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자기계발동기의 예측요인과 결과요인간의 관계와 심리적 안녕감의 조절효과 / 고영심 인기도
발행사항
제주 :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2.2
청구기호
TM 658 -12-757
형태사항
viii, 78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207491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제주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2012.2. 지도교수: 고부언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8

I. 서론 12

1. 연구배경 및 목적 12

1) 연구배경 12

2) 연구목적 14

2. 연구방법 및 구성 14

1) 연구방법 14

2) 논문의 구성 15

II. 이론적 고찰 16

1. 자기계발동기 16

1) 자기계발동기의 개념 16

2) 자기계발동기 이론 17

3) 자기계발동기 구성요인 25

2. 자기계발동기 예측요인 26

1) 자기효능감 26

2) 주도성 27

3) 자기효능감 및 주도성과 자기계발동기의 관계 29

3. 자기계발동기의 결과요인과 조절요인 32

1) 직무수행 32

2) 심리적 안녕감 37

3) 자기계발동기와 OCB 및 혁신행동과의 관계 40

4) 심리적 안녕감의 조절효과 44

III. 연구 설계 46

1.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46

1) 연구모형 46

2) 연구가설 47

2. 변수의 정의 및 조사방법 50

1) 변수의 정의 및 측정 50

2) 설문구성 및 조사방법 52

IV. 연구결과 54

1.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54

1) 표본의 특성 54

2)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55

2. 가설검증 59

1) 예측변수와 자기계발동기의 관계 검증 59

2) 자기계발동기와 직무수행의 관계 검증 62

3) 심리적 안녕감의 조절효과 검증 65

4) 구조모델분석 72

V. 결론 75

1. 요약 및 시사점 75

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78

참고문헌 80

설문지 87

〈표 3-1〉 설문의 구성 53

〈표 4-1〉 연구표본의 특성 54

〈표 4-2〉 자기계발동기의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56

〈표 4-3〉 직무수행의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57

〈표 4-4〉 예측변수의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58

〈표 4-5〉 심리적 안녕감의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58

〈표 4-6〉 상관관계분석 59

〈표 4-7〉 자기효능감 및 주도성이 내재적 자기계발동기에 미치는 영향 60

〈표 4-8〉 자기효능감 및 주도성이 동일시 자기계발동기에 미치는 영향 61

〈표 4-9〉 자기효능감 및 주도성이 내사된 자기계발동기에 미치는 영향 61

〈표 4-10〉 자기효능감 및 주도성이 외적 계발동기에 미치는 영향 62

〈표 4-11〉 자기계발동기가 개인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63

〈표 4-12〉 자기계발동기가 조직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64

〈표 4-13〉 자기계발동기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64

〈표 4-14〉 자기계발동기와 개인지향 조직시민행동간 심리적 안녕감의 조절효과 67

〈표 4-15〉 자기계발동기와 조직지향 조직시민행동간 심리적 안녕감의 조절효과 68

〈표 4-16〉 자기계발동기와 혁신행동간 심리적 안녕감의 조절효과 70

〈표 4-17〉 단계적χ² 검증 72

〈표 4-18〉 회귀분석과 구조분석간 차이 74

〈그림 2-1〉 자기결정이론에 기반을 둔 동기유형 23

〈그림 3-1〉 연구모형 46

〈그림 4-1〉 동일시 자기계발동기와 개인지향 조직시민행동간 심리적 안녕감의 조절형태 67

〈그림 4-2〉 내재적 자기계발동기와 조직지향 조직시민행동간 심리적 안녕감의 조절형태 69

〈그림 4-3〉 내재적 자기계발동기와 혁신행동간 심리적 안녕감의 조절형태 70

〈그림 4-4〉 외적 자기계발동기와 혁신행동간 심리적 안녕감의 조절형태 71

〈그림 4-5〉 구조모델분석 73

초록보기 더보기

The study was conducted to promote academic research on self-development motivation in the context of business administration, which has been researched in psychology and pedagogy, and to increase interest in self-development motivation. A questionnaire method was utilized for the research. 242 employees of public and private companies located in Jeju were surveyed; the companies were limited to those who conduct capability development amongst employees, such as the branch office of a large companies and banks.

The research model was design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redicting factors of self-development motivation (self-efficacy and self-initiation), four sub-factors of self-development motivation (extrinsic regulation motivation, introjected regulation motivation, identified regulation motiv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job performanc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nnovative behavior), and regulation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following is the verification process of the research model. First is to verify the differential effect of self-efficacy and self-initiation for four sub-factors of self-development motivation. Second is to verify the differential effect of four sub-factors for self-development motivation on job performanc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nnovative behavior). Third is to verify the regulation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self-development motivation and job performance. Fourth is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predicting variables, self-development motivation and job performance as an additional analysi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efforts should be made to increase self-efficacy and self-initiation in order to increase intrinsic control of self-development motivation. Companies should actively introduce career development programs to expand self-development opportunities and establish a personnel system in which employees ar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the goal-setting process. In addition, managers who can effectively train employees should be nurtured through leadership development courses. Also, companies should provide challenging job opportunities to employees with strong self-initiation and expand job autonomy. Companies should introduce a system to measure self-initiation for effective job allocation.

Second, various tools should be established to increase intrinsic self-development motivation which can trigger innovative behavior of organization members. Companies also need to provide employees with self-learning opportunities. That is, it is more important to establish a system to actively support employees to have interest in self-development education than to provide job training to improve job performance ability. In addition, while introducing and strategically operating a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which can support talented employees in maintaining their outstanding capabilities through a differential management system, companies should provide employees with average performance with an opportunity to improve their capabilities.

Third, activities which promote internalization of self-development motivation regulation should be conducted for employees with low psychological well-being. Research has identified that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which promotes internalization of self-development motivation to employees with low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job performance.

Fourth, the research is academically significant as it introduced self-development motivation which has been studied in pedagogy and psychology to the area of business and administration. The research on self-development motivation had been focused on self-control motivation types and academic achievements. The research combined self-regulation motivation with organizational self-development motivation, and, therefore, provided a theoretical framework for self-development motivation and an opportunity to promote research on self-development motivation in the field of business administration.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