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일본의 대북한 정책에 관한 연구 : 국교 정상화 교섭을 중심으로 / 정영순 인기도
발행사항
대구 :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8
청구기호
TD 953 -10-25
형태사항
iii, 195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072713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계명대학교 대학원, 일본학, 2010.8. 지도교수: 이성환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일러두기

목차

I. 서론 9

1. 연구 목적과 문제 제기 9

2. 연구방법 11

3. 선행연구 14

4. 연구범위 및 논문의 구성 19

II. 일본의 대북한 정책 결정의 구조 21

1. 일본의 외교정책 결정의 구조 21

2. 일본의 대북한 정책결정 구조 25

III. 일본의 대북한 정책의 형성 30

1. 미국의 점령 정책과 일본의 한반도 정책형성 30

2. 한국전쟁과 미국의 대일본 정책 35

3. 한일기본조약의 체결과 북한 정책 38

4. 냉전 시기 일본의 대북한 '정경 분리' 정책 40

IV. 북일 국교정상화의 전개과정 53

1. 모색기: 1990-1992년 53

1) 일본의 대북한 국교 정상화 회담의 배경 53

2) 8차례에 걸친 일본의 대북한 국교 정상화 회담과 쟁점 58

2. 정체기: 1993-1999년 66

1) 일본 연립 3당 대표단의 방북과 대북한 정책 66

2) 북한의 '미사일 문제'와 일본의 대응 75

3) 갈등 속의 접촉 정책 76

3. 본격적인 추진기 : 2000-2008년 79

1) 고이즈미 수상의 북한 방문 배경과 성과 79

2) 일본의 '대화와 압력'정책의 전개 87

3) 새로운 쟁점 95

V. 일본 대북한 정책결정의 주요 요소 100

1. 북미 접촉과 북일 관계의 상호 작용 100

2. 남북관계 개선과 북일 관계의 불확실성 105

3. 일본의 국내여론과 대북한 정책 108

VI. 6자회담과 일본의 대북한 정책 118

1. 북한의 핵문제 118

2. '북미제네바합의'와 일본 130

3. 6자회담과 일본의 입장 140

VII. 결론 156

1. 평가와 한계 156

2. 향후 전망 162

부록 165

부록1 : 북일 국교 정상화 회담의 경위 165

부록2 : 북일 관계 주요 연표(1945-2010년) 168

참고문헌 183

Abstract 196

초록 201

〈표 1〉 일본의 대북한 무역 현황 (1972-1983) 48

〈표 2〉 1963-1991년 일본을 방문한 북한 인원수 50

〈표 3〉 일본의 대북한 수출입액 변화 95

〈표 4〉 일본의 북한에 대한 관심사항 111

〈표 5〉 일본 BMD 예산의 변화 추이 135

〈표 6〉 북한의 일본, 한국,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액 비교(1990-2006년) 147

〈표 7〉 6자회담의 경위와 일본의 주장 155

초록보기 더보기

본 논문은 탈냉전 후 북한과 일본의 국교 정상화를 둘러싸고 진행된 일본의 대(對)북한 정책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90년대 초부터 시작된 북일 국교 정상화 교섭은 2002년 9월과 2004년 5월 평양에서 열린 두 차례의 정상회담을 통해 타결의 가능성이 보였으나, 현재까지 구체적인 진전이 없다. 13차례에 걸친 국교 정상화 회담에서 일본의 대북한 정책은 정체와 진전을 반복하고 있을 뿐이다.

1980년대 말 냉전 체제가 붕괴됨에 따라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환경도 급격하게 변했다. 노태우 대통령은 '북방외교'를 적극적으로 전개했다. 1988년 '7·7선언'을 계기로 남북한 간의 교역이 공식적으로 가능해지면서 경제협력관계가 구축되기 시작했다. 1990년 9월 한·소 수교, 1992년 8월한·중 수교는 이 지역의 긴장을 완화하는데 크게 기여했다. 이런 변화를 배경으로 일본은 1991년부터 1992년까지 북한과 8차례의 국교 정상화 회담을 가겼다. 탈냉전 시대의 국제질서의 변화 속에서 정치대국을 지향하는 일본이 적극적으로 대북한 접근을 시도한 것이었다고 볼 수 있다. 교섭과정에서 일본은 냉전시대의 정경분리정책에서 정경연계전략으로 정책 전환을 시도했다.

