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강진 시문학 공간의 문화콘텐츠화 연구 : 김영랑·김현구의 시를 중심으로 / 김선기 인기도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8
청구기호
TD 411 -12-659
형태사항
iv, 123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282248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2012.8. 지도교수: 임환모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5

I. 서론 7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7

2. 선행 연구 검토 9

3. 연구 방법과 범위 13

II. 문학 공간 콘텐츠화의 전제 17

1. 문학공간의 개념과 분류 17

2. 콘텐츠화의 이론적 배경 24

3. 문화콘텐츠의 구현 방법 28

III. 강진 시문학 공간의 문화적 원형(原形) 33

1. 인문지리학적 원형 33

2. 김영랑·김현구와 『시문학』 38

3. 강진 소재의 문학작품 원형 47

가. 김영랑 시의 공간성 47

나. 김현구 시의 공간성 59

IV. 강진 시문학 공간의 문화콘텐츠화 방안 70

1. 체험의 유형 70

가. 〈모란밭〉의 상상력 체험 70

나. 〈남도문학 탐방길〉의 감성 체험 76

2. 축제의 유형 84

가. 지역 콘텐츠로서의 〈탐진나루 축제〉 84

나. 연계 콘텐츠로서의 〈남도문학축전〉 89

3. 전시와 연구의 유형 92

가. '시문학파' 아카이브 구축 92

나. 영랑 시어의 가치 복원 98

V. 시문학 공간 문화콘텐츠화의 의의와 한계 107

1. 활용방안과 기대효과 107

2. 문화콘텐츠화의 한계 108

3. 문화정책에 대한 제안 110

VI. 결론 114

참고문헌 117

ABSTRACT 126

초록보기 더보기

 최근 문학공간에 대한 문화콘텐츠화가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실존적 문학공간에 대한 연구 성과는 여전히 한계를 지니고 있다.

본 논문은 영랑 김윤식·김현구의 시문학 공간과 강진이 가지고 있는 인문지리학적 관계성을 탐색하여, 여기에서 드러난 문화적 원형을 문화콘텐츠에 연계하는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Ⅱ장에서는 목적 구현을 위해 이-푸 투안(Yi-Fu Tuan)의 '공간과 장소', 가스통 바슐라르(Gaston Bachelard)의 공간의 시학 을 폭넓게 수용하고 융합하여 시문학 공간의 문화콘텐츠화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Ⅲ장에서는 김영랑과 김현구의 문학공간이 갖고 있는 특수성을 살피기 위해 강진의 인문 지리학적 원형(原形)과 『시문학』과의 관계, 두 시인의 작품에 드러난 공간성 등 강진이 지니고 있는 다양한 문화적 리소스를 고찰하였다. 따라서n영랑과 현구의 작품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감성적 시어들은 강진의 인문지리적환경 및 습속과 깊은 관계가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Ⅳ장에서는 강진 시문학 공간의 문화콘텐츠화 방안을 체험·축제·전시와 연구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첫째, 두 가지의 체험 유형이다. 먼저 〈모란밭〉의 체험은 상실-슬픔-기다림 등으로 요약되는 영랑의 모란을 원형으로 삼아 상상력을 체험하도록 하였다. 여기에서 모란은 식물이라는 기의를 넘어 문명화된 현실에서 벗어나 상징적 상상력으로 자아를 발견케 하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 하나는 〈남도문학 탐방길〉의 감성 체험으로, 강진과 장흥, 해남지역의 문학리소스를 연결하는 문학의 길이다. 〈남도문학 탐방길〉은 작품 공간에서의 문학적 체험과 사유를 유발시킴으로써 답사자의 인문학적 공감대를 끌어낸다.

둘째, 축제의 유형으로 두 가지를 제시하였다. 먼저 지역 콘텐츠로서의 〈탐진 나루 축제〉는 기존 〈탐진강 은어축제〉에 현구의 시문학 공간(「님이여 강물이 몹시도 퍼렇습니다」)을 복합문화공간으로 재가공하였다. 따라서 탐진강은 장소성에서 벗어나 문학(현구문학제)과 자연체험(은어축제)을 융합한 새로운 인문학적 공간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었다. 다음은 강진-장흥-해남을 잇는 문학벨트형 〈남도문학축전〉이다. 전남서부권을 잇는 문학축전은 지역 문학제의 획일성을 탈피하고, 문학공간의 외연을 확장한 문화콘텐츠이다.

