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TV 라이브 음악방송이 대중음악산업에 미치는 영향 : EBS 〈스페이스 공감〉을 중심으로 = (A)study on the TV live music program affects on Korean popular music industry : focusing on EBS 〈Space Gonggam〉 / 장연이 인기도
발행사항
용인 :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3.2
청구기호
TM 792.068 -13-12
형태사항
vii, 118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34134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공연예술학과 대중음악제작·경영전공, 2013.2. 지도교수: 박기영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1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1

2. 연구 방법과 범위 12

II. 대중음악산업 14

1. 대중문화와 TV 14

2. 대중음악의 정의 15

3. 음악산업의 정의와 특징 17

1) 정의 17

2) 특징 18

4. 국외 대중음악산업의 현황 및 전망 18

1) 세계 분야별 음악시장 규모 19

2) 주요 분야별 음악시장 규모 19

5. 국내 대중음악산업의 현황 20

1) 총괄 20

2) 음악공연산업 현황 23

III. TV 음악 프로그램의 발전 과정과 한국 대중음악사 25

1. TV 음악 프로그램의 개념과 유형 분류 25

2. 해외 TV 음악 프로그램의 시작과 전개 28

1) 세계 최초의 TV 음악 프로그램 28

2) 해외 TV 음악 프로그램 전개: 록(Rock)과 MTV 28

3. 국내 TV 음악 프로그램과 한국대중음악의 발전 31

1)1960년대: TV 방송국의 개국,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34

2)1970년대: 흑백 TV 전성시대, 그리고 청년문화 37

3)1980년대: 컬러 TV 시대 40

4)1990년대: 멀티미디어 TV 시대 44

5)2000년대: 아이돌 전성시대 48

4.TV 라이브 음악 프로그램의 현황 60

IV. EBS스페이스 공감(共感) 61

1. 프로그램 콘셉트 및 발전 과정 61

1) 기획의 배경: 시청자가 참여하는 열린 문화 공간 62

2) 제1기: 고급문화의 대중화, 대중문화의 고급화 63

3) 제2기: 그곳에 가면 진짜 음악이 있다 64

2. EBS 스페이스 공감(共感)의 현재 71

1) 성과 71

2) 수상 실적 72

3. 타방송 음악 프로그램과의 비교 73

1) KBS 〈유희열의 스케치북〉 74

2) EBS 〈스페이스 공감(共感) 76

3) 각 프로그램의 차별성 79

4. 제작 운영 및 한계점 81

5. 과제 및 제언 84

V. 결론 87

참고문헌 91

Abstract 93

부록 95

〈표 1〉 전 세계 분야별 음악시장 규모(2006~2015) 19

〈표 2〉 주요 국가별 음악시장 규모(2006~2015) 20

〈표 3〉 2010년 국내 음악산업 매출액 현황 21

〈표 4〉 2011년 콘텐츠산업 통계 22

〈표 5〉 2010년 온라인 음악 공연산업 매출액 현황 24

〈표 6〉 TV 음악쇼의 분류 25

〈표 7〉 형식에 의한 음악프로그램 분류 26

〈표 8〉 내용에 의한 음악프로그램 분류 26

〈표 9〉 대상에 의한 음악프로그램 분류 27

〈표 10〉 주요 방송환경의 변화시점과 내용(1960-2000) 32

〈표 11〉 1961년부터 1964년 KBS 음악프로그램 34

〈표 12〉 1965년부터 1966년 TBC 음악프로그램 35

〈표 13〉 1970년대 KBS 음악 프로그램 38

〈표 14〉 1980년대 KBS 음악 프로그램 41

〈표 15〉 1980년대 MBC 음악 프로그램 41

〈표 16〉 1990년대 KBS 음악 프로그램 44

〈표 17〉 1990년대 MBC 음악 프로그램 45

〈표 18〉 1990년대 SBS 음악 프로그램 46

〈표 19〉 2000년대 지상파 TV 음악프로그램 59

〈표 20〉 지상파 TV 라이브 음악 프로그램 현황(2012년 10월 현재) 60

〈표 21〉 EBS〈스페이스 공감〉의 자체 기획시리즈 현황 66

〈표 22〉 EBS〈스페이스 공감(共感)〉통계 수치 72

〈표 23〉 수상 실적 -EBS〈스페이스 공감(共感)〉 72

〈표 24〉 음악장르별 방송횟수(유희열의 스케치북) 74

