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한국 전통 담장 조형요소의 모티브를 통한 현대 건축디자인 활용방안연구 / 이은랑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이노베이션대학원, 2012.8
청구기호
TD 745.2 -12-241
형태사항
viii, 129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270178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양대학교 이노베이션대학원, 산업환경디자인전공, 2012.8. 지도교수: 이재환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1

제1장. 서론 12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3

1. 연구배경 및 목적 13

2. 연구방법 및 범위 14

3. 연구구성 체계도 16

제2장. 전통건축의 이론적 고찰 17

제1절 한국 전통건축의 특징 17

1. 전통건축의 특성 17

2. 전통건축의 종류 18

3. 전통건축의 구성요소 25

제2절 전통 건축 요소와 담장 32

1. 전통담장의 조형성 33

2. 담장의 구성방법 34

3. 전통담장 종류 및 사례조사 43

제3장. 전통담장 조형요소의 모티브 화 60

제1절 전통담장의 조형요소 60

1. 담장의 모티브 분석 60

2. 형태 분석방법 61

3. 모티브 유형 분석 이론 62

4. 사례별 모티브 71

제2절 모티브의 유형 93

1. 소재별 모티브 93

2. 모티브 이미지 유형 97

제4장. 모티브의 현대건축 외부 디자인 적용방안 102

제1절 모티브의 응용과 활용 102

1. 사례별 모티브 응용과 연출 102

2. 모티브 조형분류 및 변형과정 102

3. 모티브 응용과 활용 119

제5장. 결론 126

5-1. 결론 126

5-2. 향후제언 128

참고문헌 130

Abstract 136

[표-1] 연구의 흐름도 16

[표-2] 한국 전통한옥의 특성 18

[표-3] 전통한옥의 종류(재료사용에 의한 분류) 19

[표-4] 내부구조 형태에 의한 분류 22

[표-5] 민가의 평면 형태에 따른 분류 22

[표-6] 지역에 의한 분류 24

[표-7] 대문의 종류 26

[표-8] 석재의 종류 37

[표-9] 축조 형태에 따른 분류 39

[표-10] 모티브 분석 방법 62

[표-11] 시각 조형 특성의 정의 63

[표-12] Eskild Tjalve와 Wuicius Wong의 형태 속성 분류 66

[표-13] 청도 운문사 담장 모티브 72

[표-14] 부여 반교리 돌담 73

[표-15] 경복궁 사괴석 담장 75

[표-16] 문경 조령원터 돌담 76

[표-17] 수원화성 창룡문 석곽 78

[표-18] 화성용주사 담장 79

[표-19] 전북 부안 내소사 요사체 담장 80

[표-20] 추사고택 담장 82

[표-21] 충남 수덕사 담장 84

[표-22] 불국사 담장 85

[표-23] 기림사 돌담 86

[표-24] 벌교 등암마을 담장 88

[표-25] 창덕궁 낙선재 꽃담 89

[표-26] 화성 동장대 영롱 담장 91

[표-27] 신원사 중악단 돌담 92

[표-28] 소재별 담장 2D모티브 94

[표-29] 소재별 담장 3D모티브 96

[표-30] 소재의 특징별 모티브 99

[표-31] 모티브 외부적용 예제 121

[표-32] 모티브 응용 예제 123

[그림-1] 지역별 한옥의 구조 25

[그림-2] 충효재의 바깥마당 27

[그림-3] 양진당의 앞마당 27

[그림-4] 도동서원의 중정당(中正堂) 기단 28

[그림-5] 자연석으로 쌓은 기단 위의 '여경암' 28

[그림-6] 경주 경암정의 주춧돌 28

[그림-7] 금당의 주춧돌 28

[그림-8] 남산 한옥마을 디딤돌 29

[그림-9] 서신면 궁평리 정용래 가옥의 디딤돌 29

[그림-10] 창녕 석동성씨고가 29

[그림-11] 한옥의 목구조 29

[그림-12] 꾀창 30

[그림-13] 도사서원의 분합문 30

[그림-14] 예천 사괴당 고택의 담장 31

[그림-15] 음성 김주태 가옥 담장 31

[그림-16] 허난설헌 생가 굴뚝 32

[그림-17] 경복궁 교태전의 아미산 굴뚝 32

[그림-18] 다듬석, 자연석 축조방법 41

[그림-19] 돌 쌓기 방법에 따른 분류 42

[그림-20] 전통 토담 43

[그림-21] 경암정사의 토담 44

[그림-22] 대구 달성 도농서원 토담 45

[그림-23] 전통 토석담 46

[그림-24] 경북 상주시 외서면 우산리 정경세 초가집 47

[그림-25] 한라마을 전통담장 48

[그림-26] 대구 옻골마을 옛 담장 49

[그림-27] 부여 반교마을 옛 담장 50

[그림-28] 성주 한 개마을 옛 담장 51

[그림-29] 고성 학동마을 전통담장 51

[그림-30] 담양 창평 삼지천마을 옛 담장 52

[그림-31] 전통 토석담 53

[그림-32] 충남 예산 추사고택 담장 54

[그림-33]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창덕궁 55

[그림-34] 전통 꽃담 56

[그림-35] 임실군 삼계면 녹천재 꽃담 56

[그림-36] 아미산 굴뚝 58

[그림-37] 자경전 꽃담 58

[그림-38] 자경전 굴뚝과 꽃담 58