셋째, 전시와 연구 유형의 두 가지 방안이다. 먼저 〈시문학파 아카이브 구축〉은 1930년대 『시문학』을 통해 활약하였던 9명 시인에 대한 자료와 그들의 문학적 성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였다. 이를 통해 청소년은 물론 연구자들의 문학교육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또 영랑 시어의 가치 복원을 위해 〈영랑 시어 연구회〉를 제안하였다. 연구회를 기존의 '영랑기념사업회'에 포함시켜 운영체계를 확보하고 ▲정례 학술발표회 ▲영랑 시어 퀴즈대회 ▲영랑 학술상 제정·시상 ▲영랑학회 조직·운영 ▲학술지 발행 등의 사업을 콘텐츠화 하였다. 연구회가 영랑 시어를 연구하고 복원하는 작업은, 모국어를 전승·발전시키는 일이기에 의미를 지닌다.

Ⅴ장에서는 본 논문의 의의와 한계, 문화정책에 대한 제언에 대해 서술하였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 변방으로 치부되었던 시문학 공간을 문화콘텐츠화 하는데 단초를 제공했다는 점과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통섭 연구로 실용학문 발전에 디딤돌 역할을 하고자 한 데에 의의를 가진다. 이와 함께 학술적으로는 문화예술과 인문사회 · 과학기술을 융합하여 문학공간을 새로운 개념으로 재창조하고, 산업적으로는 문화콘텐츠산업을 뒷받침하는 이론과 실제를 체계화한 것도 본 연구의 성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8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공간의 시학 , 민음사, 1990. 미소장
2 『건축의 의미와 장소성』, 미건사, 1994. 미소장
3 『장소의 혼』, 태림문화사, 2002. 미소장
4 『상징의 비밀-상징과 그 의미를 푸는 시각적 열쇠』, 문학동네, 1988. 미소장
5 『앙띠 오이디푸스』, 민음사, 1994. 미소장
6 『루카치 소설의 이론』, 심설당, 1985. 미소장
7 『인문지리학 : 공간패턴과 그 전개과정』, 메이데이, 2009. 미소장
8 『기억의 공간』, 경북대 출판부, 2003. 미소장
9 안스가 뉘닝 ․ 로이조머, 문화학연구회 옮김, 『문화이론과 문학연구』, 연세대 출판부, 2008. 미소장
10 『장소와 장소 상실』, 논형, 2005. 미소장
11 『숨겨진 차원』, 한길사, 2002. 미소장
12 『예술텍스트의 구조』, 고려원, 1991. 미소장
13 『공간과 장소』, 도서출판 대윤, 1995. 미소장
14 『바흐친과 문화이론』, 문학과지성사, 1995. 미소장
15 『상징적 상상력』, 문학과지성사, 2000. 미소장
16 『철학강요』, 을유문화사, 1983. 미소장
17 『문화콘텐츠의 서사전략과 인문학적 상상력』, 글누림, 2008. 미소장
18 『문화콘텐츠와 인문학적 상상력』, 글누림, 2005. 미소장
19 『문화콘텐츠 경영 전략』,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미소장
20 국토연구원, 『공간이론 석학과의 대화』, 한울아카데미, 2005. 미소장
21 『한국전통문화와 문화콘텐츠』, 북스코리아, 2007. 미소장
22 『문화콘텐츠 유형론』, 글누림, 2006. 미소장
23 『문화콘텐츠 개발 전략』, 학연사, 2009. 미소장
24 『남도 현대시문학 산책』, 전남대 출판부, 2007. 미소장
25 『강진문화기행』, 도서출판 작가, 2006. 미소장
26 『김현구 시 연구』, 국학자료원, 1997. 미소장
27 『한국문학 공간과 문화콘텐츠』, 청동거울, 2005. 미소장
28 『인문과학과 문화콘텐츠』, 다할미디어, 2006. 미소장
29 『식물비교도감』, 현암사, 2009. 미소장
30 『「모란이 피기까지는」의 작가 해설』, 삼중당, 1975. 미소장
31 『한국 현대시 연구』, 일지사, 1978. 미소장
32 『한국 현대시사 1』, 한국문연, 1996. 미소장
33 『지역문화산업 육성방안에 대한 연구 :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글누림, 2005. 미소장
34 『전라남도 방언연구』, 학고방, 1991. 미소장
35 『전남방언연구』, 박이정, 2002. 미소장
36 『문학콘텐츠와 스토리텔링』, 역락, 2005. 미소장
37 韓國現代詩人硏究 소장
38 『구인회 소설의 공간설정과 작가의식』, 새미, 2004. 미소장
39 『정지용 시의 공간과 죽음』, 월인, 2002. 미소장
40 『문학지리․한국인의 심상 공간』, 상․중․하 논형, 2005. 미소장
41 『현대소설의 문학지형과 공간성 연구』, 푸른사상사, 2004. 미소장
42 『문화콘텐츠 산업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미소장
43 『김영랑』, 문학세계사, 1993. 미소장
44 『박목월 시 공간의 기호론과 실제』, 푸른사상, 2004. 미소장
45 『문화예술축제론』, 한울, 2010. 미소장
46 『용아 박용철의 예술과 삶 上․下』, 광산문화원, 2005. 미소장
47 『공간개념』, 나남, 2008. 미소장