하지만 8차례의 회담 과정을 살펴보면 북한에 비해 일본이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회담이 시작될 해 일본과 북한은 관할권 범위문제와 전후 배상 문제를 둘러싸고 치열한 논쟁을 벌였다. 그러나 제3차 회담에서부터 북한은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양보를 하거나 논외로 하는 태도를 취하여 '선수교 후협상' 방침을 제시했다. 이에 일본은 시종일관 강경하고 비타협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그리고 회담이 어느 정도 진전을 보이면 일본은 새로운 이슈를 제기하여 협상을 어렵게 하거나 결렬로 몰고 갔다. 일본은 경제적 우위를 배경으로 북한으로부터 더 많은 양보를 얻으려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일본의 자세는 미국이 북한과의 수교협상에 핵사찰을 연계하도록 함으로서 협상을 제약한 것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 1991년 3월 21일 미국은 일본에게 북일 국교 정상화 회담에 핵사찰 문제를 의제로 삼도록 정식 요청하였던 것이다. 이를 통해서 일본의 대북한 정책에는 미국이라는 외적요소가 크게 영향을 미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6차 회담 이후부터 북한도 강경한 자세를 보이기 시작하여 북일 간의 회담은 정체되었다.

2000년 6월의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남북한의 긴장이 완화되고 동북아시아의 국제정세가 변화함에 따라 이를 배경으로 일본은 북한과의 접촉을 다시 시도했다. 7년 간의 정체상태를 지나 일본은 2000년 4월에서 10월에 걸쳐 북한과 3차례의 회담을 가겼다. 북한도 상대적으로 유연한 자세로 협상에 임했다. 그러나 회담 과정에서 일본은 '납치문제'와 미사일 문제를 국교 정상화의 전제 조건으로 게시하고, 과거 청산 등의 모든 문제를 포괄적으로 처리하자고 주장했다. 이에 반해, 북한은 '선 과거청산, 후 현안문제해결'을 주장해 양국은 합의점을 찾을 수 없었다.

제12차(2002년 12월)와 제13차(2006년 2월) 회담에서 '일본인납치문제'가 급부상했다. '납치문제'를 둘러싸고 북한에 대한 비판적 여론이 일본 국내에 비등했다. 이러한 국내여론을 배경으로 일본은 북한에 '납치문제' 및 핵, 미사일문제 등의 안전보장 문제의 우선적 해결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이슈의 부각으로 회담은 더욱 복잡하고 어렵게 되었다.

일본은 또 2003년 8월에 시작된 6자회담에서도 '납치문제'는 핵, 미사일문제와 함께 포괄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일본은 6자회담을 통해 북한을 압박함으로서 '납치문제'서 유리한 입장을 확보하려했다. 6자회담에 임하는 일본의 이러한 자세는 6자회담 진행의 커다란 장애 요인으로도 작용했다. 고이즈미 수상의 평양방문을 계기로 부각된 '납치문제'는 종래의 북일 교섭의 치대의 장애요인으로 부상한 것이다. 북일 교섭에서 지금까지는 미국이라는 외적 요소가 장애요인 이었다면, '납치문제'가 부상한 이후로는 일본 내의 여론이라는 내적 요소가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고 하겠다.

고이즈미 수상의 두 차례 방북과 '평양선언'이라는 큰 합의 틀에도 불구하고 북한과의 협상이 난항을 겪게 된 것은 북핵 문제로 인한 북미관계의 악화, '납치문제'에 대한 일본 국내 여론의 악화 등이 주된 원인이었다. 핵문제 해결을 통해 북미 관계가 개선되기 전에 북일 간에 국교가 정상화되는 것을 미국은 물론 일본 역시 바라지 않고 있었다. 일본 국내 여론도 '납치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북일 국교 정상화에 대해서는 매우 회의적이었다.

