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동일 강도 걷기와 달리기 운동이 20대 마른비만 여성의 신체조성, 유산소성 능력 및 무릎관절 근기능 변화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walking or running at same intensity on body composition, aerobic performance and muscle function of knee joint of normal weight obese women in their 20s / 오석종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2
청구기호
TM 796 -13-20
형태사항
iv, 47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08509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중앙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운동생리학전공, 2013.2. 지도교수: 이석인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8

1. 연구의 필요성 8

2. 연구목적 10

3. 연구의 가설 11

4. 연구의 제한점 12

5. 용어의 정의 12

1) 마른비만 12

2) 걷기 12

3) 달리기 12

4) 안정시 심박수 13

5) 대사당량 13

6) 회복기 심박수 13

7) 근력 13

8) 근지구력 13

II. 이론적 배경 14

1. 비만 14

2. 걷기와 달리기의 운동 효과 15

3. 등속성 운동 18

III. 연구방법 20

1. 연구대상 20

2. 연구절차 21

3. 운동프로그램 22

4. 측정도구 및 항목 23

5. 측정방법 24

1) 신체조성 24

2) 유산소성 능력 24

3) 등속성 근기능 25

6. 자료처리 26

IV. 연구결과 27

1. 신체조성에 미치는 변화 27

1) 체중 28

2) 신체질량지수 29

3) 체지방률 30

2. 유산소성 능력에 미치는 변화 31

1) 안정시 심박수 32

2) HRR 60% 대사당량(METs) 값 33

3) 회복시 심박수 34

3. 무릎관절의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변화 35

1) 무릎관절의 등속성 신전근력(60°/sec) 36

2) 무릎관절의 등속성 굴곡근력(60°/sec) 37

3) 무릎관절의 등속성 신전근지구력(180°/sec) 38

4) 무릎관절의 등속성 굴곡근지구력(60°/sec) 39

V. 논의 40

1.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40

2. 유산소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 41

3. 무릎관절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42

VI. 결론 및 제언 43

1. 결론 43

2. 제언 44

참고문헌 45

국문초록 50

Abstract 52

Table 1. 피험자의 신체적 특성 20

Table 2. 운동프로그램 22

Table 3. 측정도구 및 항목 23

Table 4. 에너지 소비량[VO₂(mL/kg/min)] 예측을 위한 대사량 계산법 25

Table 5. 신체조성에 미치는 변화 27

Table 6. 유산소 능력에 미치는 변화 31

Table 7. 안정시 심박수 Tukey's test 32

Table 8. 회복시 심박수 Tukey's test 34

Table 9. 무릎관절의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변화 35

Table 10. 신전 근력 Tukey's test 36

Table 11. 굴곡 근력 Tukey's test 37

Fig. 1. 연구 절차 21

Fig. 2. 체중의 변화 28

Fig. 3. 신체질량지수의 변화 29

Fig. 4. 체지방률의 변화 30

Fig. 5. 안정시 심박수의 변화 32

Fig. 6. HRR 60% METs 값의 변화 33

Fig. 7. 심박수의 변화 34

Fig. 8. 신전근력의 변화 36

Fig. 9. 굴곡근력의 변화 37

Fig. 10. 신전근지구력의 변화 38

Fig. 11. 굴곡근지구력의 변화 39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20대 마른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8주 동안 동일강도(HRR 60%) 걷기와 달리기 운동을 실시하여 신체조성(체중, 신체질량지수, 체지방률), 유산소성 능력(안정시 심박수, HRR 60% METs, 회복시 심박수) 및 무릎관절 근기능(신전근력, 굴곡근력, 신전근지구력, 굴곡근지구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신체조성 검사 후 신체질량지수는 정상이지만 체지방률은 30% 이상의 마른비만 여성으로 걷기 집단 9명, 달리기 집단 9명, 통제 집단 9명으로 분류하여 집단을 선정하였다. 운동프로그램은 총 8주간 주당 3회, 1회당 30분간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걷기 집단은 4.8km/h로 속도를 고정하고 경사도를 이용해 HRR 60%로 설정하였으며, 달리기 집단은 경사도를 0%로 고정하고 속도를 이용해 HRR 60%로 설정하였다.

모든 측정 항목은 평균(M)과 표준오차(SD)를 산출하여 집단 간 평균 차 검증을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집단 간 유의성이 발생한 경우 사후검증으로는 Tukey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집단별로 사전·사후 간 유의한 검정은 대응표본 t-검정으로 실시하였으며, 모든 검정의 유의수준은 P 〈 0.05로 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와 방법을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 집단 모두 신체조성에서는 시기, 집단 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본 연구 참여자의 특성상 마른비만 여성으로 정상체중이라는 점을 감안하였을 때, 단기간의 큰 신체조성의 변화는 어려운 것을 볼 수 있다.

둘째, 안정시 심박수와 회복기 심박수는 걷기 집단과 달리기 집단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고, 달리기 집단과 통제 집단 간의 차이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HRR60% 대사당량(METs) 값은 달리기 집단에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이는 8주간의 유산소 운동으로 유산소성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준 것을 볼 수 있다.

셋째, 신전근력과 굴곡근력은 걷기 집단과 달리기 집단에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고, 걷기 집단과 통제 집단, 달리기 집단과 통제 집단이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신전 근지구력은 달리기 집단에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고, 굴곡 근지구력은 걷기집단과 달리기 집단에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이는 8주간의 유산소 운동으로 무릎관절 근기능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준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걷기와 달리기 운동이 신체조성에서는 운동 전후 비슷한 양상을 보였지만, 유산소성 능력과 무릎관절의 근기능은 증가 되는 것을 제시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