먼스 축 147

〈그림 7-1〉 '롤리폴리'의 내러티브①, ② 170

〈그림 7-2〉 내러티브③ 및 퍼포먼스 축 171

초록보기 더보기

 뮤직비디오는 앨범의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일종의 광고이자 오늘날의 대중문화의 유행을 선도하는 문화물의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뮤직비디오는 성차별, 인종차별, 계급차별 등의 이데올로기 투쟁의 장(場)이다. 이 중 댄스 장르의 뮤직비디오는 폭력성과 선정성이 분명하게 드러나는 분야이며, 특히 여성이 그 대상이 되어왔기 때문에 이 논문은 뮤직비디오에서 여성성의 발견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기존에 연구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진 선정성과 폭력성 차원의 발견을 넘어 더 넓은 범위로 그 논의를 확대하고자 인물을 둘러싸는 공간의 구성과 그 재현을 중요한 분석의 대상으로 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진행하기 위하여 뮤직비디오의 콘텐츠와 포맷, 공간이라는 개념과 뮤직비디오에서 연구된 여성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텔레비전 약호 개념을 응용하여 뮤직비디오에 맞는 틀을 구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음악 시상식의 뮤직비디오 수상작들의 일부를 선정하여 노래의 가사와 영상에 대해 중첩적, 종합적으로 기호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뮤직비디오들을 가사와 영상으로 구분하여 정리하면, 먼저 가사의 측면에서 노랫말의 서사와 뮤직비디오의 서사가 일치하지 않았다. 일부 기호나 뉘앙스가 비슷한 경우는 있었지만 서사는 서로 상관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영상의 측면에서 첫 번째, 제1층위에 해당하는 인물의 외모와 행위 및 장소를 분석한 결과 뮤직비디오의 여성들은 외모와 행위를 통해 서로 다른 주제를 표출하고 있었는데 〈배반의 장미〉에서는 성격과 심리상태를, 〈10minutes〉에서는 여성의 신념과 미의 기준을, 〈Nobody〉에서는 여성의 성공 및 지위 상승을, 〈Gee〉에서는 소녀가 지닌 성숙한 육체미를, 〈롤리폴리〉에서는 한국 여성의 제도에의 순응과 일탈의 기억에 대해 드러내고 있었다. 또한 여성이 속한 장소는 대부분 실내나 인위적 공간 등 제한된 영역 안에서만 존재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 제1층위에서 발견한 의미들은 제2층위의 포맷과 제1, 2층위의 결합물인 공간의 재현을 분석하면서 강화되거나 전환되기도 하였다. 〈Nobody〉에서 여성들이 성공할 때마다 신체 노출이 과해지는 것과 맞물려 카메라도 여성을 더 자극적으로 노출시키는 재현을 통해 성공과 노출이 상관관계가 있다는 메시지를 강화시키고 있었다. 〈Gee〉에서 여성들의 춤을 통해 성인여성의 육체적 매력을 강조하면서도 동시에 그들을 유아적 공간이나 청소년을 연상시키는 칠판 앞에 두는 것을 통해 소녀들임을 강조하여 롤리타 신드롬을 강화시키고 있었다. 반대로 〈배반의 장미〉에서 여성의 란제리 의상은 여성을 기계실이라는 장소에 두고 재현하는 방식을 통해 여성의 관능미가 아닌 성적 저항의 의미로 전환되었다. 〈10minutes〉에서 여성의 외모는 섹시함을 강조하였지만 남성적인 장소에서 여성을 재현하는 것을 통해 남성의 영역에 대한 여성의 사회적 활동영역의 확장이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또한 〈롤리 폴리〉에서 카메라 샷이 일탈적 여성들을 중심에 놓는 것을 통해 그들의 행위가 정당하며 주체적인 것임을 의미하게 되었다.

세 번째, 뮤직비디오들은 여성에 관한 서로 다른 사회적 의미들을 내포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엄정화의 〈배반의 장미〉에서는 남성지배적 사회현실 속에서 가해자이면서도 피해자라는 기호에 묶여있는 여성, 그리고 표출되지 못하는 저항과 갈등에 고뇌하는 여성을, 이효리의 〈10minutes〉는 새로운 여성이 만드는 여성의 사회적 활동 영역확대와 권력관계 변화를, 원더걸스의 〈Nobody〉는 여성의 사회진출과 성공의 의미를, 소녀시대의 〈Gee〉는 남성의 기준에 맞추어진 환상적인 여성을, 〈롤리폴리〉는 젊은 여성에게 제도에의 순응은 부정적이고 비주체적 행동이라는 것과 한국 중년 여성의 순응적 삶으로의 수렴은 운명적인 것이라는 의미를 드러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뮤직비디오 내에서 여성성은 사회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들에 적극적으로 저항하는 형태로 드러나는 한편, 그 저항이 일어나는 공간은 실제의 생활공간이나 사회영역과 동떨어져 현실세계의 실현 가능성을 굉장히 낮은 것으로 그리기도 하였다. 또한 이데올로기에 적극 봉사하고 순응하는 형태로도 드러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