또 이 시기 안보 환경의 변화를 배경으로 일본의 외교 정책도 질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었다. 냉전기 일본은 평화 헌법에 기초해 군사적 행위를 극도로 자제해 왔으나, 탈냉전 후 이에 대한 본질적인 변화를 보였다. 2002년 고이즈미 수상의 평양방문 때 북한이 '납치문제'에 대해 사과를 함으로써 이 문제에 대한 해결의 가능성이 보였다. 그러나 일본은 '납치문제' 사과에 대해 북한에게 아무런 반대급부를 제공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일본의 국내여론은 '납치문제'에 더욱 비판적이었다. 이를 통해서 보면, '납치문제'는 표면적인 현상에 지나지 않으며, 21세기의 변화된 일본 외교라는 더 넓은 시각에서 해석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즉 일본의 군사력의 질적 강화는 대북한 억지력의 강화로 직결되는 것이고, 일본의 군비증강은 대북한 위협론의 확산을 명분으로 한층 가속화 되고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일본이 지금까지 북한과 진행한 13차례의 국교 정상화회담은 일본인 납치 문제, 북한의 핵개발, 미국의 반대, 그리고 한국의 견제 등으로 중단되었다. 북일 교섭은 북한의 경직된 자세에도 영향이 있으나, 일본의 소극적인 자세가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단적으로 표현하면, 북한은 북일 국교 정상화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일본이 새로운 이슈를 제기하고 조건을 다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그 연장선상에서 일본의 대북한 정책은 북한 문제를 구실로 군사력을 강화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이라는 점을 본 논문에서 지적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22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2000년.《일본 외교정책의 이해》,서울,오름. 미소장
2 1985년.《70년대 이후 아시아와 한반도》,서울,한겨레. 미소장
3 1998년.《외교정책의 이론과 이해》,서울,오름. 미소장
4 2000년.《21세기 비교정치학》,서울,삼영사. 미소장
5 1995년.《일본의 정책과정》,서울,대영문화사. 미소장
6 1994년.《외교정책의 이해》,서울, 평민사. 미소장
7 1997년.《북한이해의 길라잡이》,서울,법문사. 미소장
8 1999년.《북한이해의 길라잡이》,서울,법문사. 미소장
9 1988년.《중공과 동북아 질서》,서울,인간사랑. 미소장
10 1992년《중국의 외교정책과 외교》,서울,지영사. 미소장
11 2004년.《일본의 대북 정책 1945~1992년 》,서울,오름. 미소장
12 1991년.《일본의 외교정책》,서울,을유문화사. 미소장
13 1998년.《일본의》외교협상》,서울,小花. 미소장
14 1996년.《일본정치의 아시아관》,서울,동아일보사. 미소장
15 1988년.《북한정책론》,서울,법문사, 미소장
16 2001년.《일본의 외교》,서울,푸른산. 미소장
17 1998년.《미국의 외교정책:이론과 실제》,서울,박영사. 미소장
