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서울 서촌의 역사문화경관에 관한 연구 / 이진향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1.8
청구기호
TD 712 -11-178
형태사항
x, 147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167576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상명대학교 대학원, 조경학, 2011.8. 지도교수: 이재근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1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4

II.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7

1. 연구범위 17

1) 시·공간적 범위 17

2) 내용적 범위 18

2. 연구방법 19

1) 문헌연구 19

2) 사례지 조사 및 분석 21

3) 원형경관의 해석 및 제안 23

III. 연구사 26

1. 역사문화경관에 관한 연구 26

1) 역사문화경관의 가치와 해석에 관한 연구 26

2) 역사문화경관 보전과 활용에 관한 연구 27

3) 역사문화경관의 연구동향 30

2. 서촌 관련 연구 32

3. 소결 35

IV. 이론적 고찰 37

1. 역사문화경관에 관한 논의 37

1) 역사문화경관의 정의와 가치 37

2) 도시의 역사문화경관과 경관해석 40

3) 역사문화경관의 보전과 보전경향 42

2. 역사문화경관의 경관텍스트 45

1) 텍스트로서의 경관 45

2) 경관 텍스트 47

3. 진경산수화의 배경 및 특징 51

1) 산수화의 발생과 배경 51

2) 관념산수화와 실경산수화 52

3) 진경산수화의 특징 54

4. 소결 57

V. 결과 및 고찰 59

1. 서촌의 원형경관 59

1) 서촌의 산수 61

2) 서촌의 궁 67

3) 분석 73

2. 서촌의 경관변천 74

1) 서촌 사회문화 환경의 해석 74

2) 서촌의 시대별 경관변천 78

3) 주거지 확대현황 93

4) 서촌경관의 시대별 특성과 현황 95

3. 서촌 명소의 현황과 경관해석 100

1) 필운대 100

2) 수성동 103

3) 청휘각, 송석원 105

4) 세심대 109

5) 청풍계 112

6) 서촌 명소의 특징과 가치 126

4. 서촌 명소의 보전 및 복원 129

1) 산맥의 보전 129

2) 물길의 복원 131

3) 명소별 보전과 복원 132

5. 소결 137

VI. 결론 140

참고 및 인용문헌 145

Abstract 151

표 3-1. 서촌 관련 연구 34

표 4-1. 역사문화경관의 구성 39

표 5-1. 백운동천 복원에 관한 정부의 발표 65

표 5-2. 서촌의 궁 70

표 5-3. 조선시대의 행정구역 79

표 5-4. 대상지 내의 중요 양반 세거지 81

표 5-5. 대상지에 위치한 관공서 82

표 5-6. 광화문에서 서촌으로 진입하는 도로의 변천 83

표 5-7. 1917년과 1929 국적별 소유현황의 변화 86

표 5-8. 옥인동경관의 시대별 비교 92

표 5-9. 서촌의 시대별 경관 특징 99

표 5-10. 청풍계 경관요소와 경물의 의미분석 123

표 5-11. 서촌 명소의 위치 127

표 5-12. 구역별 보전과 복원구역 설정 제언 135

그림 2-1. 연구대상지의 위치 및 범위 17

그림 2-2. 연구의 흐름도 25

그림 5-1. 조선후기 도성대지도 60

그림 5-2. 청계천 발원지 63

그림 5-3. 서촌의 물길, 일제 초기 백운동천 64

그림 5-4. 조선말기 중학천이 흐르던 중학동 일대 하천 모습 64

그림 5-5. 청계천 상류물길 65

그림 5-6. 서울시가 발표한 광화문 일대 지하 빗물터널 도면 65

그림 5-7. 서촌의 물길 66

그림 5-8. 서촌지역 궁가 분포도 72

그림 5-9. 일제강점기 옥인동 88

그림 5-10. 일제 강점기 옥인동 경관 88

그림 5-11. 청운동 주거지경관 89

그림 5-12. 청운동 주택경관 89

그림 5-13. 옥인동 골목 91

그림 5-14. 옥인동 군인아파트, 91

그림 5-15. 효자동 골목 93

그림 5-16. 궁정동에서 바라본 백악산 93

그림 5-17. 서촌 연도별 주거지 확대현황 94

그림 5-18. 구역별 경관변천 95

그림 5-19. 필운대 각자 101

그림 5-20. 이유원의 각자 101

그림 5-21. 이항복 집터 표석 101

그림 5-22. 배화여고에서 본 북한산과 백악산 102

그림 5-23. 장시홍의 그림 필운대(출처미상) 102

그림 5-24. 겸재정선의 필운대 103

그림 5-25. 현 필운대 주변 103

그림 5-26. 배화여고에서 바라본 수성동 104

그림 5-27. 겸재정선의 수성동 104

그림 5-28. 1950년대의 기린교 104

그림 5-29. 현재의 기린교(2011) 104

그림 5-30. 서울시 수성동계곡 복원공사 105

그림 5-31. 공사 중인 수성동 계곡 105

그림 5-32. 겸재 정선의 청휘각 108

그림 5-33. 송석원시사야연도 108

그림 5-34. 겸재 정선의 삼승정 110

그림 5-35. 겸재 정선의 옥동척강 110

