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사이버 범죄에 관한 연구 : 허위사실유포죄, 사이버모욕죄, 인터넷실명제를 중심으로 = (A)study on the cyber crimes : focusing on the false information dissemination crime, cyber insult crime, internet real-name system / 임채곤 인기도
발행사항
진주 :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3.2
청구기호
TD 340 -13-202
형태사항
xi, 186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06805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경상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2013.2. 지도교수: 김태계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12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의 목적 15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17

제2장 사이버 범죄 일반론과 외국의 제도 19

제1절 사이버 범죄의 개념 19

I. 사이버 공간 19

II. 사이버 범죄 20

제2절 사이버 범죄의 분류 25

I. 경찰청의 분류 25

II. 기존의 연구자 분류 28

제3절 사이버 범죄의 특징 29

I. 익명성 29

II. 전문성 30

III. 무 제약성 30

IV. 국제성 31

V. 증거수집의 난점 32

제4절 사이버 범죄와 관련 법규 32

I. 문제의 소재 32

II. 정보통신망법 33

III. 형법 35

IV. 기타 법규 36

V. 특별법과 형법에의 규정 검토 39

제5절 사이버 범죄에 대한 외국의 제도 40

I. 미국 40

II. 독일 42

III. 일본 45

제3장 기존의 사이버 범죄의 실태와 유형 50

제1절 사이버 범죄의 실태 50

I. 유형별 발생 현황 50

II. 연도별, 유형별 현황 52

III. 연령별 현황 53

제2절 저작권과 사이버 범죄 54

I. 디지털 저작물의 침해 54

제3절 사이버 테러 62

I. 사이버 테러의 개념과 특징 62

II. 사이버 테러의 수단 64

제4절 형법과 정보통신망법상의 명예훼손 70

I. 형법 상 명예훼손 70

II. 정보통신망법상의 명예훼손죄 73

제5절 청소년과 사이버 범죄 77

I. 음란물 77

II. 온라인 게임 82

제6절 기타 범죄 82

I. 개인정보 침해와 스팸메일 82

II. 사이버 절도와 사이버 사기 87

III. 불법, 유해 사이트 89

IV. 사이버 스토킹과 사이버 성폭력 95

V. 사이버 마약 97

제4장 허위사실유포죄, 사이버모욕죄, 인터넷 실명제에 관한 검토 99

제1절 전기통신기본법상의 허위사실 유포 99

I. 허위사실유포죄(허위통신죄)의 연혁 99

II. 미네르바 사건과 허위사실유포죄 102

III. 허위사실유포죄의 해석 103

IV. 명확성의 원칙 106

V. 헌법재판소의 위헌판결 108

VI. 허위사실유포죄의 위헌에 대한 평가와 대안입법 110

제2절 사이버 모욕죄 113

I. 서설 113

II. 조문신설에 관한 비판적 분석 117

III. 규정방향의 검토 123

IV. 미국의 사이버불링법(Cyberbullying Law) 125

V. 소결 125

제3절 인터넷 실명제 127

I. 서설 127

II. 인터넷 실명제에 대한 찬·반론 133

III. 헌법재판소의 견해에 대한 비판적 검토 136

제4절 최근의 사이버 범죄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140

제5장 사이버 범죄에 대한 합리적인 대처방안 150

제1절 기존 사이버 범죄에 대한 대안 150

I. 저작권 침해와 사이버 테러 150

II. 정보통신망법상의 명예훼손의 미비점 153

III. 청소년 관련 문제 154

IV. 개인정보침해와 사이버 사기 156

V. 자살 사이트와 사이버 스토킹 160

제2절 최근 사이버 범죄에 대한 대안 162

I. 허위사실유포죄에 대한 대처방안 162

II. 사이버 모욕죄에 대한 대처 방안 163

III. 인터넷 실명제에 대한 대처 방안 164

제3절 사이버 범죄에 대한 형사정책 및 형사소송법적 대안 165

I. 형사 정책적 방안 165

II. 형사소송법적 대응 167

제4절 사이버 범죄 예방에 대한 합리적 방안 172

I. 사이버 범죄와 국제공조 172

II. 사이버 범죄 예방대책 177

III. 서비스 관리자의 책임소재 179

제6장 결론 191

참고문헌 195

〈표 3-1〉 유형별 현황 51

〈표 3-2〉 연도별, 유형별 현황 52

〈표 3-3〉 연령별 현황 53

〈표 4-1〉 사이버 모욕죄에 관한 기사 116

〈표 4-2〉 헌법상의 표현의 자유에 대한 인지 140

〈표 4-3〉 허위의 표현도 표현의 자유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생각 141