18 2005년.《전쟁국가 일본》,서울,살림. 미소장
19 2002년.《일본 외교외교 어제와 오늘》,서울,다락원. 미소장
20 1998년.《대외정책론》,서울,박영사. 미소장
21 1997년.《미국의 외교정책사》,서울,한울 아카데미. 미소장
22 2007년.《독도이야기》,평양,북한사회과학출판사. 미소장
23 1999년.《북일관계:국교 정상화의 정치요소》,서울,세종연구소. 미소장
24 1984년.《일본정책 결정의 해부》,서울,정음사. 미소장
25 日本의 對北韓 政策 소장
26 연구논문 : 일본의 대북한 인식과 한일관계 네이버 미소장
27 북핵문제와 일본의 대응 소장
28 2008년.<북한문제에 대한 일본의 인식과 대응>,《국방정책연구》제24권제1호,한국국방연구원. 미소장
29 북핵문제와 일본의 안보정책 : 북일관계와 6자회담의 전개 소장
30 1991년.<일본과 패권주의 시각:미일관계의 재조명>,《한일연구》제4집,한국일본문제연구회. 미소장
31 1994년.<일본과 북한의 관계정상화와 남북관계>,《94북한 및 통일원 논문집》제V권,통일원. 미소장
32 탈냉전기 북·일관계의 변천과 일본의 대북한 '대화와 억지' 정책 소장
33 북일국교정상화 교섭 개최를 둘러싼 일본국내정치세력의 역학관계 : 여야 대립에서 협조로 소장
34 일본의 대북정책 전환과 한국의 정책과제 소장
35 탈 냉전시대와 일본의 대 북한 외교정책 : 동북아 안보전략의 변화와 북한 핵문제 소장
36 일본의 투레벨 협상전략: 북일 수교협상 소장
37 북일관계 변화의 특성과 전망 소장
38 1985년.<후루시쵸프 시대의 소련대외정책연구>,석사학위논문,서울 동국대학교. 미소장
39 북한과 일본 관계;구조적 변화의 요인 소장
40 《노동신문》 미소장
41 《동아일보》 미소장
42 《중앙일보》 미소장
43 《조선일보》 미소장
44 《조선》 미소장
45 《북한》 미소장
46 日本外務省編,各年版.《防衛白書》,东京. 미소장
47 日本外務省編,各年版.《わが外交の近況》,东京. 미소장
48 日本外務省條約局編,各年版.《主要條約集》,东京. 미소장
49 2008年.《戰後日朝關係の研究:對日工作と物資調達》,东京,知泉書館. 미소장
50 2007年.《日朝關係の克服》,东京,集英社新書. 미소장
51 2006年.《朝鮮半島「核」外交:北朝鮮の戰術と經濟力》,东京,講談社. 미소장
52 2006年.《核大國化する日本:平和利用と核武裝論》,东京,平凡社. 미소장
53 2006年.《‘日本核武裝’の論点》,东京,PHP. 미소장
54 2002年.《日米安保を考え直す》,东京,講談社現代新書. 미소장
55 2000年.《日本外交の再點檢》,东京,時事通信社. 미소장
56 1999年.《日本外交の政策》,东京,PHP. 미소장
57 1997年.《日本アメリカ中國-協調へのシナリオ》,东京,TBSブリタニカ. 미소장
58 1997年.《日本外交の軌跡》,东京,所文堂. 미소장
59 1996年.《日本外交の課題と選擇》,大阪,大阪經濟法科大學出版部. 미소장
60 1996年.《世界のなかの日中關係》,东京,法律文化社. 미소장
61 1995年.《アジアのなかの日本と中國》,东京,山川出版社. 미소장
62 1995년.《現代日本外交の分析》,东京,東京大學出版社. 미소장
63 鹿岛平和硏究所編,1995年.《日本外交主要文書》(4卷),东京,原書房. 미소장
64 鹿岛平和硏究所編,1985年.《日本外交主要文書》(3卷),东京,原書房. 미소장
65 鹿岛平和硏究所編,1984年.《日本外交主要文書》(2卷),东京,原書房. 미소장
66 鹿岛平和硏究所編,1983年.《日本外交主要文書》(1卷),东京,原書房. 미소장
67 1994년.《日中關係の150年》,东京,東方書店. 미소장