그림 5-36. 삼승정 추정지에서 바라본 전경 111

그림 5-37. 삼승정 추정지 111

그림 5-38. 세심대 올라가는 길 111

그림 5-39. 세심대 추정지 111

그림 5-40. 인왕산 위에서 본 청풍계와 백악산 112

그림 5-41. 김상용 집터 114

그림 5-42. ‘백세청풍’ 각자 114

그림 5-43. 겸재 정선의 〈청풍계〉도에서 경관요소의 비교 117

그림 5-44. 서촌 명승 위치도면 128

그림 5-45. 강희언의 〈인왕산도〉와 서촌의 명소 130

그림 5-46. 인왕산 능선과 서촌의 명소위치 131

그림 5-47. 서촌 경관보전을 위한 보호 및 복원구역설정 136

초록보기 더보기

서촌은 서울 도심에 위치하여 인왕산을 배경으로 자연경관이 수려하고 역사와 문화적 자원이 풍부한 한국의 대표적인 역사문화경관 지역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시대의 변천과 함께 변화를 거듭해온 현재 서촌의 모습을 볼 때 서촌이 지녔던 자연경관의 아름다움과 서촌만이 간직한 장소성은 경제성에 힘입은 개발의 논리에 밀려 점차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촌 경관의 가치를 인식하고 경관의 보전과 보호를 위하여 원형경관, 경관변천의 원인과 과정 그리고 보전과 복원 가능성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촌의 경관은 산맥과 물길을 골격으로 하는 자연경관과 사상적 배경을 지닌 귀족문화 그리고 중인들의 위항문화가 어우러진 우수한 역사문화경관이다. 현재까지 진경문화를 바탕으로 한 경관텍스트인 시, 유산기와 같은 문학작품과 진경산수화의 회화작품이 많이 남아있다. 따라서 자연경관이 보전되어 있으며 학문과 사상을 바탕으로 진경문화가 꽃 피웠던 조선 후기의 경관을 원형경관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서촌의 경관은 경복궁의 인근에 위치하여 정치적·사회적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일제 강점기의 주체 세력의 변화, 해방과 전쟁, 이후에 진행된 근대화와 산업화로 인하여 서촌인구는 급속하게 증가하였다. 그 결과 과거 궁지에는 일본 관련 건물이나 공공건물이 들어왔고 무계획적으로 주거지가 확대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서촌의 자연경관은 훼손되었고 그 역사성을 잃어 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서촌의 물길은 청계천의 발원지인 백운동천과 옥류동천이 합류되어 흐르는 의미 있는 곳으로 복원의 필요성이 꾸준하게 제기되어 왔다. 물길의 복원은 생태적으로 지형, 지세를 고려하고 풍토에 적합한 개발이 되어야 할 것이다.‘인왕산 아래 백운동천 물이 동남으로 흘러 자수궁 다리를 거쳐 금청교로 흐른다.’는 한경지략의 기록에서도 볼 수 있듯이 물의 연속적 성질을 살리기 위하여 서촌의 물은 청계천으로 연결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서촌물길의 복원에 있어 역사성과 연계된 복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백운동천은 선원 김상용의 청풍계 원림에 있던 조심당, 함벽당, 척금당 등 삼당을 함께 복원해야 하며 옥류동천의 복원은 청휘각과 송석원이 계류와 함께 복원계획이 세워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섯째, 서촌은 인물과 관련된 경관이 우수한 명소가 많다. 본 연구는 겸재 정선의 장동팔경을 중심으로 인왕산 인근의 명소로서 필운대, 수성동, 청휘각과 송석원, 세심대, 청풍계 등 5곳을 선정하였다. 서촌 명소의 위치는 대부분 일정 고도 이상의 경관이 우수한 지역에 위치하며, 물과 관련이 있으며, 인물과 관련된 풍부한 인문환경요소를 지니고 있다. 명소의 현황을 분류하면 이미 주거지화 되어 있어 명확한 위치를 알 수 없는 곳(청휘각과 송석원, 청풍계),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으나 훼손의 정도가 심한 곳(필운대, 수성동), 아직 훼손이 되지 않았으나 훼손 가능성이 있는 곳(세심대, 청풍계 인근의 백운동 계곡) 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명소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망경관이 우수하였던 필운대와 세심대는 조망권 확보가, 청휘각과 송석원 지역과 청풍계 지역은 계류와 연계된 복원계획이, 지형과 녹지의 보전 상태가 좋은 세심대와 백운동 계곡의 녹지는 보호를 위하여 보호지역지정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필운대는 조망권 확보 및 주변 암반 보호를 위한 문화재 복원을, 수성동은 현재 복원 중인 공원화 사업을 중심으로 복원지역의 확대를, 청휘각과 송석원 청풍계 지역은 인물과 연계된 역사성을 포함한 물길의 복원을, 세심대와 백운동 녹지지역은 보전을 위한 보호구역설정이 요구된다. 서촌의 경관보전계획은 서울 성곽을 위시한 서울의 세계문화유산 추진과 문화재로서 명승적 가치를 제고시키는데 이바지할 것이라 사료된다.

