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The effect of word frequency on English palatalization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이 발화한 영어의 구개음화 현상에 나타나는 단어빈도수 효과 연구 / 김민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2
청구기호
TM 420 -13-19
형태사항
iv, 70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08324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중앙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영어학전공, 2013.2. 지도교수: 이용은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Title Page

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8

1.1. The Purpose of the Thesis 8

1.2. The Organization of the Thesis 12

CHAPTER 2. Theoretical Backgrounds 14

2.1. Word Frequency Effect 14

2.2. English Palatalization 20

CHAPTER 3. Experimental Design: Production Experiment 27

3.1. Materials 27

3.1.1. Hoosier Mental Lexicon 27

3.1.2. Speech Materials 28

3.2. Participants 31

3.3. Procedure 34

3.4. Analysis 35

CHAPTER 4. Results and Discussion 37

4.1. Results 37

4.1.1. The Rate of Palatalization by Word Frequency 37

4.1.2. The Speech Rate by Word Frequency 42

4.1.3. Acoustic Evidence for Word Boundary Palatalization in English 47

4.2. Discussion 54

CHAPTER 5. Conclusion 61

References 64

Appendix 67

[Appendix 1] Test words (Stimuli) 67

[Appendix 2] Sentences which include low frequency words 68

[Appendix 3] Sentences which include high frequency words 71

국문초록 74

ABSTRACT 76

Table 1. Mean log-transformed word frequency of test words 29

Table 2. Information of participants 32

Table 3. The number of sentences in terms of word frequency and the realization of palatalization from the 'advanced level' group of Korean learners 38

Table 4. The number of sentences in terms of word frequency and the realization of palatalization from the 'low level' group of Korean learners 38

Table 5. The number of sentences in terms of word frequency and the realization of palatalization from the native English speaker group 38

Table 6. The number of palatalized sentences by other controlled variables 41

Table 7. Mean speech rates in terms of word frequency 44

Table 8. Means of duration from the word-final consonant to the following consonant in terms of the word frequency 46

Table 9. Means of duration from the word-final consonant to the following consonant in terms of the realization of palatalization 47

Table 10. Mean COG values at each point in terms of the realization of palatalization 52

Table 11. Changes in COG values for fricatives from the middle point to the end point 53

Figure 1. A spectrogram of include your 23

Figure 2. A spectrogram of include her 23

Figure 3. Spectrograms of /s, ∫, z, 3/(이미지참조) 24

Figure 4. Mean centroid values at beginning, middle, and end of the fricative for /s/, /∫/, and /s#j/ in English 25

Figure 5. A spectrogram of cease your 45

Figure 6. A spectrogram of spruce yourself 51

Figure 7. Changes in COG values in terms of the realization of palatalization 52

Figure 8. A spectrogram of lose his 58

초록보기 더보기

본 논문은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이 발화한 영어의 구개음화 현상에서 나타나는 구개음화의 실현 정도의 차이를 단어빈도수 효과로 설명하고, 그것을 실험으로 증명하고자 한다.

다양한 음운론적 규칙에 대한 많은 연구를 통해 단어의 빈도수가 규칙의 실현의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구개음화 규칙도 같은 음운론적 환경이지만 단어의 빈도수에 따라 실현의 정도가 달라진다. Yun (2012)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영어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단어 빈도수 효과를 조사를 하여 영어 모국어 화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의 흐름과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지만. 실험 재료를 만드는데 있어서 단어의 품사, 어형 변화의 유무, 참가자의 영어 능숙도와 같은 변인들을 통제하지 않고 실험을 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Yun (2012)의 연구를 기반으로, 본 논문에서는 보다 더 세밀한 변인통제를 통해 한국인들이 발화한 영어 구개음화 현상에서의 단어 빈도수 효과를 조사해보고자 한다. 한국인 참가자들은 주관적 능숙도와 토익성적, 전공 등으로 영어 능숙도에 따른 두 집단으로 나누었다. 그와 더불어 비교 집단으로 원어민 집단도 추가하였다. 실험 소재는 Yun (2012)에서 통제된 변인인과 더불어 단어의 품사를 타동사로 제한시켜 Zsiga (2000)처럼 '동사+목적어' 환경을 만들었다. 후행하는 단어는 대명사로 제한시켰으며 대명사의 첫 자음은 /j/ 나 /h/로 제한시켜 두 가지 조건으로 단어를 실제 존재하는 예시문을 통해 제시하였다. 단어는 저빈도, 고빈도로 나누어 Hoosier Mental Lexicon (Nubaum, Pisoni, and Davis 1984)에서 추출되었다. 빈도수에 따른 구개음화 실현의 정도를 참가자 집단에 따라 측정하였다. 또 빈도수에 따른 문장 발화 속도와 구개음화 실현에 따른 구개음화가 실현되는 해당 구간의 길이도 측정하였다. 마찰음의 경우 마찰구간을 세부분으로 나누어 각각의 COG (center of gravity)값을 측정하여 구개음화 실현 여부에 따른 값의 차이를 조사였다.

실험 결과 집단 간의 단어 빈도수에 따른 구개음화 실현의 정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영어를 잘하는 한국인 집단은 원어민 집단처럼 단어빈도수 효과를 보여줬으며, 영어를 못하는 한국인 집단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다. 단어 빈도수에 따른 문장 발화 속도 차이는 미묘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했으며, 해당구간의 길이 또한 단어 빈도수와 구개음화의 실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COG 값의 경우, 구개음화가 된 경우 전체적으로 모든 구간에서 구개음화가 되지 않은 경우보다 낮게 보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외국어로써 영어를 배우는 한국인에게도 단어빈도수 효과가 나타남을 밝혔지만, 단어 빈도수에 대한 정보에 대한 노출이 많을 때에만 그러한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남을 증명하였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