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고등학교 사회·문화 교과서 내 대중문화 내용 요소 분석 :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An)analysis on views and contents of mass culture education in the society-culture textbooks for the Korean high school / 허주원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2
청구기호
TM 300.7 -13-115
형태사항
iii, 58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40831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2013.2. 지도교수: 이상환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8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8

2. 연구 내용 및 방법 11

제2장 이론적 고찰 12

1. 대중문화 이론 12

1) 문화와 대중문화 12

2) 대중문화 부정론 18

3) 대중문화 긍정론 19

2. 대중문화에 대한 다양한 관점 21

1) 비판적 관점 21

2) 문화주의적 관점 23

3) 수용자 관점 25

3. 대중문화와 교육의 연관성 27

1) 대중문화와 청소년 27

2) 대중문화와 교육 28

제3장 사회·문화 교과서 대중문화 내용 분석 30

1. 분석 대상 및 방법 30

2. 고등학교 사회·문화 교육과정 분석 33

1) 교육 목표 33

2) 교육 내용 체계 33

3. 교과서 분석 34

1) 단원 분석 34

2) 내용 분석 35

4. 분석 결과 종합 48

제4장 사회과 교육에서의 대중문화 교육 방향 51

1. 교과서 내 대중문화 영역 확대 51

1) 대중문화 영역의 양적 확대 51

2) 대중문화 영역의 서술 관점 확대 52

2.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개방적 수용 53

1) 교육현장의 대중문화 수용 53

2) 대중문화 수용에서의 교사의 역할 55

제5장 결론 57

참고문헌 61

국문초록 64

〈표 1〉 대중문화를 다룬 단원의 비중 31

〈표 2〉 대중문화 주제별 교육내용 분석표 32

〈표 2-1〉 대중문화 자료의 활용도 분석표 32

〈표 3〉 3단원 내용 체계 33

〈표 4〉 대중문화를 다룬 단원의 비중 35

〈표 5〉 대중문화 주제별 교육내용 분석표 (교학사) 36

〈표 5-1〉 대중문화 자료의 활용도 분석표 (교학사) 36

〈표 6〉 대중문화 주제별 교육내용 분석표 (금성출판사) 40

〈표 6-1〉 대중문화 자료의 활용도 분석표 (금성출판사) 40

〈표 7〉 대중문화 주제별 교육내용 분석표 (천재교육) 44

〈표 7-1〉 대중문화 자료의 활용도 분석표 (천재교육) 45

〈그림 1〉 교학사 읽기자료: 새로운 세대 문화를 만드는 트위터 38

〈그림 2〉 교학사 탐구활동: 네티즌 문화의 자유 어디까지 인정해야 하는가? 39

〈그림 3〉 금성출판사 읽기자료: 뉴스의 연성화 42

〈그림 4〉 금성출판사 탐구활동: 대중문화의 상품화 43

〈그림 5〉 천재교육 탐구활동: 대중문화와 비판적 인식 47

〈그림 6〉 천재교육 읽기자료: 청소년과 대중문화 48

초록보기 더보기

 유비쿼터스 시대로 도래한 오늘날 현대인은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대중매체에 노출되어 대중문화를 향유하고 있다. 대중문화를 바라보는 시각이나 생활 속에서 대중문화의 역할과 기능이 달라졌기 때문에 학교교육에서 대중문화는 무관심한 대상으로 존재할 수 없게 되었다. 대중문화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이 확대됨에 따라 본 연구는 고등학교 사회·문화 교과서를 중심으로 대중문화 영역의 내용요소와 교과서 서술의 관점을 분석해보고, 이를 근거하여 대중문화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 제시에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2012년에 발행된 고등학교 사회문화 교과서 3종 내 대중문화 영역의 교육 내용과 자료 활용을 비교·분석 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등학교 사회·문화 교과서 분석을 통해 나타난 대중문화교육의 몇 가지 문제점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첫째, 양적인 문제를 들 수 있다. 대중문화를 바로 알 수 있도록 지도하고 함께 교육 방향을 보완해가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이 교과서 안에서는 제대로 이루어 질 수 없을 정도로 적은 분량 배정이다. 둘째, 대중문화에 대한 편향적인 서술 관점에 있다. 대중문화에 대한 부정적 혹은 비판적 관점이 내용의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교과서에 서술된 대중문화에 관한 교육 내용이 청소년들의 현실과 괴리감을 가져올 수 있다. 이렇듯 청소년들의 문화에서 대중매체가 중심이 되는 현실에서 대중문화에 대한 부정적인 특징을 나열하는 것은 자칫 청소년문화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져 청소년들에게 죄책감 또는 대중문화는 잘못된 것이라는 인식을 가져와 교육의 효과를 기대하는 것은 어렵다.

분석 결과 보완 되어야 할 부분이 존재 하였고 앞으로 더 나은 교과서 개발과 대중문화 교육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대중문화가 가져다주는 정서적 고양과 현실적 영향력이 학생들의 성장에 토대가 된다는 점을 인지하고 오늘의 대중문화가 가지는 교육적 논의는 반드시 정규적인 교육과정과 제도적인 장치 하에서 분석되고 마련되어야 한다. 첫째, 교과서 내 대중문화에 대한 영역을 확대해야한다. 둘째, 학생들이 제도 교육을 통해 대중문화를 접하고 배우게 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