〈표 4-4〉 사이버모욕죄 신설에 대한 찬성여부 142

〈표 4-5〉 인터넷 실명제의 제정에 대한 생각 143

〈표 4-6〉 인터넷실명제의 위헌에 대한 견해 144

〈표 4-7〉 인터넷 실명제 폐지 시 악성리플, 비방 등의 증가 여부 145

〈표 4-8〉 '미네르바' 사건의 인지 146

〈표 4-9〉 허위사실 유포죄의 위헌 판결에 대한 견해 147

〈표 4-10〉 허위의 글을 게재한 피고인의 처벌에 대한 견해 148

〈그림 3-1〉 유형별 현황 51

〈그림 3-2〉 연도별, 유형별 현황 52

〈그림 3-3〉 연령별 현황 54

〈그림 4-1〉 헌법상의 표현의 자유에 대한 인지 140

〈그림 4-2〉 허위의 표현도 표현의 자유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생각 141

〈그림 4-3〉 사이버모욕죄 신설에 대한 찬성여부 142

〈그림 4-4〉 인터넷 실명제의 제정에 대한 생각 143

〈그림 4-5〉 인터넷실명제의 위헌에 대한 견해 144

〈그림 4-6〉 인터넷 실명제 폐지 시 악성리플, 비방 등의 증가 여부 145

〈그림 4-7〉 '미네르바' 사건의 인지 146

〈그림 4-8〉 허위사실을 유포죄의 위헌 판결에 대한 견해 147

〈그림 4-9〉 허위의 글을 게재한 피고인의 처벌에 대한 견해 148

초록보기 더보기

 Modern science technology enabled wide use of computer and internet, and it became possible for people to communicate real-time in virtual cyber space under no restrictions. Cyber space sure is the convenience brought by civilization. However, crimes committed in the cyber space are increasing as time goes by, and its kind is diversifying as well. The police categorized crimes in cyber space to cyber terror crime and general cyber crime. Cyber terror crime refers to hacking and virus distribution including highly technical factors that directly attack information network. General cyber crime uses cyber space as a means of crime, and it refers to e-commerce fraud, illegal reproduction of programs, operation of illegal websites and violation of private information.

Recently, cyber crime not only increased in quantity, but it is expanding into unexpected areas. In other words, cyber crime relates to offline crime like gambling, fraud, lechery and copyright infringement in online space. Also, it is becoming more and more intellectual to includ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malicious codes, DDoS, messenger fishing and cyber stalking.

To eradicate cyber crime, the criminal law was revised in 1995 to introduce regulations for cyber crime punishments, and continuously, the law is being supplemented, and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re input for investigation of related crimes. In 1996, the Supreme Public Prosecutor's Office installed 'Information Crime Headquarter' in its Central Investigation Division. Since then, all district public prosecutor's offices and branch offices have computer investigation teams. Also, the police are operating cyber crime investigation teams. However, the truth is not many cyber crimes are efficiently handled. There can be different reasons, but primarily, it is because the investigation organization handling cyber crimes in the National Police Agency was reduced even though organizations and manpower in the cyber investigation bodies inside and outside Korea were expanded. Therefore, in order to exterminate cyber crimes, it is urgent to cultivate cyber crime professionals.

To include all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for all cyber crimes classified by the police, the scope is too wide. Thus, this study focuses on recent issues like crime of spreading false information, crime of cyber insult and the internet real-name system.

The Constitutional Court judged that crime of spreading false information is unconstitutional in 2010 saying, "An act of expressing false information is the subject of protection of fundamental right, free expression, like an act of expressing true information, and fundamental rights can be limited to minimum under clear regulations. Since then, the government is trying to revise crime of spreading false information considering the judgment of the Constitutional Court, but it remains unsolved.

Also, about the internet real-name system introduced in 2007, the Constitutional Court judged that this system that forces internet users to use their real name when they are posting or commenting on the internet boards is unconstitutional. The Constitutional Court pointed out that there is no evidence that posting of illegal information has reduced with the internet real-name system, but it limited free expression because internet users tend to worry exposure of their identities.

On the contrary, the government and the ruling party want to control crime of cyber insult with strengthened punishment by legislation of a special law because they believe the damage of cyber insult is unimaginably huge due to its property of rapidly spreading compared to general insult. They are trying to make crime of cyber insult a crime not prosecuted against objection of the victim instead of offense subject to complaint, but it is not realized due to opposing complementary discussion.

To make this study more reliable, a survey about crime of spreading false information, crime of cyber insult and internet real-name system was analyzed, and Korean and foreign documentary references were used in various aspects.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