68 1994年.《北朝鲜と日本》,东京,東洋經濟新聞社. 미소장
69 1994年.《朝鲜半島論》,东京,PHP. 미소장
70 1993年.《現代日本外交》,东京,築摩書房. 미소장
71 日本外務省編,1993年.《日中關係基本資料集:1970年-1992年》,东京,霞山會. 미소장
72 1993년.《東アジアと日本》,东京,東京大學出版會. 미소장
73 1992年《新比較外交政策論》,东京,学陽學房. 미소장
74 1992年.《日米安保体制》,东京,有裴閣. 미소장
75 1992年.《戰後日中,美中關係》,东京,東京大學出版社. 미소장
76 1991年.《日本と北朝鲜》,东京,PHP. 미소장
77 1991年.《現代政治と日本》,东京,筑摩書房. 미소장
78 1991년.《日中關係1945-1990》,东京,東京大學出版會. 미소장
79 1991年.《日本とアメリカ-相手國のイメ-ジ硏究》,东京,日本學術振興會. 미소장
80 1991年.《アメリカの外交政策》,东京,勁草書房. 미소장
81 1991年.《日中關係1945-1990》,东京,東京大學出版會. 미소장
82 1991年.《日米關係五十年》,东京,岩波書店. 미소장
83 1990年.《日本の外交-積極外交の條件》,东京,サイマル出版會. 미소장
84 1989年.《戰後日韓關係史》,东京,中央公論社. 미소장
85 1988年.《入門·現代日本外交》,东京,中公新書. 미소장
86 1988年.《日中戰後關係史》,东京,原書房. 미소장
87 1988年.《日本外交の革命》,东京,講談社. 미소장
88 1986年.《アメリカ外交の文脈のなかで》,东京,日本國際問題硏究所. 미소장
89 1985年.《戰後日本の政黨と外交》,东京,東京大學出版會. 미소장
90 1985年.《戰後日本の對外政策》,东京,有斐閣. 미소장
91 1983年.《霞が關外交の再點檢》,东京,サンケイ出版. 미소장
92 1983年.《日中交流と自民 領袖たち》,东京,讀賣新聞社. 미소장
93 1983년.《田中政權·八八六日》,东京,行政問題硏究所. 미소장
94 1983年.《戰後日本外交史》,三省堂. 미소장
95 1983-1985年.《戰後日本外交史》共7册,东京,三省堂. 미소장
96 1983年.《日中戰後關係史ノ-ト》,东京,三省堂. 미소장
97 日本外務省戰後外交史硏究會編, 1982年.《日本外交30年-戰後の軌跡と展望》,东京. 미소장
98 1981年.《日本の外交戰略》,东京,原書房. 미소장
99 1981年.《日本內閣史錄5》,东京,第一法規. 미소장
100 1981年.《日本內閣史錄6》,东京,第一法規. 미소장
101 1981年.《國際條約集》,东京,有斐閣. 미소장
102 1981年.《戰後日本の官僚制》东京,東洋經濟新報社. 미소장
103 1981年版.《国際条約集》,东京,有裴阁. 미소장
104 1980年.《朝鲜问题战后资料第三卷(1961-1965)》,东京,日本国际问题研究所. 미소장
105 1978年.《朝鲜问题战后资料第二卷(1954-1960)》,东京,日本国际问题研究所. 미소장
106 1976年.《朝鲜问题战后资料第一卷(1945-1953)》,东京,日本国际问题研究所. 미소장
107 1962年-1978年.《わが外交の近況》,东京. 미소장
108 1978年.《日本外交の選擇:米中ソ世界戰略のはざまで》,东京,東洋經濟新報社. 미소장
109 1978年《戰後日本外交史》,东京,嵯峨書院. 미소장
110 1978年.《國際關係論》,东京,東陽經濟新報社. 미소장
111 1977年.《日本の對外政策形成の機構と過程》,东京,東京大學出版會. 미소장
112 1974年.《自主日本外交の幻相》,东京,中央公論社. 미소장
113 1973年.《日本外交史槪說》,东京,慶應通信. 미소장
