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현상학 관점으로 부석사 공간 분석 / 정기태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2.8
청구기호
TM 729 -12-85
형태사항
76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252960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실내설계전공, 2012.8. 지도교수: 이찬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0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1

1-2. 연구 전제 및 방법 12

1-3. 연구의 구성도 14

제2장 이론적 고찰 15

2-1. 현상학의 의미와 신체개념 16

2-1-1. 현상학의 의미 16

2-1-2. 현상학의 신체개념 18

2-2. 메들로-퐁티의 현상학 이론 21

2-2-1.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공간 개념 21

2-2-2.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공간 특성 23

2-3. 부석사 공간 일반적 고찰 31

2-3-1. 부석사 개요 31

제3장 부석사 공간의 현상학적 특성 34

3-1. 부석사 공간의 현상학적 특성 35

3-1-1. 상황적 방향성 35

3-1-2. 신체로서의 시간성 40

3-1-3. 의식으로서의 깊이 46

3-1-4. 상호관계적 유동성 50

제4장 부석사 공간의 단계별 종합분석 53

4-1. 공간 특성 도출에 따른 상호관계 분석 54

4-1-1. 부석사 공간 특성 54

4-2. 공간 특성에 따른 현상학적 구간별 분석 57

4-2-1. 기, 승, 전, 결 로서 구간 분석 57

4-2-2. 대석축 기단에 의한 구간 분석 64

4-2-3. 소결 70

제5장 결론 72

참고문헌 75

ABSTRACT 77

〈표1-1〉 선정기준 13

〈표3-1〉 상황적 방향성에 의한 공간구성 요소와 특성 39

〈표3-2〉 신체로서의 시간성에 의한 공간구성 요소와 특징 45

〈표3-3〉 의식으로서 깊이에 의한 공간구성 요소와 특성 49

〈표3-4〉 상호관계적 유동성에 의한 공간구성 요소와 특성 52

〈표4-1〉 상황적 방향성 분석 58

〈표4-2〉 신체의 시간성 분석 58

〈표4-3〉 의식으로서의 깊이 분석 59

〈표4-4〉 상호관계적 유동성 분석 59

〈표4-5〉 A'구간 현상학적 특성 60

〈표4-6〉 B'구간 현상학적 특성 61

〈표4-7〉 C'구간 현상학적 특성 62

〈표4-8〉 D'구간 현상학적 특성 63

〈표4-9〉 대석축에 기단에 의한 구간 64

〈표4-10〉 상황적 방향성 분석 64

〈표4-11〉 신체의 시간성 분석 65

〈표4-12〉 의식으로서의 깊이 65

〈표4-13〉 상호관계적 유동성 66

〈표4-14〉 1 Step 구간 현상학적 특성 67

〈표4-15〉 2 Step 구간 현상학적 특성 68

〈표4-16〉 3 Step 구간 현상학적 특성 69

〈그림2-1〉 전통적 신체개념과 현상학적 신체개념 20

〈그림2-2〉 실제적 신체와 잠재적 신체의 방향성 23

〈그림2-3〉 현상학적 신체로서의 시간성 26

〈그림2-4〉 시각의 애매성에 의한 깊이 27

〈그림2-5〉 상호 관계적 유동성 29

〈그림2-6〉 수미산 31

〈그림2-7〉 부석사 배치도 33

〈그림3-1〉 독립적 형식과 내부적 형식 35

〈그림3-2〉 그림틀 방식 38

〈그림3-3〉 상징적 이미지 41

〈그림3-4〉 어둠과 밝음의 시간성 42

〈그림3-5〉 이동의 시간성과 체류의시간성 43

〈그림3-6〉 범종각 구조도 46

〈그림3-7〉 다각도 투시 47

〈그림3-8〉 공포살의 원근법 48

〈그림3-9〉 경계의 모호성 50

〈그림4-1〉 상황적 방향성의 특성도출 54

〈그림4-2〉 신체로서의 시간성 도출 55

〈그림4-3〉 의식으로서의 깊이도출 56

〈그림4-4〉 상호관계적 특성도출 56

〈그림4-5〉 부석사 구간 단면도 57

초록보기 더보기

오늘날 세계는 기계론적 사고에서 벗어나 공간과 인간에 대한 본질적 관심이 높아지고 또한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관심과 연구는 자연히 다양한 민족성과 고유문화에 대한 접근과 표현으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근대건축 이후 많은 한국성의 재해석 이라는 측면에서 많은 접근이 이루어졌지만 사상적 측면과 시대적 양식적인 면에 치우쳐 한국적 공간과 인간이라는 본질적인 측면에는 소홀 했던 것이 사실이다.

전통건축의 재해석을 통한 한국성의 본질을 찾아가는데 있어서는 단지 시지각의 형태론적 측면만으로 접근은 본질적인 한국성을 찾아가는데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본다.

공간과 인간 그리고 환경의 장소적 맥락을 고려한 접근과 이에 따른 전통건축의 해석이 될 때 본질적인 한국성에 접근이 가능하리라 본다. 인간의 의식과 본질에 대한 접근과 연구를 통해 한국 전통 건축이 연구되고 표현될 때 이시대가 요구하는 시대적 흐름과 맥락을 같이 할 수 있으리라 본다.

이러한 맥락에서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은 인간의 체험을 통한 세계와 상호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의미에 대한 지각과 의식 본질을 말하고 있다.

본 연구는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개념을 통해 한국 전통건축 공간인 부석사를 분석해 봄으로써 사상과 시지각의 형태론적 접근이 아닌 부석사 공간에서 인간이 체험에 따른 의식과 지각에 초점을 두었다. 한국 전통건축 중에서도 부석사 공간은 이동지각에 따른 과정성이 우수하게 구축된 공간으로 판단되어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개념으로 접근을 해보면 동일한 맥락성을 가지질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이렇게 도출된 근거로 부석사 공간이 단지 기계론적 관점이 아닌 인간의 의식과 지각에 따른 체험의 장으로 구축되었다는 것을 제시하는 것이 본 논문의 궁극적인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의 방향은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공간개념을 파악해보고 분류하여 부석사 공간에 대입하여 공간적 특성을 도출해본다.

도출된 특성을 기반으로 부석사 공간의 단계별 분석해봄으로서 이동지각에 따른 현상학적 특성으로 인간 의식과 지각에 대한 관계를 제시를 해보는데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철학적 사상이나 또 다른 방법론으로 인간을 주체로서 한국전통 건축을 파악하려는 노력이 있을 때 한국성의 본질적 접근도 가능하리라 본다. 전통건축 공간의 답습이 아닌 이 시대의 흐름과 가치관의 시대성에 맞춰 재해석되고 구현 될 때 한국성이라는 정체성 또한 확립되고 발전할 것이다.

이 시대가 요구하는 시대적 흐름과 가치관을 이해하고 다양한 방법론으로 전통건축 공간을 접근하는 노력과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인간 주체로서 한국성의 본질을 표현할 때 세계적인 한국성의 코드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본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