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ABSTRACT 13
제1장 서론 17
제2장 재료 및 방법 22
1. 실험어의 채집 22
2. 형태학적 분석 22
가. 지느러미 반문 변이 22
나. 계수·계측형질 22
3. 분자계통 분석 27
가. Genomic DNA 추출 27
나. 데이터 확보 27
다. PCR 및 염기서열 분석 27
라. 분자계통학적 분석 방법 28
4. 집단유전학적 분석 34
가. RAPD PCR 34
나. AFLP fingerprinting 35
다. 미토콘드리아 COX1 유전자를 통한 집단유전학적 분석 40
제3장 결과 42
1. 형태학적 분석 42
가. 지느러미 반문 42
나. 계수형질 46
다. 계측형질 46
2. 분자계통학적 분석 57
가. 미토콘드리아 COX1 유전자 57
나. 핵 RAG1 유전자 60
3. 집단유전학적 분석 63
가. RAPD PCR에 의한 genetic marker 및 유전변이 63
나. AFLP fingerprinting 68
다. 미토콘드리아 COX1 유전자를 이용한 집단유전학적 분석 75
제4장 고찰 96
가. 형태학적 분석 96
나. 분자계통학적 분석 98
다. 집단유전학적 분석 101
라. 종합 고찰 107
국문요약 111
참고문헌 113
Fig 1. Coreoleuciscus splendidus from West Korea Subdistrict (1) and South Korea Subdistrict (2) showing external morphological differences. Notable differences in black array(s) on dorsal, anal, and caudal fin rays are lightened in the boxes. 44
Fig 2. Morphological differences in black array(s) patterns according to age of West Korea Subdistrict and South Korea Subdistrict populations. *WKS, West Korea Subdistrict populations.... 45
Fig 3. Two biometric comparison of body depth and longest dorsal soft ray percent of standard length of Coreoleuciscus splendidus populations. The diagrams indicate the mean (horizontal line), standard deviation(retangle) and range (vertical line).... 53
Fig 4. Three biometric comparison of prepelvic length, anal base and anal fin length percent of standard length of Coreoleuciscus splendidus populations. The diagrams indicate the mean (horizontal line), standard deviation (retangle) and range (vertical line).... 54
Fig 5. Two biometric comparison of caudal fin and prepectoral length percent of standard length Coreoleuciscus splendidus populations. The diagrams indicate the mean (horizontal line), standard deviation(retangle) and range (vertical line). 55
Fig 6. Three biometric comparison of snout length, head width and orbital diameter percent of standard length of Coreoleuciscus splendidus populations. The diagrams indicate the mean (horizontal line), standard deviation (retangle) and range (vertical line). 56
Fig 7. COX1 50% major rule consensus of 100 post-burnin trees resulting from Bayesian analysis. BI/NJ/MP/ML bootstrap support in percentage. GenBank data are indicated by asterisks(*) 59
Fig 8. RAG1 50% major rule consensus of 100 post-burnin trees resulting from Bayesian analysis. BI/NJ/MP/ML bootstrap support in percentage. GenBank data are indicated by asterisks(*) 62
Fig 9. RAPD PCR band patterns of four Coreoleucisus splendidus populations generated with SRILS UniPrimer kit No. 1(A), 6(B), 10(C) and 12(D). M, 100 bp marker. 65
Fig 10. UPMGA dendrogram for the four Coreoleucisus splendidus populations based on average linkage cluster analysis using RAPD markers. 67
Fig 11. A representative AFLP fingerprint profile generated with a primer combination of E-ACT and M-CAT of Coreoleuciscus splendidus individuals from four major river system. M, 100 bp ladder. 71
Fig 12. Dendrogram with the UPMGA method inferred from polymorphic AFLP markers of Coreoleuciscus splendidus individuals from four major river system. Bootstrap values above 50% were indicated at each branch node. 72
