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창작 커뮤니티 센터 도입을 통한 아트 호텔 활성화에 관한 연구 : 홍대 지역 문화 장소 정체성 확립을 중심으로 = Study on vitalization of art hotel by introduction of creation community center : focusing on establishment of Hongik university local cultural identity / 김희영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3.2
청구기호
TM 729 -13-9
형태사항
viii, 110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12862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실내설계전공, 2013.2. 지도교수: 김정기, 강재준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3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4

1.2. 연구 범위 및 방법 16

제2장 장소 마케팅의 이론적 고찰 17

2.1. 장소의 개념 고찰 18

2.1.1. 어의 고찰 18

2.1.2. 장소의 구성요소 19

2.1.3. 장소성 형성요소와 구조 19

2.2. 장소 마케팅의 이론적 고찰 22

2.2.1. 장소 마케팅의 정의 22

2.2.2. 장소마케팅의 문화적 의의 24

2.2.3. 장소마케팅의 특성 및 유형 27

2.3. 장소마케팅 전략 수립의 방법론 32

2.3.1. 장소 전략 33

2.3.2. 마케팅 전략 33

2.4. 마켓 3.0의 이론적 고찰 42

2.4.1. 마케팅 핵심의 변화 42

2.4.2. 미래의 마케팅 개념 45

제3장 대상 사례 분석(홍대 지역을 중심으로) 51

3.1. 홍대 지역의 현황 분석 52

3.1.1. 형성 과정 52

3.1.2. 인구현황 54

3.1.3. 산업현황 57

3.1.4. 지역 문화 현황 59

3.2. 홍대지역의 장소성 66

3.3. 홍대지역의 장소 마케팅 전략적 분석 67

3.3.1. 문제점 및 시사점 67

3.3.2. 홍대지역문화 활성화 방안 68

3.4. 소결 71

제4장 문화 개념 및 시설이 도입된 사례 분석 73

4.1. 사례 분석의 대상 범위 및 선정 73

4.2. 아트호텔 74

4.2.1. 랭함 플레이스-홍콩 74

4.3. 복합 문화 공간 77

4.3.1. 플래툰 쿤스트할레 서울 77

4.3.2. KT&G 상상마당 80

4.4. 디자인 센터의 사례분석 85

4.4.1. 덴마크 디자인 센터(Danish design center) 86

4.4.2. 나고야 디자인센터(International Design Center Nagoya Inc.) 88

4.4.3. 소결 90

제5장 창작 커뮤니티 센터 실내 공간 계획 91

5.1. 계획의 방향 92

5.1.1. 계획의 전제 조건-장소 마케팅 전략적 요소의 적용과 공간 형성 92

5.2. 대상지 분석 95

5.3. 공간 계획 98

5.3.1. Storytelling 98

5.3.2. 공간 계획안 99

5.3.3. 조닝 계획 및 동선의 흐름도 100

5.4. 실내 계획 101

5.4.1. Design Concept 101

5.4.2. Space Concept 101

5.4.3. 색채 계획 102

5.4.4. 마감재 계획 102

5.5. 기본 계획도 103

5.5.1. 평면도 103

5.5.2. 천정도 104

5.5.3. 입면도 105

5.5.4. 투시도 106

5.5.5. 패널 이미지 113

제6장 결론 114

참고문헌 117

Abstract 120

〈표 2-1〉 선행 연구의 장소성 형성요소 20

〈표 2-2〉 장소 마케팅의 지역별 정의 24

〈표 2-3〉 장소마케팅 전략의 유형 28

〈표 2-4〉 마케팅 믹스의 구성요소 38

〈표 2-5〉 장소마케팅 전략의 문화 정치적 구성요소 41

〈표 3-1〉 홍대지역 거주인구 현황 55

〈표 3-2〉 홍대지역 연령대별 거주인구 현황 56

〈표 3-3〉 마포구 산업별 사업체 수 59

〈표 3-4〉 홍대지역 문화 자원 현황 65

〈표 3-5〉 건강한 지역 문화 활성화를 위한 요소의 역활 70

〈표 4-1〉 사례분석 대상지 73

〈표 4-2〉 랭함 호텔 개요 75

〈표 4-3〉 랭함 호텔의 문화 시설 분석 76

〈표 4-4〉 플래툰 쿤스트할레 건축 개요 78

〈표 4-5〉 플래툰 쿤스트할레 층별 구성 및 내부 79

〈표 4-6〉 KT&G 상상 마당 건축 개요 81

〈표 4-7〉 상상마당 시설 구성 83

〈표 4-8〉 덴마크 디자인 센터 건축 개요 86

〈표 4-9〉 덴마크 디자인 센터의 공간 구성 87

〈표 4-10〉 나고야 디자인 센터 공간 구성 89

〈표 4-11〉 문화 개념이 도입된 시설의 공간 분석표 90

〈표 5-1〉 대상지 건축 개요 95

〈표 5-2〉 Space Program 99

〈표 5-3〉 계획의 개요 99

〈그림 2-1〉 마케팅 개념의 진화 43

〈그림 2-2〉 '1.0 시장', '2.0 시장', 그리고 '3.0 시장' 45