[그림-39] 원통보전 별무늬 꽃담 59

[그림-40] 형태 조형화 과정의 개념 66

[그림-41] 형태의 구성 체계 67

[그림-42] 선(Line)에 의한 형상(Shape)의 구성 체계 68

[그림-43] 평면적 조형원리의 구성 체계 69

[그림-44] 부피(Volume, 3차원 매트릭스) 구성 체계 70

[그림-45] 운문사 내부 71

[그림-46] 운문사 담장 71

[그림-47] 반교리 전경 72

[그림-48] 반교리 돌담 72

[그림-49] 경복궁 전경 74

[그림-50] 경복궁 사괴석 담 74

[그림-51] 조령원터 전경 75

[그림-52] 조령원터 돌담 75

[그림-53] 창룡문 전경 77

[그림-54] 창룡문 돌담 77

[그림-55] 용주사 내부 78

[그림-56] 용주사 담장 78

[그림-57] 내소사 요사체 전경 80

[그림-58] 내소사 요사체 담 80

[그림-59] 추사고택 담 전경 81

[그림-60] 추사고택 담장 81

[그림-61] 수덕사 내부 83

[그림-62] 수덕사 담장 83

[그림-63] 불국사 전경 84

[그림-64] 불국사 담장 84

[그림-65] 기림사 전경 86

[그림-66] 기림사 돌담 86

[그림-67] 등암마을 전경 87

[그림-68] 등암마을 담장 87

[그림-69] 낙선재 전경 88

[그림-70] 낙선재 꽃담 88

[그림-71] 동장대 전경 90

[그림-72] 동장대 영롱 담장 90

[그림-73] 신원사 중악단 전경 91

[그림-74] 신원사 중악단 돌담 91

[그림-75] 담장의 구성 소재 95

[그림-76] 모티브 유형 분류 98

[그림-77] 사괴석담 기본 모티브 103

[그림-78] 사각형 2D, 3D 모티브 103

[그림-79] 사각형 3D 모티브의 변형 104

[그림-80] 사각형 모티브의 변형 104

[그림-81] 모티브의 분해와 조합 104

[그림-82] 타원형 모티브 105

[그림-83] 모티브의 입체화 106

[그림-84] 3D 모티브 크기의 변화 106

[그림-85] 돌담 줄눈의 모티브의 변형 107

[그림-86] 모티브의 분해와 조합 107

[그림-87] 원형 모티브 108

[그림-88] 모티브의 입체화 108

[그림-89] 모티브 크기의 변화 109

[그림-90] 모티브의 중첩 109

[그림-91] 모티브의 분해와 재구성 110

[그림-92] 평면형 모티브 110

[그림-93] 모티브의 입체화 111

[그림-94] 모티브 크기의 변화 111

[그림-95] 모티브의 중첩 112

[그림-96] 모티브의 분해와 재구성 112

[그림-97] 불규칙 모티브 113

[그림-98] 모티브의 입체화 114

[그림-99] 모티브 크기의 변화 114

[그림-100] 모티브의 중첩 115

[그림-101] 모티브의 분해와 재구성 115

[그림-102] 파형 모티브 116

[그림-103] 모티브의 입체화 117

[그림-104] 모티브 크기의 변화 117

[그림-105] 모티브의 중첩 118

[그림-106] 모티브의 분해와 재구성 118

[그림-107] 전통담장 모티브의 추출과 재구성 119

초록보기 더보기

세계가 인정하는 우수한 디자인을 위하여 어설픈 서양 문화의 모방보다 우리 전통을 강조하는 디자인 문화를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활수준의 향상과 미의식의 발달로 단순히 기능을 요구하던 시대에서 정서적 기능이 함축된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가 새로운 트랜드로 자리 잡고 기능과 미가 함께 어우러지는 디자인 차별화를 요구하고 있다. 소비계층의 특성에 적합한 디자인과 우리 고유의 디자인 소재의 개발로 국가적 디자인 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모방과 답습에서 벗어나 전통의 아름다움이 내재된 소재와 모티브의 연구가 필요한 시점으로 우리 선조들이 생활 속에 함께해온 전통담장을 연구소재로 전통건축을 조망하는 시각적 변화를 통한 연구 방향을 설정하였다.

버내큘러 디자인에 적합하면서 전국에 공통적으로 산재한 전통담장에 표현된 우리의 소재나 기법을 새로운 시각적 분석을 통하여, 그 안에 내재된 선조들의 사상과 미적 감각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새로운 기초조형 소재로 디자인 작업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였다. 지역 특성과 생활수준에 적합하게 축조된 전통담장을 조사. 분석하고, 소재와 축조기술, 재료의 구성 등에서 나타나는 형태를 평면적 모티브와 입체 형태로 발전시켜 모티브를 도출하였다. 모티브를 다시 세분화하고 재구성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전통담장 이외에 건축의 내외적 요소에서 또 다른 연구와 소재의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두고자 한다.

현대적 감각의 건축 외부 디자인에 우리 고유의 전통적 모티브를 적용한 디자인 소재의 개발과 방향성을 제시한 본 연구가 전통적 감각을 접목시켜 개성을 강조하고 차별화된 디자인을 위하여 전통건축의 다양한 소재에서 아이디어를 얻고 적용함으로써 독특하고 특징 있는 공간 창조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