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청소년의 애착과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도움추구행동의 경로모형 / 손태주 인기도
발행사항
제주 :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2.2
청구기호
TD 370 -12-221
형태사항
vi, 107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222327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제주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2012.2. 지도교수: 박태수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0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0

2. 연구문제 17

3. 용어의 정의 18

1) 청소년의 애착 18

2) 학교생활적응 18

3) 도움추구행동 19

II. 이론적 배경 21

1. 애착 이론 21

1) 애착이론의 발달 21

2) 청소년 애착과 학교생활적응 25

2. 학교생활적응 27

1) 학교생활적응의 개념 27

2) 애착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매개변인 29

3. 도움추구행동관련변인들 33

1) 도움추구행동 33

2) 애착,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35

3) 애착, 도움추구의도,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36

4) 애착, 지각된 사회적지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38

III. 연구방법 40

1. 연구대상 40

2. 연구모형과 경쟁모형 설정 41

3. 측정도구 45

1) 애착 검사 45

2) 도움추구행동관련 검사 45

3) 학교생활적응 검사 47

4. 연구절차 48

5. 자료분석 49

IV. 연구결과 52

1. 기초 통계 52

1) 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 및 상관 52

2) 다변량 분석의 기본가정 검토 55

3) 애착과 도움추구행동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57

2. 연구모형 분석 58

1) 연구모형 평가(최적의 모형검증) 58

2) 연구모형 분석 60

3)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 총 효과 검증 62

4)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도움추구의도, 지각된 사회적지지 매개효과 검증 64

V. 논의 66

참고문헌 76

Abstract 100

부록 103

부록 1. 애착 검사 104

부록 2.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검사 106

부록 3. 도움추구의도 검사 108

부록 4. 지각된 사회적지지 검사 109

부록 5. 학교생활적응 검사 110

부록 6. 전체 연구모형의 경로계수 113

표 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40

표 2. 애착 검사의 구성내용 및 신뢰도 45

표 3. 학교생활적응 검사의 구성내용 및 신뢰도 48

표 4. 성별, 상담경험 유무, 지역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평균과 표준편차 52

표 5. 측정변인 하위요인들의 평균, 표준편차 간의 상관검증 결과 (N=1,236) 53

표 6. 측정변인들과 학교생활적응간의 상관관계 검증결과 (N=1,236) 54

표 7. 주요변인들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검증결과 (N=1,236) 57

표 8. 연구모형과 경쟁모형별 적합도 지수 비교결과 59

표 9. 연구모형의 측정변수들 간의 표준화경로계수 결과 61

표 10. 전체 연구모형의 종속변수에 대한 다중상관치 검증결과 62

표 11. 연구모형의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 검증결과 63

표 12.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도움추구의도, 지각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검증결과 64

그림 1. 애착의 차원모형 24

그림 2. 연구 모형 (부분매개모형) 43

그림 3. 경쟁 모형(완전매개모형) 44

그림 4. 연구모형의 입력 모형 51

그림 5. 학교생활적응 관련변인들의 표준화 잔차의 정규P-plot 56

그림 6. 애착, 도움추구행동, 학교생활적응 경로모형 60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애착과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도움추구행동의 경로모형을 탐색 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애착과 학교생활적응관계에서 변인들 간에는 어떠한 상관관계를 보이는지, 도움추구행동은 어떠한 경로모형으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청소년의 애착,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청소년의 애착, 도움추구의도,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청소년의 애착, 지각된 사회적지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청소년의 애착과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도움추구행동의 경로모형탐색을 위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는 회피애착과 불안애착으로 구성된 애착이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영향은 물론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도움추구의도, 지각된 사회적지 지를 매개로 간접 영향까지 미친다는 부분매개모형 이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경기·인천광역시, 충청남도, 제주도에 소재하고 있는 일반계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들이다. 표집방법은 지역별, 성별, 학년별 균등비율에 따라 편의표본주줄법(convenience sampling)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전체 1,281명에게 배포하였고, 이 중 1,236명의 표본을 얻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들은 애착 검사,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검사, 도움추구의도 검사, 지각된 사회적지지 검사, 학교생활적응 검사이다. 수집 된 자료는 PASW 18.0에 의해 기초통계를, 설정된 연구모형의 적합성 여부와 경로모형탐색은 AMOS 8.0을 사용하여 경로분석을 통해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요약해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애착과 학교생활적응에서 전문적 도움추구태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회피 애착·불안애착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이를 애착차원별로 나누 어 살펴보면, 불안애착과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간, 학교생활적응과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간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전문적 도움추구태도는 불안애착과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회피애착이 전문적 도움추구태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고, 전문적 도움추구태도는 회피애착과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애착,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도움추구의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회피애착·불안애착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이를 애착차원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불안애착과 도움추구의도 간, 학교생활적응과 도움추구의도 간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도움추구의도는 불안애착과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회피애착이 도움추구의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고, 도움추구의도는 회피애착과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청소년의 애착과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지지 관계를 살펴본 결과, 회피애착·불안애착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학교생활적응과 지각된 사회적지지 간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하지만 회피애착·불안애착과 지각된 사회적지지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고, 지각된 사회적지지는 회피애착·불안애착과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한 결론은 청소년의 회피애착·불안애착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또한 불안애착은 전문적 도움추구태도와 도움추구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 매개변인들은 다시 학교생활적응에 부분매개경로로 간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한다. 따라서 회피애착과 불안애착의 학생들이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보일 때 단순히 학생들의 부적응 행동 자체로만 봐서는 안 될 것이다. 이는 곧 학생들의 애착특성이 우선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학생들이 학교생활적응을 도와주기 위한 상담·교육적 개입을 할 때는 전문적 도움추구태도·도움추구의도와 같은 매개변인과 함께 통합적으로 접근한다면 보다 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