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김현 문학비평 연구 / 조영실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2
청구기호
TD 411 -11-86
형태사항
vii, 159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133205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 2011.2. 지도교수: 김현숙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 개요 6

I. 서론 9

A. 연구사 검토 및 문제 제기 9

B. 연구 방법 및 연구 범위 17

II. 서구화 논리 비판과 한국문학의 의미망 모색 23

A. 상상 체계의 위기와 허무주의 비판 23

1. 리버럴리즘의 좌절과 개인성 추구 23

2. 관념적 형상화 비판과 언어적 자각 34

B. 전통 단절론 극복과 구조주의 분석비평 46

1. '굴절'과 '전개'로서의 문학사관 46

2. '방법론적 회의'와 이미지의 변주 분석 54

III. 산업화의 역기능 비판과 '공감의 비평' 구축 65

A. 소비 사회의 거짓 욕망과 '역승화' 비판 65

1. 욕망의 획일화와 문학 소외 반성 65

2. 문학 무용론과 현실 부정의 가능성 77

B. '진실화 과정'과 문학적 '울림' 분석 84

1. 경험적 현실의 제약과 소시민 의식 성찰 84

2. 문화적 이미지의 갱신과 '부정적 드러냄' 93

IV. 폭력의 일상화 비판과 '분석적 해체주의' 104

A. 권력의 편재화와 억압 비판 104

1. 계층적 한계 자각과 폭력의 메커니즘 탐구 104

2. '문학의 문학'과 문학의 제도화 고구 113

B. 비평의 유형학과 '해체-구축'의 방법론 125

1. 메타 비평과 주관의 확장 125

2. '사회적 책읽기'와 연대성의 탐색 136

V. 김현 문학비평의 문학사적 의미 149

VI. 결론 153

참고문헌 157

Abstract 163

초록보기 더보기

본고에서는 순수문학과 참여문학의 대립적 구도 속에서 '순수문학론'이라는 평가를 받아온 김현 문학비평을 조망하여, 그가 1960-1980년대 사회와 문학의 관계를 성찰하여 전개한 문학비평의 운동성과 문학적 실천의 의미를 규명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962년 등단부터 1990년 작고하기까지 발표한 한국문학과 프랑스문학 실제 비평과 이론 비평을 당대의 맥락에서 분석하여, 김현의 당대 현실 인식과 문학비평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현 문학비평의 기저와 변모 양상을 고찰하고 그 문학사적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II장에서는 1960년 4·19혁명 이후, 김현의 세대 의식과 언어 의식 및 구조주의적 분석비평을 고찰하였다. 4·19세대라는 명명은 리버럴리즘과 허무주의의 양면성을 지니고 있지만, 허무주의 극복을 위해 노력할 의무를 지닌 작가와 비평가에게 주어진다. 그는 1960년대를 순수문학과 참여문학 및 모더니즘과 리얼리즘의 이분법으로는 포괄할 수 없는 '상상 체계의 위기'가 발생한 시기로 인식하고, 당대 문학작품에 반복되는 허무주의적 세계관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개인의 자각, 즉 '반성하는 정신'을 제시한다. 반성을 전제하지 않는다면, 문학은 경험적 현실의 모순을 돌파하는 대신 주어진 이념형을 관념적으로 형상화하게 될 뿐이라고 김현은 진단한다. 김현 초기 비평에서 자성(自省)의 출발점은 언어와 의식의 문제였으며, 언어 탐색을 통해 김현은 '언어는 사회적 산물이 아니라 사회적 활동'이라는 훔볼트의 명제에 도달한다. 언어를 '세계를 보는 태도의 소산'으로 이해한다면 각기 다른 역사적 시기에서 그 유효성을 검토하는 방식으로 문학의 언어를 고찰할 수 있게 된다.

