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한·미 FTA가 중·한 FDI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study on the effects of the US·Korea FTA on the FDI from China to Korea / 문덕광 인기도
발행사항
공주 :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3.2
청구기호
TM 658 -13-51
형태사항
v, 75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12421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공주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2013.2. 지도교수: 위오기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9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9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10

(1) 연구의 방법 10

(2) 연구의 구성 10

제2장 이론적 배경 12

1. 경제통합의 이론 12

(1) 경제통합 개념 12

(2) 경제통합의 단계 14

(3) 경제통합의 효과 22

2. 한국 FTA의 추진 현황 및 한·미 FTA 28

(1) 한국 FTA의 추진 현황 28

(2) 한·미 FTA의 의의 30

(3) 한·미 FTA의 현황 32

(4) 한·미 FTA의 효과 35

3. 한·중 FDI 42

(1) FDI의 의의 42

(2) 중·한 FDI의 현황 43

(3) 한·미 FTA 발효 후에 한국의 무역 변화 동향 45

(4) 한·미 FTA 발효 후에 한국의 외국인직접투자 변화 동향 47

(5)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동향 및 특징 50

제3장 실증연구 53

1. 연구모형 및 가설의 설정 53

(1) 한·미 FTA 경제효과에 관한 선행연구 53

(2) 연구모형 설계 56

(3) 가설 설정 57

2. 조작적 정의 57

3. 분석방법 58

4. 분석자료 59

① 중·한 FDI (해외직접투자) 59

② 투자환경 개선 61

③ 한미 교역량 62

④ 한국 시장규모 63

⑤ 한미 무역수지 63

⑥ 한국 고용량 64

제4장 실증분석 결과 및 논의 65

1. 요인간의 상관관계 65

2. 가설 검증과 결과해설 66

제5장 결론 72

1. 결론 및 요약 72

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76

참고문헌 77

ABSTRACT 81

〈표 2-1〉 경제통합의 단계 분류 14

〈표 2-2〉 유경식 (2007)의 경제통합의 효과 25

〈표 2-3〉 한국 FTA 추진 현황 28

〈표 2-4〉 한미 FTA 추진 경과 32

〈표 2-5〉 한미 FTA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선행 연구 39

〈표 2-6〉 중국 대한국 직접투자의 현황 44

〈표 2-7〉 우리나라의 주요국별 수출 동향 45

〈표 2-8〉 우리나라의 주요국별 수입 동향 46

〈표 2-9〉 연도별 외국인직접투자 실적 47

〈표 2-10〉 지역별 외국인직접투자 실적 49

〈표 3-1〉 조작적 정의 정리 57

〈표 3-2〉 2005-2011까지의 중국의 대 한국 제조업FDI와 전년대비 증가율 60

〈표 3-3〉 2005-2011까지의 중국의 대 한국 서비스FDI와 전년대비 증가율 60

〈표 3-4〉 2005-2011까지의 중국의 대 한국 농·축·수산·광업FDI와 전년대비 증가율 61

〈표 3-5〉 2005-2011까지의 미국의 대 한국FDI와 전년대비 증가율 62

〈표 3-6〉 2005-2011까지의 한미 교역량과 전년대비 증가율 62

〈표 3-7〉 2005-2011까지의 국내 GDP와 전년대비 증가율 63

〈표 3-8〉 2005-2011까지의 한미 무역수지와 전년대비 증가율 64

〈표 3-9〉 2005-2011까지의 한국 고용량과 전년대비 증가율 64

〈표 4-1〉 요인간의 상관관계정도 65

〈표 4-2〉 중국의 대 한국 제조업의 FDI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67

〈표 4-3〉 중국의 대 한국 서비스업의 FDI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68

〈표 4-4〉 중국의 대 한국 농·축·수산·광업의 FDI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70

〈그림 2-1〉 경제통합의 유형 정리 22

〈그림 2-2〉 한국의 대 중국 직접투자현황 43

〈그림 2-3〉 2002~2010년 중국 해외직접투자 누적금액 50

〈그림 3-1〉 연구모형 56

초록보기 더보기

 The full-fledged Korea-US FTA efforts were initiated in August 2003 with a concrete road map being brought into place. And after 8 years of hard work, the FTA went into force on March 15, 2012. Now with the FTA in place, South Korea expects to tap into a huge market.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Korea-US FTA in light of the rapidly soaring Korea-China trade or direct investments.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what kind of factors impact such relationships and bring about what results.

Propped by the surging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China became Korea's largest trading partner, No. 1 export destination and 1st overseas investment destination. Korea and China are geographically close together and share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Considering these, many view the two nations will certainly see their trading volume grow and pay more attention to China-Korea FDIs as well. Recognizing this, the study tried to find out what kind of effects the Korea-US FTA have on China-Korea FDIs in each industry.

This research carried out both literature study and empirical study. For statistical package of empirical analysis, the thesis utilized SPSS 15.0 and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each hypothesis to understand the impacts of independent variables on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this thesis has found that the Korea-US FTA-led outcomes such as Korea-US trade balance, Korea's employment increase, Korea's GDP growth, and Korea-US trade volume increase had significant influence over China-Korea manufacturing sector FDI flows. Among them, Korea-US trade balance, and Korea's employment increase, in particular, showed very significant impacts on China's manufacturing FDI to Korea. The US' direct investment increase into Korea, however, was found to have no impact on China-Korea manufacturing FDI flows. Some of the expected outcomes of the Korea-US FTA - Korea-US trade volume increase, Korea's GDP growth, and Korea-US trade balance improvement -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hina's service-sector FDIs to Korea whereas the expected US FDI increase into Korea and Korea's employment growth were not. Plus, in the hypothesis 3 on the Korea-US FTA's possible influence over China's agricultural/livestock/fishing/mining-sector FDIs to Korea, only Korea's GDP growth showed to have important impact. US FDI increase toward Korea, Korea-US trade volume increase, Korea-US trade balance improvement and Korea's employment growth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ver China's FDIs.

Consequentially, this thesis found that US FDIs to Korea and China's FDIs to Korea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in any industrial sector. A reason for this could be the fact that the FDIs from US and China are flowing into different sectors from each other. It should also be considered that there was some limit on collecting enough research data since the Korea-US FTA has been in effect not for long and the research findings may be difficult to generalize. We will need more intensive investigation and research based on more sufficient data from diverse sources in the future.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