〈그림 2-3〉 마케팅의 미래 50

〈그림 3-1〉 홍대지역 거주인구 현황 55

〈그림 3-2〉 홍대지역 연령대별 거주인구 분포도 56

〈그림 3-3〉 마포구 소재 주요 사업체 수 58

〈그림 3-4〉 마포구 디자인 특정 개발 진흥 지구 내 주요 사업체 수 58

〈그림 3-5〉 2010년 외국인 관광객 주요 방문지 비율 60

〈그림 3-6〉 홍대지역 대안 공간 및 갤러리 현황 62

〈그림 3-7〉 홍대지역의 문화 활성화 방안 68

〈그림 4-1〉 랭함 호텔 외부 이미지 74

〈그림 4-2〉 상상마당 컨셉 81

〈그림 4-3〉 KT&G 상상마당 문화 예술 영역 84

〈그림 4-4〉 디자인 센터의 주요 역할 85

〈그림 4-5〉 나고야 디자인 센터 이미지 88

〈그림 5-1〉 창작 커뮤니티 센터의 역할 93

〈그림 5-2〉 창작 커뮤니티 센터의 기능 94

〈그림 5-3〉 창작 커뮤니티 센터와 주변 지역과의 연계 94

〈그림 5-3〉 대상지 95

〈그림 5-4〉 Mass section 96

〈그림 5-5〉 주변 건물 현황 96

〈그림 5-6〉 대상지 교통 현황 97

〈그림 5-7〉 시나리오 진행 이미지 98

〈그림 5-8〉 Design Concept image 101

〈그림 5-9〉 색채계획 102

〈그림 5-10〉 마감재 계획 102

〈그림 5-11〉 평면도 103

〈그림 5-12〉 천정도 104

〈그림 5-13〉 입면도 105

〈그림 5-14〉 이벤트 홀 106

〈그림 5-15〉 이벤트 홀 107

〈그림 5-16〉 지하철역 진입 동선 108

〈그림 5-17〉 디자인 스토어 108

〈그림 5-18〉 A. V Room 109

〈그림 5-19〉 디자인 카페 110

〈그림 5-20〉 갤러리 111

〈그림 5-21〉 Exhibition 112

〈그림 5-22〉 패널 이미지 113

초록보기 더보기

 무한 경쟁에 내몰린 현대 소비 사회에서 디자인과 마케팅의 접목은 필요충분조건이 되었고 마케팅은 산업 디자인 분야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건축, 인테리어 및 매장의 제품 진열에 이르기까지 공간을 다루는 공간 디자인과도 매우 밀접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선행된 연구 문헌들을 보면 디자인과 마케팅이 접목된 산업디자인 분야, 장소의 상품화, 차별화 전략으로서의 마케팅 등의 연구로 진행되고 있을 뿐 실내 디자인 분야에서는 마케팅 시각으로 공간에 대한 논의가 매우 소극적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이 위치하고 있는 장소의 문화를 공간의 상품화 과정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장소 마케팅 전략을 분석하여 디자인 요소를 추출하고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용해 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장소의 개념 고찰을 통하여 장소의 구성 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하여 장소성의 형성 요소와 형성 구조를 파악하여 장소의 정체성을 발견, 해석, 기획, 생성하는 장소성 만들기 작업에서의 요소를 분석한다.

제2장에서는 마케팅의 개념을 정의하고 그 이론을 바탕으로 마케팅 전략의 단계를 세분화 분석하여 시장분석& 목표시장 선정 그리고 장소 마케팅 믹스의 요소와 장소 마케팅을 위한 설계요소를 추출하고 평가 기준을 통한 평가 및 피드백 과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홍대지역을 중심으로 사례분석을 통하여 장소성과 장소 마케팅의 전략적 요소를 추출한다.

제4장에서는 문화개념 및 시설이 도입된 사례분석을 통하여 적용된 문화 요소와 공간의 구성 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

제5장에서는 앞서 제시한 이론적 연구와 사례 분석을 토대로 공간계획을 전개 한다. 적용 대상은 '창작 커뮤니티 센터'이며 대상지는 서울시 동교동에 위치한 아트 호텔이다.

제6장에서는 이상의 내용을 종합 하여, 정리 하여 결론을 맺고자 한다.

지역 문화 장소 정체성을 적용한 창작 커뮤니티 센터 도입을 통해 세대 간의 교류가 활발하고 풍요로운 문화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문화 교류의 장을 형성 하고 문화, 예술인 산업, 상업, 지역 주민, 관광객이 참여 하여 함께 만들어 갈 수 있는 전시&체험&구매의 공간을 계획하고 제시함으로써, 지속 가능하고 건강한 지역 문화 부흥, 지역 경제 활성화를 이루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 한다.

앞으로는 실내 디자인 분야에서도 다양한 마케팅 전략이 접목되길 바라며, 본 논문을 통해 실내 디자인과 마케팅 분야의 접목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다양한 공간에서 적용될 수 있을 것을 기대 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