114 1976年.《戰後の日本外交》, 东京,ミネル書房, 미소장
115 日本文化會議編,1970年.《70年代のアジアと日本》,东京,讀賣新聞社. 미소장
116 外務省編,1954年.《日本外交百年小史》,东京,山田書院. 미소장
117 2006年.<日本外交,試練と達成の十一日間>,《中央公論》,9月. 미소장
118 2003年.<テレビ報道について思う>日朝國交促進國民協會編,《どうなる日朝國交交涉》,日朝國交促進協會. 미소장
119 2007年.<米朝妥協,日本はバスに乘り遲れる>,《中央公論》,3月. 미소장
120 2007年.<非核信仰が日本を滅ぼす>,《正論》,2月. 미소장
121 2007年.<日本はこのままでは封じ込められる>,《正論》,12月. 미소장
122 《毎日新聞》 미소장
123 《日経新聞》 미소장
124 《読売新聞》 미소장
125 《産経新聞》 미소장
126 《朝日新聞》 미소장
127 《世界》 미소장
128 《世界週報》 미소장
129 《外交ポーラム》 미소장
130 《中央公論》 미소장
131 《文藝春秋》 미소장
132 《諸君》 미소장
133 2009年.《当代日本对外关系》,北京,世界知识出版社. 미소장
134 2009年.《東亞安全與駐韓美軍》,北京,世界知識出版社. 미소장
135 2009年.《當代日韓關系硏究》,北京,中國社會科學出版社. 미소장
136 2008年.《日本戰后史》,北京,中國人民大學出版社. 미소장
137 2008年.《冷戰后的日美同盟解讀-兼論其對中日關系的影響》,北京,中國政法大學出版社. 미소장
138 2007年.《战后日本外交史》(1945-2005),北京,世界知识出版社. 미소장
139 2007年.《美国政治发展与对外政策》,北京,世界知识出版社. 미소장
140 2007年.《日本韩国国家形象的塑造与形成》,北京,外文出版社. 미소장
141 2006年.《日本国家战略与东北亚外交》,长春,吉林人民出版社. 미소장
142 2006年.《马克思主义国际关系论》,北京,人民出版社. 미소장
143 ,2006年.《荣衰论:战后日本经济史(1945-2004)》,北京,人民出版社. 미소장
144 朝鲜民主主义人民共和国,2006年.《金正日传》,平壤, 朝鲜外文出版社. 미소장
145 2005年.《日本军国主义论》,石家庄,河北人民出版社. 미소장
146 2005年.《日本》北京,社会科学出版社. 미소장
147 2005年.《日本与东亚:一个变化的时代》,北京,世界知识出版社. 미소장
148 2005年.《日本军国主义论》,石家庄,河北人民出版社. 미소장
149 2005年.《列国志:日本》,北京,社会科学文献出版社. 미소장
150 2005年.《国际战略与国家安全研究》,北京,中国传媒大学出版社. 미소장
151 2004年.《亞太大國與朝鮮半島》,北京,北京大學出版社. 미소장
152 2004年.《日本对华政策与中日关系》,北京,人民出版社. 미소장
153 2004年.《变革中的日本政治与外交》,北京,时事出版社. 미소장
154 2004年.《东北亚区域经济合作》,北京,世界知识出版社. 미소장
155 2003年.《未来10-15年中国在亚太地区面临的国际环境》,北京,中国社会科学出版社. 미소장
156 2003年.《美日关系(1791-2001)》,北京,世界知识出版社. 미소장
157 2003年.《当代日本与中日关系》,天津,天津社会科学院出版社. 미소장
158 2002年.《探求变化中的世界》,北京,社会科学文献出版社. 미소장
159 2002年.《中美日三边关系》,杭州,浙江人民出版社. 미소장
160 2002年.《冷战后日本的联合国外交》,北京,世界知识出版社. 미소장
161 [日]本泽二郎著,张碧清译, 2002年.《小泉纯一郎面面观》,北京,学苑出版社. 미소장
162 2001年.《日本的社会思潮与国民情绪》,北京,北京大学出版社. 미소장