48 목산 장보웅 박사 회갑기념논총간행위원회, 『지역과 문화의 공간적 전개』, 전남대 출판부, 1996. 미소장
49 『康津郡政 50年史』, 전일실업출판국, 1992. 미소장
50 『예술과 문화콘텐츠』, 오스코, 2008. 미소장
51 『일상의 지리학』, 책세상, 2009. 미소장
52 『박용철 전집』, 시문학사, 1939. 미소장
53 『한국 지역문화의 논리』, 청동거울, 2005. 미소장
54 『한국 근대시의 공간과 장소』, 소명출판사, 1999. 미소장
55 『문화기호학과 문화콘텐츠』, 다할미디어, 2006. 미소장
56 『조선의 마음』, 평문사, 1924. 미소장
57 『문예연구』35호, 문예연구사, 2003. 미소장
58 『시간의 철학적 성찰』, 문예출판사, 2001. 미소장
59 『우리시대의 시인연구』, 시와사람사, 2001. 미소장
60 『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휴머니스트, 2004. 미소장
61 『기억과 공간의 소설현상학』, 나남출판사, 2004. 미소장
62 『나비효과 콘텐츠』, 미래의 창, 2008. 미소장
63 『한국 현대시의 공간화 전략』, 아세아문화사, 2008. 미소장
64 『텍스트와 문화콘텐츠』, 한국문화사, 2006. 미소장
65 『한국문학콘텐츠』, 청동거울, 2005. 미소장
66 『현대시의 공간 상상력과 실존의 언어』, 청동거울, 2005. 미소장
67 『이미지』, 살림, 2001. 미소장
68 『콘텐츠와 문화철학』, 북코리아, 2009. 미소장
69 『지역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 장소마케팅 전략』, 논형, 2007. 미소장
70 『현대시의 모색』, 맥밀란, 1982. 미소장
71 『영랑을 만나다』, 태학사, 2009. 미소장
72 『공간의 기호학』, 2000. 미소장
73 『한국문화상징사전』, 동아출판사, 1992. 미소장
74 『공간과 문화』, 민속원, 2007. 미소장
75 『광주․전남 현대시문학 지도』, 시와사람, 2001. 미소장
76 朴龍喆의 面貌 소장
77 『친일문학론』, 민족문제연구소, 2001. 미소장
78 『한국 현대시의 형상성과 풍경의 깊이』, 전남대 출판부, 2007. 미소장
79 『문화콘텐츠학 강의 : 쉽게 개발하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미소장
80 『한국현대시평설』, 태학사, 1995. 미소장
81 『한국문학 대중문학 문화콘텐츠』, 소명출판사, 2002. 미소장
82 『지역문화와 디지털 콘텐츠』, 한국학술정보, 2007. 미소장
83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 경남대 출판부, 2008. 미소장
84 철학아카데미, 『공간과 도시의 의미들』, 소명출판사, 2004. 미소장
85 『멀티미디어 상상력과 문화 콘텐츠 : 미디어를 넘나들며 상상하고 창조하기』, 논형, 2006. 미소장
86 『근대적 공간의 한계』, 삼인, 2002. 미소장
87 『문학의 공간, 공간의 스토리텔링』, 한국기술정보, 2006. 미소장
88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을 만나다』, 삼성경제연구소, 2006. 미소장
89 『테마파크의 스토리텔링』, 글누림, 2008. 미소장
90 『목월 시의 시간과 공간』, 시와시학사, 1991. 미소장
91 한국문학관협회, 『문향을 따라가다-전국 문학관 찾아가기』,2006. 미소장
92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역, 『문학관과 문화산업』, 단국대 출판부, 2007. 미소장
93 한국소설학회 편, 『공간의 시학』, 예림기획, 2002. 미소장
9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특별위원회, 『공간보기 공간 풀기 하나』, 연세대 출판부, 2005. 미소장
95 『전라도 우리탯말』, 소금나무, 2006. 미소장
96 『시간과 공간의 철학』, 서광사, 1986. 미소장
97 『한국문학의 문화콘텐츠화 방안』, 북스힐, 2007. 미소장
98 호남과 근대연구회, 『호남문학과 근대성 연구』, 심미안, 2007. 미소장
99 『영랑 김윤식 연구』, 국학자료원, 1996. 미소장
100 문학공간 연구를 위한 현장 답사의 방법과 실제 : 문학공간 동두천을 중심으로 소장
101 '경기도 문화유산 가상현실체험 시스템' 개발과 인문학자의 역할 소장
102 「한국현대사에 웅전하는 문학적 공간」, 『시간과 공간을 조작하다』, 보고사, 2007. 미소장
103 지역문화콘텐츠 개발사례 :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소장
104 「문화콘텐츠 제작에서 국문학 연구자의 역할」, 『현대문학연구』 28, 2006. 미소장
105 지역의 문학기념사업을 통한 문학 확장의 의미 연구 : 이효석과 봉평을 예로 소장
106 The Literary industry as cultural industry 소장
107 「1930년대 시의 담론체계연구」, 전남대 박사논문, 1996. 미소장