60년대 후반에 이르러 김현은 '기능의 파악을 목적으로 하는 기호학적 경향'이자 ''역사의 변증법적 발전'을 '거부'하는 태도로 구조주의를 사유하면서, 자신 역시 무의식적으로 침윤되어 있던 전통 단절론을 비판하게 된다. 그는 문학에서의 영향이란 직선적인 것이 아닌, 빛의 굴절과 같은 것으로 보아야 한다고 말한다. 근대문학의 준거를 자생적인 근대 의식과 언어 의식으로 설정함으로써, 김현은 서구문학 우월주의로부터 벗어나 한국문학의 새로운 의미망을 구축한다. 한국문학사 전체에 대한 구조화는 70년대 중반 가스통 바슐라르의 인식론적 단절과 감싸기 개념을 전유하면서 가능해진다. 또한 바슐라르의 역동적 상상력 개념을 전유한 1960년대 실제 비평 작업은 문학작품의 구조 분석을 거쳐, 1960년대 문학이 '방법론적 회의'를 통해 지배 담론과 길항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III장에서는 1970년대 김현이 포착한 산업화의 역기능과 그에 대한 비판적 인식으로부터 체계화 한 유토피아 문학론 및 '공감의 비평'을 고찰하였다. 바슐라르의 '승화' 개념을 통해 문학의 새로운 창작 가능성을 전망했던 60년대와 달리, 70년대는 김현이 마르쿠제의 '역승화' 개념을 통해 문학적 승화가 불가능한 시대로 비판할만큼 전면적인 사회 변화가 진행되었다. 1970년대 산업화의 심화로 인한 '역승화'의 문제와 문학의 역할에 대한 사유를 통해 김현이 구축한 문학론은 '문학은 유용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인간을 억압하지 않는다.'는 명제로 요약할 수 있다. 부정적 힘을 인지하는 반성이 가능한 것은 문학이 꿈과 현실과의 거리를 드러내기 때문이라고 김현은 말한다. 저널리즘에 의해 70년대 순수와 참여의 싸움이라 불린, 그 스스로는 '이론적 실천'과 '실천적 이론'이라 명명한 서로 다른 비평의 소통을 지향했던 김현의 난제는 '사회는 억압받는 자와 억압하는 자로 간단하게 구분되고 억압받는 자의 승리라는 유토피아적 이상이 곧 설정'되는 교조주의 비평의 이원론에 함몰되지 않는 비평 태도를 견지하는 것이었다.

유신정권이 1979년 막을 내리기까지, 김현 문학의 화두는 '꿈'이었다. 자유로운 '꿈'의 공간인 문학은 그것이 역으로 경험적 현실의 제약을 드러내는 한에서 일차적 의미를 갖는다. 김현은 동시대 작품들에서 분출되는 금기와 욕망 분석을 통해 자신을 포함한 시대의 지향점을 파악하려는 비평 작업을 지속하는데, 소시민으로서의 현실적 자아에 대한 반성이 그 한 지점을 이룬다. 이를 통해 그는 중산층 지식인으로서 넘어서야 하는 경험적 한계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유토피아는 토피아라는, 유토피아로 가는 과정 속에서만 존재하며 진실은 진실화 과정 속에 있다.'는 문학론을 구축한다.

V장에서는 1980년 5월 '광주'이후, 군부 정권 하에서 김현이 일상화된 폭력을 비판하며 분석한 폭력의 메커니즘과 권력의 편재화 구조 그리고 '분석적 해체주의'를 고찰하였다. '선(先)산업화 후(後)민주화'라는 한국식 민주주의를 내세워 중산층을 포섭했던 국가에 대한 비판은 르네 지라르와 미셀 푸코 연구로 이어진다. 특히 권력의 편재성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문학 영역에서 푸코가 주목한 것은 '문학의 문학'이라고 김현은 분석한다. '문학의 문학'이란 문학의 본질이 이미 어떤 체계 혹은 권력에 의해 지배된다는 조건에서, 문학의 본질을 다시 파악하려는 담론적 실천을 의미한다. 80년대 김현 문학비평은 80년대 후반으로 갈수록 더욱 이러한 담론적 실천을 의식적으로 시도하게 되는데, 곧 '비평학 혹은 비평의 유형학'이라 부른 메타비평 작업이다.