참고문헌 (7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2007,조선시대 산수화-아름다운 필묵의 정신사, 돌베개 미소장
2 2001, 문화재의 보존과 복원, 책세상 : 서울 미소장
3 1998, 우리도시의 얼굴찾기:한국 도시의 경관변천과 정체성연구, 태림문화사 미소장
4 서울역사박물관, 2010, 서촌 1, 역사. 경관. 도시조직의 변화 미소장
5 서울역사박물관, 2010, 서촌 2, 사람들의 삶과 일상 미소장
6 서울특별시시사편찬위원회, 2000, 서울의 하천 미소장
7 1977, 조선시대 도시 사회연구, 일지사 미소장
8 1996, 일제강점기 도시 사회상 연구, 일지사 미소장
9 1996, 일제강점기 도시계획연구, 일지사 미소장
10 2003, 서울도시계획이야기, 한울 미소장
11 2001, 서울은 어떻게 계획되었는가, 산림출판사 미소장
12 1991, 동양화 구도론, 미진사 미소장
13 2002, 한국의 도시경관, 열화당 미소장
14 1994, 동양 도시사 속의 서울,서울 시정 개발 연구원 미소장
15 2006, 조선의 문화공간 3, 휴머니스트 미소장
16 1998, 경관분석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17 2009, 전통문화환경에 새겨진 의미와 가치,환경과 조경 미소장
18 2008, 인문지리학의 시선, 논형 미소장
19 1998, 공간담론과 인문지리학의 최근 쟁점, 협신사 미소장
20 종로구, 2005, 종로구 통계연보, 종로구청 미소장
21 1993, 겸재정선 진경산수화, 범우사 미소장
22 2004, 겸재의 한양진경, 동아출판사 미소장
23 클리포드 기어츠 문화의 해석 까치 , 1998, , ∙∙ 미소장
24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4, 우리 국토에 새겨진 문화와 역사, 논형 미소장
25 한국조경학회, 1996, 동양조경사, 문운당 미소장
26 일제강점기 건축문화재 보존 연구 소장
27 (都市의 歷史空間) 歷史環境의 維持와 保存 네이버 미소장
28 Articles : A Study on Renovation of Historic and Cultural Landscape and Its Utilization in Naju Eup-Seong 소장
29 2002, 텍스트로서 신도안 읽기,문화역사지리 Vol.14 No.3 미소장
30 2003, 풍수의 사회적 구성에 기초한 경관 및 장소 해석,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31 2008, 지명 경관을 통한 장소 의미의 구성,문화역사지리 20권,제3호 미소장
32 2001, 도시 내의 역사경관보존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미소장
33 우리나라 명승 지정 확대방안 연구 : 한국과 일본 명승자원 유형분석을 중심으로 소장
34 역사도시 나주읍성지역의 전통경관 조성 및 관리방안 연구 소장
35 1991, 역사경관 보존관리에 관한 연구,전북대학교, 농촌사회발전연구소 Vol.2 No.- pp. 61-75 미소장
36 1998, 역사문화도시의 보존과 개발에 관한 법적 문제,토지공법학회 Vol.5 No.- pp. 17-43 미소장
37 2007, 통의동의 공간구조와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순천향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13 No.2 미소장
38 2007, 서촌 역사문화 탐방로 조성 방안 연구,한국조경학회지 제35권 제3호 통권122호 미소장
39 2010, 서촌의 산악경관과 원림문화, 서촌 역사 경관도시조직의 변화(6장), 서울역사박물관 미소장
40 2009, 사회적 구성으로 본 서울의 역사문화경관 해석,서울시립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미소장
41 2007, 팔경 구조분석을 통해 본 전통문화경관에관한 조망권역에 관한 실증적 연구,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5 No.1 미소장
42 문화재 주변지역 경관 보존·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수원 화성을 사례로 소장
43 2003, 산운마을의 역사문화경관 복원 및 정비,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1 No.4 미소장