108 The Space Organization and Text Meaning in Jeong Ji-Yong's Poem 소장
109 Semiotic System and Communication Model in Yongrang's Poetry 소장
110 永郞詩의 담론주체와 언술 특성 소장
111 「문학공간분석 기술방법」, 『한국문학공간과 문화산업』,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제1회 전국학술세미나, 2004. 미소장
112 「아버님을 추억하며」, 『김현구 시 연구』, 국학자료원, 1997. 미소장
113 「김영랑의 삶과 작품에 나타난 앙가주망성 연구」, 『어문논총』 제21호, 전남대 한국어문학연구소, 2010. 미소장
114 「김영랑의 시문학 공간 연구」, 『어문논총』 제22호, 전남대 한국어문학연구소, 2011. 미소장
115 「김현구 시 연구」, 원광대 박사논문, 1995. 미소장
116 「현대시와 지형학적 상상력」, 『한국문학 공간과 문화콘텐츠』, 청동거울, 2005. 미소장
117 Topophilia : 토포스를 위한 새로운 토폴로지와 시학을 위해서 소장
118 「에듀테인먼트 콘켄츠 프로세스의 기호학적 전략」, 『정보과학지』 24권 2호, 2006. 미소장
119 지역문화콘텐츠의 교육적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소장
120 문화 콘텐츠 창작 소재로서의 현대시의 가치에 대한 연구 : '노래방'을 중심으로 소장
121 「문학공간의 문화콘텐츠화 연구」, 전남대 박사논문, 2010. 미소장
122 황순원 소설의 인물유형과 크로노토포스 연구 소장
123 「현구 김현구론」, 『현구 김현구 전집』, 중앙인쇄, 2002. 미소장
124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Linguistic and Cultural Contents through Korean Literary Works in the Age of Multi-Culture 소장
125 「찬란한 슬픈 봄」, 『한국현대문학대계 ․ 7』, 지식산업사, 1994. 미소장
126 「형님, 지금도 강물이 몹시도 퍼렇습니다」, 『현구시집』, 문예사, 1970. 미소장
127 「영랑 시와 민족언어」, 『남도의 황홀한 달빛』, 우리글, 2008. 미소장
128 「도망 칠 수 없는 여름」, 『풍경과 상처』, 문학동네, 1994. 미소장
129 L’utilit pratique de la littrature franaise pour la production du contenu culturell’approche de la smiotique dans Notre-Dame de Paris 소장
130 지역문화콘텐츠 개발의 이론과 실제 : 축제를 중심으로 소장
131 「영랑 시의 언어가 가지는 특성」, 『문예연구』 2012년 여름호. 미소장
132 「문화콘텐츠 D/B 분류 및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콘텐츠학회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2004. 미소장
133 Understanding of Region As an Interaction among Space , Time , and Society 소장
134 「문학관 조성과 문화산업」, 『문학관과 문화산업』, 한국문화기술연구소, 단국대 출판부, 2007. 미소장
135 즐거움(Pleasure),저항,이데올로기 소장
136 study on the universality of Kim So-wol's poetry and topos 네이버 미소장
137 슐츠의 실존적 공간론을 기반으로 한 현대건축 실내공간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소장
138 「문학과 공간, 이론적 접근 1」, 『덕성여대 논문집』 25, 2005. 미소장
139 문학과 공간 : 모파상의 "강위에서 Sur l'eau"의 공간분석 네이버 미소장
140 배명재, 「新 택리지- 한국답사 1번지 남도 제일의 역사 문화의 고을, 강진」, 『경향신문』, 2011. 7. 21. 미소장
141 한국에 슬로시티 콘셉도입을 위한 탐색 네이버 미소장
142 문화콘텐츠 창작소재와 문화원형 소장
143 영상 콘텐츠 속의 지역공간과 지역문화 소장
144 「문화원형 디지털 콘텐츠 사업의 산업적 활용방안 연구」, 2005. 미소장
145 「지역문화축제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기획 방안의 모색」,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집』 8, 2008. 미소장
146 Feature - Symposium for the Advancement of Regional Geography and Regional Development : Recent Research Trends of Regional Geography and Its Prospects in Korea 소장
147 「 내 마음 의 서정으로부터 절망 의 현실인식으로-김영랑론」, 『문예연구』 36, 2003. 미소장