김현은 '주의 주장'이나 '추상적 이론'에 기댄 비평을 '분석 정신의 해이'로 정의하고, 이러한 비평은 결국 '공동체 의식의 쇠퇴'로 귀결된다고 비판한다. 공감대를 얻지 못한 문학작품은 문학의 상품화와 주변화 현상에서 벗어날 수 없으며, '힘있는 문화적 사실'이 되지 못한다. 이에 김현은 '경험적 현실의 구조 뒤에 숨어 있는, 안 보이는 현실을 밝히는 자리'가 곧 문학이며, '해체-구축'이 곧 분석이라는 비평관을 '분석적 해체주의'라는 이름으로 제시한다.

1960년대-1980년대 한국문학에서 김현의 문학비평은 '근대화는 곧 서구화'라는 근대적 사유 체계와 억압 받는 자의 승리라는 도식적인 문학적 전망을 극복하기 위한 과정이었다. 그러나 그 '내파(內破)'라는 목표로 인해, 김현 역시 근대적 사유 체계와 중산층 지식인 의식 안(內)에 갇히는 딜레마에 직면하였다. 김현 문학비평의 문학사적 의의는 그가 자신의 딜레마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한 과정에서 발견된다. 한국의 프랑스문학 연구자로서, 소위 제3세계 지식인에게 나타날 수 있는 사대주의와 열패감에 함몰되지 않고, 제3세계의 경험적 현실을 포괄할 수 없는 프랑스문학 이론의 한계 지점을 포착하여 사대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인식적 토대를 마련한다. 한국의 중산층 지식인으로서 억압 받는 자/억압하는 자의 대립적 계층에 대한 이중적인 자의식을 반성함으로써, 사회의 중층적인 구조적 모순을 일원화 하지 않을 수 있었다. 따라서 비평은 '작가-작품-독자'의 공감 형성과 확산을 통해 '문학적 사실'을 '힘 있는 문화적 사실'로 만들 수 있어야 한다는 김현 문학비평은 21세기 현재 한국문학에서 문학적 실천의 방향을 제시하는 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