44 슐츠의 실존적 공간론을 기반으로 한 현대건축 실내공간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소장
45 조선시대 한양 안의 땅이름들 - 갑오경장 이전의 행정구역을 중심으로 - 네이버 미소장
46 2005, 산수화의 공간인식과 표현에 관한 연구,홍익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미소장
47 2004, 고도보존에 관한 특별법제정과정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미소장
48 2006, 청계천 상류지천 유역의 역사탐방로 계획 연구,서울시립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미소장
49 2002, 역사적 환경의 보존수법에 관한 연구.국토계획 Vol.37 No.3 미소장
50 2006, 인왕산 동쪽 기슭의 권력과 경관,한국교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미소장
51 都市環境의 質的인 向上을 위한 歷史景觀 保存制度의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네이버 미소장
52 서울 서촌의 역사문화경관자원의 가치 해석에 관한 연구 소장
53 2009, 진경산수화에 표현된 풍토경관에 관한 기초연구,한국조경학회 Vol.37 No.1 미소장
54 지자체 경관시책의 현황과 특성을 고려한 경관법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소장
55 2011, 청풍계 경관에 관한 연구,한국전통조경학회 Vol.29 No.1 미소장
56 2007, 지역 특성을 반영한 가로환경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미소장
57 A Study on the Forming Background of Hansungbu and Its Locational Characteristics 소장
58 (A) study on applicability of transferable development right for enhancing urban amenity 네이버 미소장
59 역사 환경을 고려한 주거환경 정비방안 연구 네이버 미소장
60 2008, 자하문길 주변지역의 도시건축 적응유형 연구,서울시립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미소장
61 한국 傳統마을의 景觀構造에 관한 硏究 소장
62 지방도시의 활성화를 위한 역사문화경관 관리 방안 연구 : 일본 가나자와(金澤市)를 중심으로 소장
63 2004, 문화관광 활성화를 위한 고도의 역사적 경관 정비에 관한연구,대한관광경영학회 Vol.19 No.1 미소장
64 2008, 조선왕릉의 능역 복원에 관한 연구,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65 2004, 역사문화지구 건축경관개선을 위한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동아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미소장
66 1991, 덕동구곡에 나타난 전통경관구조의 해석에 관한 연구,서울시립대학교 논문집 Vol.25 미소장
67 2010, 서울 서촌의 문화지구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미소장
68 2002, 역사 환경 보전의 로컬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서울시립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미소장
69 역사문화경관 보전에 관한 연구 네이버 미소장
70 1999, 인왕산에서 활동한 위항시인들의 모임터 변천사,서울학연구 Vol.- No.13 미소장
71 2005, 조선 중기 인경궁 건설의 도시구조상 의미에 관한 연구,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 Vol.30 No.2 미소장
72 2009, 겸재의 진경산수화에 표현된 전통정원,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7 No.4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