148 「왜 시문학파인가」, 『시문학파기념관 개관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2012. 미소장
149 유영만, 「도로와 길」, 『전자신문』, 2012. 3. 5. 미소장
150 시문학파연구 소장
151 문학관을 활용한 문학 진흥 방안 연구 소장
152 지역과 공간 그리고 장소 소장
153 A Study on the Necessity of Contextual Approach for the Understanding of Paradigm Shift in Human Geography 소장
154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iterary Space and its Database Implementation for Web GIS 소장
155 문학적 토포필리아로 찾는 『혼불』의 자리 소장
156 '문화콘텐츠 개발'과 인문학 네이버 미소장
157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의 교육콘텐츠 창작소재 활성화를 위한 정책모델 연구 소장
158 「경북문학의 관광자원화를 위한 단계적 전략」, <대구․경북 비전 2004> 지역혁신대학(원)생 제안 논문 공모전 대상 수상, 2004. 미소장
159 「현대언어문학」, 현대문학 분야 수록 논문 분석, 『한국언어문학』 51, 2003. 미소장
160 「소설의 문화원형콘텐츠화 방안」, 2004. 미소장
161 On the Symbolical Project of the Narrative Space 소장
162 The Narrative Space of Film 소장
163 『경계와 이행의 서사공간』, 서강대 출판부, 2011. 미소장
164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Slow Tourism as Sustainable Tourism - The Case of Slow City Damyang Travellers - 소장
165 문화콘텐츠 전문 인력 양성에서 인문학의 역할 네이버 미소장
166 「시문학파의 미의식」, 『시문학파기념관 개관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2012. 미소장
167 「서사공간의 문화 기호 읽기와 스토리텔링 전략 1」,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26, 2004. 미소장
168 A study on the strategic digital contents of narratives centering around the case of developing the prototype of cultures 소장
169 한국문화콘텐츠의 활성화 방안 연구 : 국내 문학관 프로그램 운영방식을 중심으로 소장
170 호남 역사문화 원형 개발ㆍ활용 현황 연구 네이버 미소장
171 「김영랑 문학연구」, 인하대 박사논문, 1987. 미소장
172 「문학공간을 활용한 장소마케팅 : 종로지역 사례로」,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6. 미소장
173 Analysis of the Placeness on the Korean Housing Complex which apply theory by Christian Norberg Schultz 네이버 미소장
174 문학지리학을 위한 출발선상의 토론 네이버 미소장
175 Study of Space in Park Kyong-ni`s novel Toji 소장
176 case study of tourism contents 네이버 미소장
177 「내가 아는 현구 시인」, 『현구시집』, 문예사, 1970. 미소장
178 「시문학파의 문학사적 의미망」, 『시문학파기념관 개관기념 학술자료집』, 2012. 미소장
179 근대적 공간에 대한 성찰 <對談> 소장
180 「디지털콘텐츠로의 문학공간 구현 방법」, 『한국문학공간과 문화산업』,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제1회 전국학술세미나, 2004. 미소장
181 「지리학의 공간 개념에 관한 소고」, 『지리교육논총』 33, 1995. 미소장
182 文學作品의 테마파크화 過程 연구 : '소나기마을'과 '만해마을'을 中心으로 소장
183 한국 문화산업 육성을 위한 이론적 토대로써 문화콘텐츠 네이버 미소장
184 「1930년대 도시 소설의 소설 공간」, 『현대소설연구』 5, 한국현대소설학회, 1996. 미소장
185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7 하반기 국내의 문화콘텐츠산업 동향 및 트렌드』, 2007. 미소장
186 「문학과 공간, 그 이론적 모색」, 『한국문학공간과 문화산업』,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제1회 전국학술세미나, 2004. 미소장
187 「동백잎에 빛나는 마음-김영랑론」, 『우리시대의 시인연구』, 시와사람사, 2001.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