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ABSTRACT 10
I. 서론 13
A. 연구의 필요성 13
B. 연구의 목적 15
C. 선행연구 검토 16
D. 연구모형 17
E. 연구문제 17
II. 이론적 배경 19
A. 해양스포츠의 개념과 분류 19
1. 해양스포츠의 개념 및 유사개념 19
2. 해양스포츠의 분류 19
B. 해양스포츠의 발달과정 21
1. 해양스포츠의 역사 21
2. 한국 해양스포츠의 역사 23
C. 해양스포츠의 파급효과 25
1. 레저보트산업의 측면 25
2. 관광산업적 측면 28
3. 경제적 측면 29
4. 사회적 측면 30
D. 해양레저 스포츠의 경향 및 전망 30
1. 관광형태의 경향 및 전망 30
2. 해양스포츠 산업의 경향 및 전망 31
3. 해양스포츠 활성화 정책방향 32
E. 한국의 어항 33
1. 어항의 개념 33
2. 어항의 시설 및 종류 34
3. 어항의 개발 현황 35
4. 어항개발 정책방향의 변화 37
F. 마리나 37
1. 마리나의 개념 37
2. 마리나 이용선박 개념 38
G. 피셔리나 50
1. 피셔리나의 개념 50
2. 피셔리나 개발의 이점과 유의점 51
3. 피셔리나 개발시 설계 유의점 52
4. 마리나 설치시 선종에 따른 유의점 57
5. 국내·외의 피셔리나 개발현황 58
III. 연구의 방법 68
A. 연구방법 68
B. 연구대상 68
IV. 연구 결과 69
A. 제주도와 일본 서남부지역의 환경 분석 69
1. 제주도와 일본 서남부지역의 환경개요 69
2. 기상현황 71
3. 인문·사회 현황 78
B. 제주도와 일본 서남부지역의 피셔리나 제도현황 분석 82
1. 제주도의 피셔리나 개발에 대한 제도현황 82
2. 일본의 피셔리나 개발에 대한 제도현황 87
C. 제주도와 일본 서남부지역의 피셔리나 정책현황 분석 91
1. 제주도의 피셔리나 개발에 대한 정책현황 91
2. 일본의 피셔리나 개발에 대한 정책현황 98
D. 제주도와 일본 서남부지역의 피셔리나 조성현황 분석 103
1. 일반현황 103
2. 개발현황 104
V. 논의 109
A. 환경 비교분석 109
B. 제도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제주도형 피셔리나의 개발 방향 제시 111
C. 정책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제주도형 피셔리나의 개발 방향 제시 112
D. 조성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제주도형 피셔리나의 개발 방향 제시 114
E. 제주도형 피셔리나 모델 개발 114
VI. 결론 및 제언 118
A. 결론 118
B. 제언 119
참고문헌 121
그림 1. 연구모형 17
그림 2. 전국 어항 개발현황 36
그림 3. 일본 피셔리나의 수역시설 배치 54
그림 4. 일본피셔리나 현황 60
그림 5. 마리나항만 중·장기 정책방향 93
그림 6. 항내 정온도를 고려한 일본의 피셔리나 115
그림 7. 제주도형 피셔리나 모형제시 116
그림 8. 제주도형 피셔리나 계류형 모형제시 116
This research is aimed at presenting the direction of Jejudo-style fisherina development for enhancing ocean sports. It has the goal of seeking to enhance ocean leisure sports and the added value of related industries by trying to fin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Jejudo-style fisherina in the future which is suitable to the situations of its ocean leisure sports. The development direction is induc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nvironments, institutions, policies, and construction situations of fisherina located in the southwest regions of Japan (Shimonoseki city, Nagato city, Sasebo city, Gumamoto city, Ichikikusino city) with those of Jejudo because those regions are similar to Jejudo in terms of climate weather and are encourag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at a policy level to develop ocean leisure sports. In order to identify them, this research paid a visit to Jejudo and the southwest regions of Japan (Shimonoseki city, Nagato city, Sasebo city, Gumamoto city, Ichikikusino city), conducted a research on the current situations, and conducted theoretical researches on fisherina through documentary investigations.
This research's references included government statistics, report materials, the materials of Korea Port Association and Japan Port Fishery Association (Co, Ltd), relevant theses and research materials, and a classific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collected data. The results drawn by such processes are as follows.
First,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ation and Maritime Affairs unveiled the first Marina Port Basic Plan in 2010, which is now under way. But most of the ports constructed by this policy are fishing ports. When we consider the Japanese cases, it is judged that the designated MarinaPort in Jejudo is more suitable to the conception of fisherina which makes use of existing ports. Therefore, we believe that correct conception on the development sites should be established before developing Marina port. In addition, long-term development plans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purpose of the agreement and participation of existing fishermen and the reinvigoration of corresponding areas as a kind of fisherina conception in which it can exist together with existing ports.
Second, a comprehensive policy should be drawn up so that fisherina and maritime leisure sports can be developed on the basis of fishing villages in developing a fishing port. In addition, a huge number of boats are now recklessly abandoned in the fishing ports in Jejudo, a special autonomous do. They are unregistered water leisure instruments even if they should be registered according to the present water leisure safety law.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those instruments, a new institution needs to be introduced in which all the water leisure instruments are required to be registered and the mooring berth is required to be designated when they are registered.
Third,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ation and Maritime Affairs is only focusing on building mooring facilities in the existing fishing ports. But it is believed that the government's development is not considering the calm water state within the port, which must be an essencial element for MarianPort, so the ministry should push forward with the design and development which put the maintenance of calm water state within the port before anything else.*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