참고문헌 (10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현 문학전집』1-16, 문학과지성사, 1991-1993. 미소장
2 『산문시대』, 미소장
3 『사계』, 미소장
4 『68문학』, 미소장
5 『문학과 지성』, 미소장
6 『우리 세대의 문학』, 미소장
7 『우리 시대의 문학』 미소장
8 『문학과 사회』 미소장
9 A Study on Establishment of the Subjective in Critique of Kim Hyeon: Focused on the Critique of Lee Eo-ryeong 소장
10 「한국문학비평의 존재론적 지평에 대한 고찰」,『반교어문논집』10집, 1999. 미소장
11 『1960년대 비평문학 연구』이화여대 박사논문, 2004. 미소장
12 『1960년대 비평문학 연구』이화여대 박사논문, 2004. 미소장
13 『김현 신화 다시 읽기』, 이룸, 2008. 미소장
14 「1970년대 '문학과 지성' 동인의 시론」,『한국현대시론사연구』, 문학과지성사, 1998. 미소장
15 「1960년대 비평에 나타난 '현대성' 연구」,『한국학보』96집,2004. 미소장
16 「1970년대 김현 비평 연구: 만남의 비평과 에세이 비평을 중심으로」,『인문과학연구』8집, 2002. 미소장
17 「미혹과 비판 사이: 김현의 대중문화비평에 대하여」,『한국현대비평가 연구』, 강, 1996. 미소장
18 『산업화 과정에서의 국가 역할과 중소기업정책 - 60,70년대를 중심으로』, 이대 사회학과 석사논문, 1986. 미소장
19 권 온, 「황금빛 불사조의 이름을 찾아서」,『문학과사회』, 2010, 가을호. 미소장
20 『잉여 쾌락의 시대-지젝이 본 후기 산업사회』, 문예출판사,2003. 미소장
21 study on the change of meaning of 'engagement' in Korean modern literature 네이버 미소장
22 『프랑스 상징주의』, 연세대출판부, 2005. 미소장
23 Study of Society in Modern Korean Bestseller Literature 네이버 미소장
24 『들린 시대의 문학』, 문학과지성사, 1985. 미소장
25 『1960년대 문학비평의 담론구조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2001. 미소장
26 『1950년대 한국 문학비평의 재조명』, 혜안, 2009. 미소장
27 『한국 근현대문학의 프랑스문학 수용』, 서울대출판문화원, 2009. 미소장
28 김윤식, 구중서, 김현, 임중빈, 「4․19혁명과 한국문학」,『사상계』, 1970. 미소장
29 『80년대 우리 문학의 이해』, 서울대출판부, 1989. 미소장
30 「김현 비평의 표정」,『한국 현대문학비평사론』, 서울대출판부,2002. 미소장
31 「1960년대 '한국적인 것'의 담론 지형과 신세대 의식」,『상허학보』16, 상허학회, 2006. 미소장
32 「가상의 현실과 상상의 글쓰기」,『시(詩)에 관한 각서』, 새움,2004. 미소장
33 『20세기 이데올로기와 문학사상』, 서울대출판부, 1979. 미소장
34 『문학이란 무엇인가』, 문학과지성사, 1978. 미소장
35 『현대한국문학의 이론』, 민음사, 1972. 미소장
36 「GI와 PX 문화를 통해 본 미국문화」,『1950년대 미디어와 미국표상』, 상허학회, 2006. 미소장
37 김현 문학비평 연구 소장
38 류보선, 「90년대 소설의 지형-희망과 절망, 그 이상한 가역 반응」,『문예중앙』, 1995, 가을. 미소장
39 문학비평의 근대성과 유토피아;김윤식론 소장
40 문학사와비평연구회 편,『1960년대 문학연구』, 예하, 1993. 미소장
41 『『문학과지성』비판』, 지평, 1987. 미소장
42 「1960년대 외국문학 전공자 그룹과 김현 비평」,『국제어문』40집, 2007. 미소장
43 conception de la mat?rialit? et l'ustensilit? des mots comme fondement de l'esth?tique de Sartre 네이버 미소장
44 La morale existentielle de Sartre: Surmonter La mauvaise foi et Vivre La vie de La creation des valeurs 소장
45 「1980년 이후의 비평에 관한 몇 개의 단상」,『문학과 사회』,2000, 여름호. 미소장
46 자유와 문화적 초월,혹은 열린 전망;김병익론 소장
47 「김현 비판-외디푸스 신화의 수용 양상과 재해석」,『비판, 비판,그리고 또 비판』, 새미, 2002. 미소장
48 「퇴폐주의를 어떻게 할 것인가-황지우, 김현, 정과리 비판」,『한국문학 비평의 혁명』, 국학자료원, 1997. 미소장