〈표 25〉 음악장르별 참여뮤지션 비중 (유희열의 스케치북) 75

〈표 26〉 음악장르별 방송횟수(스페이스 공감(共感)) 76

〈표 27〉 국가별 공연횟수(스페이스 공감(共感)) 80

〈표 28〉 제작 인력 현황-EBS〈스페이스 공감(共感)〉 81

〈표 29〉 표준 제작비 현황(스페이스 공감(共感)) 82

〈표 30〉 EBS〈스페이스 공감(共感)〉티켓 신청 및 당첨,회수율 집계 83

〈그림 1〉 한국 최초의 TV 프로그램 '만파정식지곡(萬波停息之曲)' 32

〈그림 2〉 음악장르별 방송횟수(유희열의 스케치북) 75

〈그림 3〉 음악장르별 참여뮤지션 비중 76

〈그림 4〉 음악장르별 방송횟수(스페이스 공감(共感) 77

〈그림 5〉 각 음악장르별 방송횟수 78

〈그림 6〉 음악장르별 방송횟수(스페이스 공감(共感)) 80

〈그림 7〉 일반 홈페이지 신청자수의 흐름 83

초록보기 더보기

 오늘날 TV 방송은 문화 전반에 걸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중심 미디어로 존재한다. 그 중에서도 TV 음악프로그램은 대중음악산업에 있어서 절대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대중음악산업의 가장 큰 문제점은 기형에 가까운 시장의 불균형 현상, 즉 음악 시장이 흔히 '아이돌' 음악으로 대변되는 특정 장르로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다는 것이다. 대형 기획사 중심의 스타시스템이 사실상 시장을 지배하고 있으며 음악성과는 무관한 엔터테이너들만이 TV 방송 무대를 독점하고 있는 현실에 진지하고 창의적인 시선으로 음악을 만들어가는 '창작자'들이 대중의 시선이 닿지 않는 곳에 내몰리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실 속에 대중음악을 창작의 산물이라는 또 다른 시선으로 다루고 있는 대표적인 TV 라이브 음악 프로그램을 조사·분석하고 활성화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대중문화의 향유에 있어서 객체가 아닌 다양한 음악들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주체가 되어야만 하는 수용자, 그리고 대중음악산업에 있어서 '교양적' 대상이자 '예술'이자 '시대'를 반영하는 정신이라 할 수 있는 대중음악이라는 자원을 활용한 TV 라이브 음악프로그램의 폭넓은 발전을 위한 토대이기 때문이다.

1961년 KBS 방송국의 개국 이래 본격적인 TV 음악 쇼가 시작되었고 한국 대중음악은 황금기를 맞이했다. 1970년대의 청년문화를 거쳐 1980년대는 새로운 '음악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한 창작, 세션 및 녹음이 도입된 시기였으며, 1990년대는 창작 즉 작가주의를 내세운 음악성이 환영받던 마지막 시절이었다. 그리고 2000년대 중반 이후 아이돌 전성시대가 도래했다. 이것은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음이 분명하며 앞서 언급한 특정 장르의 편중화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 TV 음악프로그램이 대중음악산업에 미치는 영향력과 그에 따른 TV 라이브 음악 프로그램의 현재를 조망해보았다. 그 중 EBS 〈스페이스 공감(共感)〉의 중심축인 '창작'이라는 시점과 KBS 〈유희열의 스케치북〉을 지상파 공영방송의 대표적인 '라이브' 음악 프로그램이라는 시점에서 비교·분석해보았다. 중심이 되었던 EBS 〈스페이스 공감(共感)〉은 타 프로그램들에 비해 진지한 자세로 음악적 가치에 대해 탐구하고 그것을 좀 더 창조적으로 담아내려는 노력을 계속해서 진행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국내 TV 라이브 음악프로그램의 확장 및 유지를 위해서는 정형화되어 있는 방송 형식을 탈피하려는 노력과 함께 제작진의 음악적 전문성이 요구된다. 또한 방송사에서는 시청률의 제약을 완화시킴으로써 장기적인 프로젝트를 기획, 제작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방안들이 구체화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변화되어 간다면 국내 TV 음악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은 음악적 다양성의 확대와 함께 한 단계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