Fig 13. The estimated 95% plausible set of cladograms and associated nested design for the COX1 haplotypes found in Coreoleuciscus splendidus West Korea Subdistrict populations. Zeros indicate haplotype states that are necessary intermediates between... 87
Fig 14. The estimated 95% plausible set of cladograms and associated nested design for the COX1 haplotypes found in Coreoleuciscus splendidus South Korea Subdistrict populations. Zeros indicate haplotype states that are necessary intermediates between... 88
Fig 15. Neighbor joining tree obtained from mitochondrial DNA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partial sequence of Coreoleuciscus splendidus populations and 1 outgroup taxa produced using Kimura two-parameter (Kimura, 1980) method with PHYLIP program. * Numbers above branches indicate bootstrap values (1,000 replicates). 95
Fig 16. Key to the two subspecies of Coreoleuciscus splendidus and C. splendidus ssp. 110
지느러미 반문의 특징이 서로 다른 서한아와 남한아 수계의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 집단들을 대상으로 계수·계측형질 분석 및 지느러미 반문 비교를 통한 외부형태 분석과 분자생물학적 분석을 통해 서한아와 남한아 수계의 쉬리 집단들에 대한 분류학적 위치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계수·계측형질 분석에서는 결과의 대부분이 변이의 폭이 넓고 수계 집단간 중복되는 결과가 나타나 서한아와 남한아 수계 집단을 구분해주는 형질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 등, 뒷, 꼬리지느러미에 나타나는 검은 반문은 서한아와 남한아 수계에 따라 형태가 뚜렷하게 다르기 때문에 지느러미 반문 형태에 따른 집단 구분이 가능하였다.
미토콘드리아 DNA의 COX1 과 핵 DNA의 RAG1 유전자를 대상으로 Neighbour Joining (NJ), Maximum Likelihood (ML), Maximum Parsimony (MP) 분석과 Bayesian 분석 결과 쉬리 C. splendidus 집단은 COX1 및 RAG1 유전자 모두 동일하게 서한아와 남한아 수계 집단의 두 계통군으로 구분되었다.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PCR과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FLP) fingerprinting을 이용한 유전변이 및 집단유전학적 분석 결과 RAPD PCR에 사용한 12개의 primer에서 서한아와 남한아 수계 집단을 구분해주는 DNA marker가 다수 검출되었으며, 유전적 유사도 (0.49-0.53)와 유전적 거리 (0.63-0.71)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AFLP fingerprinting 분석 결과 집단간 분화도(FST) 값은 모든 집단들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P<0.01) 집단간 유전적 분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한아와 남한아 수계 집단 간 유전적 거리가 0.829-0.833로 매우 큰 차이를 보였다. 유전적 거리에 따른 쉬리 집단의 UPGMA dendrogram을 작성한 결과, 한강과 금강 수계의 서한아 집단과 섬진강, 낙동강 수계의 남한아 집단은 서로 뚜렷하게 분류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어 집단간 분화도 값 FST 및 유전적 거리와 동일한 경향을 보이며 유전적으로 뚜렷하게 분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이들 집단을 대상으로 AMOVA test를 통해 분석한 결과 서한아와 남한아 집단 사이는 매우 높은 총 변이율을 보였다(74.01%, P<0.001).
mtDNA의 COX1 유전자를 대상으로 수계별 쉬리 집단에 대한 집단유전학적 분석 결과 역시 AFLP fingerprinting 결과와 동일하게 집단들간 유전적 분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한아와 남한아 수계 집단 간 (0.670-1.000 P<0.05)의 높은 유전적 분화도 값을 보였다. AMOVA test 결과 서한아와 남한아 수계 집단은 매우 높은 종 변이율을 보이며(77.9%, P<0.001) 두 집단을 뚜렷하게 구분하였다. NCPA 분석 및 Phylip 3.5 program을 이용하여 Neighbor Joining (NJ) tree를 산출한 결과 다른 모든 결과와 동일하게 서한아와 남한아 수계의 두 집단으로 뚜렷하게 구분되며 집단 내에서도 한강/금강과 섬진강/낙동강의 두 계통군으로 구분되었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섬진강과 낙동강의 남한아 수계에 서식하는 C. splendidus 집단은 기존의 쉬리 C. splendidus 집단과는 뚜렷하게 구별되는 Coreoleuciscus ssp.라고 여겨진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