49 민중ㆍ민족문학의 새 단계 네이버 미소장
50 『기호에서 텍스트로』, 민음사, 1998. 미소장
51 「두 개의 시각과 부정, 비판, 변혁-80년대 소설의 한 관찰」,『우리 시대의 문학』, 1987. 미소장
52 「기술 - 자본 시대의 문화와 문학, 그리고 시」,『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 문학과지성사, 2004. 미소장
53 『한국근대문학론』, 국학자료원, 2003 미소장
54 굳은 객관성에서 깊은 주관성으로 김현의 『행복의 시학』과 『제강의 꿈』 읽기 소장
55 Literary History and Post-colonialism -in the case of Kim Hyun 소장
56 A Study on the Changes of Popular Novel Theory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and Their Significance 소장
57 『해체주의와 그 이후』, 열린책들, 2007. 미소장
58 『이토록 사소한 정치성』, 문학과지성사, 2006. 미소장
59 김현의 「한국문학의 위상」에 대한 한 고찰 소장
60 김 현 문학비평 연구 소장
61 동인지 『산문시대』 연구 소장
62 『훔볼트의 언어철학』, 고려대출판부, 1999. 미소장
63 김현의 시 비평에 대한 고찰 소장
64 Kim Hyun`s Oblivion and Desire 소장
65 『구조주의와 포스트구조주의』, 새길, 1995. 미소장
66 『한국현대정치사』, 집문당, 1997. 미소장
67 김현 후기 비평의 수사학적 문채figure와 상호주관성 연구 소장
68 「김현의 후기비평에 나타난 유마주의 문학관」,『문학선』, 2005,상반기호. 미소장
69 김현 初期 批評 연구 소장
70 동인지 『散文時代』 연구 소장
71 『1960년대 한국문학비평 연구』, 중앙대 박사논문, 1999. 미소장
72 문화적 주체의 구성과 소시민 의식 : '소시민' 논쟁의 비평사적 의미 소장
73 『1960․70년대 한국문학비평연구-'문학과지성' ․ '창작과비평'의 분화를 중심으로』, 성균관대 박사논문, 2002. 미소장
74 『문학이라는 것의 욕망』, 역락, 2005. 미소장
75 『카이로스의 문학』, 갈무리, 2006. 미소장
76 『키치, 우리들의 행복한 세계』, 프로네시스, 2007. 미소장
77 『한국현대정치사 서설』, 지식산업사, 2000. 미소장
78 신과학 정신과 신인류학 정신 소장
79 「『산문시대』연구」,『한국문학과 풍속』2, 국학자료원, 2003. 미소장
80 공감의 비평, 그 내적 모순 소장
81 김현의 비평과 『문학과지성』의 형성과정 소장
82 전후비평의 타자화와 폐쇄적 권력지향성 : 1960~70년대 '문학과지성' 에콜을 중심으로 소장
83 『1960년대 한국문학비평 연구』, 성균관대 박사논문, 1997. 미소장
84 김현 비평 연구 : 독서행위를 중심으로 소장
85 「김현, 김윤식 문학사의 방법론 검토」,『한국문학 비평과 문학사의 이해』, 청동거울, 2007. 미소장
86 미적 이데올로기의 분석적 수사 : 김현 비평 고 소장
87 와전된 정신분석학의 비평 : 김현의 글 『소설은 왜 읽는가』에 대한 비판적 읽기 소장
88 『68문학』 연구 소장
89 루이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론 소장
90 『1960년대 한국문학 논쟁 연구』, 명지대 박사논문, 2000. 미소장
91 김현 문학비평 연구 소장
92 르네의 바다;불문학자 김현 소장
93 『프랑스 철학 강의』, 이정우 역, 교보문고, 1992. 미소장
94 『구조주의와 기호학』, 오원교 역, 신아사, 1993. 미소장
95 『자크 라캉 욕망이론』, 권택영 외 역, 문예출판사, 1994. 미소장
96 『삐딱하게 보기』, 김소연 ․ 유재희 역, 시각과언어,1995. 미소장
97 『서사, 일반기호학』, 홍정표 역, 문학과지성사, 2003. 미소장
98 『누가 슬라보예 지젝을 미워하는가』, 박정수 역, 앨피,2003. 미소장
99 『혁명의 시간』, 정남영 역, 갈무리, 2005. 미소장
100 『개인의 발견』, 최윤영 역, 현실문화연구, 2005. 미소장
101 『번역과 주체』, 후지이 다케시 역, 이산, 2005. 미소장
102 『당신의 징후를 즐겨라』, 주은우 역, 한나래, 2006. 미소장
103 『라캉 읽기』, 김서영 역, 은행나무, 2006. 미소장
104 『프랑스 현대시사』, 김화영 역, 현대문학, 2007. 미소장
105 『텍스트성, 철학, 예술-해석학과 해체주의 사이』, 윤호병 역,소명출판, 2009.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