163 1998年.《日本百年外交论》,中国社会科学出版社. 미소장
164 1998年.《冷战后的日本经济》,北京,社会科学文献出版社. 미소장
165 [日]岛田政雄,田家农著译, 1998年.《战后日中关系50年1945-1994》,南昌,江西教育出版社. 미소장
166 1997年.《转变中的中美日关系》,北京,中国社会科学出版社. 미소장
167 1996年.《战后日本外交(1945-1995)》,北京,中国社会科学出版社. 미소장
168 1996年.《日本战后五十年》,北京,世界知识出版社. 미소장
169 1996年.《日本政治概论》,北京,东方出版社. 미소장
170 1996年.《中日关系三论》,哈尔滨,黑龙江教育出版社. 미소장
171 1996年.《日本战后五十年》,北京,世界知识出版社. 미소장
172 1996年.《当代中日关系发展要论》,长春,吉林教育出版社. 미소장
173 1995年.《战后日本外交史》(1945-1994),北京,世界知识出版社. 미소장
174 1994年.《日本的世界战略》,长春,东北师范大学出版社. 미소장
175 1993年.《东北亚经济开发战略》,长春,吉林人民出版社. 미소장
176 天津社会科学院日本问题研究所译,信夫清三郎编,1992年.《日本外交史(上、下)》,北京,商务印书馆. 미소장
177 1992年.《日本对美国的冲击》,北京,时事出版社. 미소장
178 1991年.《美国外交政策史》(1775-1989年),北京,人民出版社. 미소장
179 1990年.《满铁史》,北京,中华书局. 미소장
180 1989年.《国际关系学概论》,北京,世界知识出版社. 미소장
181 1986年.《中日关系史》,长春,吉林文史出版社. 미소장
182 [日]永野信利著,上海复旦大学历史系日本史组等译,1979년.《日本外务省研究》,上海,上海译文出版社. 미소장
183 朝鲜民主主义人民共和国,1979年.《金日成关于社会主义教育学》,平壤,朝鲜外國文出版社. 미소장
184 [日]吉泽清次郎主编,1977年.《战后日美关系》,上海无线电三厂业余日语学习班等译,上海,上海人民出版社. 미소장
185 [美]劳伦斯〮奥尔森著,伍成山译, 1974年.《日本在战后亚洲》,上海,上海人民出版社. 미소장
186 2009年.<小泉‘破冰之旅’后的日朝关系>,《日本学刊》第1期,中国社会科学院日本研究所. 미소장
187 2009年.<日韩、日朝关系新动向>,《日本发展报告2009》,社会科学文献出版社. 미소장
188 22008年.<日朝关系与多变结构新趋势>,《日本:2007》,世界知识出版社. 미소장
189 22007年.<日韩邦交正常化谈判及其影响>,《日本学刊》第5期,中国社会科学院日本研究所. 미소장
190 21999年.<冷战后日本对朝鲜半岛政策的调整>,《当代亚太》第2期,中国社会科学院亚太研究所. 미소장
191 21998年.<日朝关系正常化进程及其展望>,《日本学刊》第4期,中国社会科学院日本研究所. 미소장
192 21996年.<战后日本对朝政策的演变及其前瞻>,《日本学刊》第2期,中国社会科学院日本研究所.  미소장
193 1997年.<冷战后日本外交政策决策体制的变化及其特点和原因>,《日本学刊》第2期,中国社会科学院日本研究所. 미소장
194 2000年.<新时期日本对朝鲜政策初探>,《日本学刊》第6期,中国社会科学院日本研究所. 미소장
195 2000年.<世纪之交的美国对朝政策及美朝关系走向>,《当代世界社会主义问题》第4期,山东大学. 미소장
196 2001年.<日朝关系的发展及其意义>,《东北亚论坛》第2期,吉林大学. 미소장
197 2002年.<试论冷战后日本对朝政策框架的基本特点>,《世界经济研究》第5期,上海社会科学院. 미소장
198 2004年.<冷战后日朝关系正常化的日本因素分析>,《日本问题研究》第2期,河北大学. 미소장
199 2005年.<冷战以来美国对朝鲜政策的演变及其原因分析>,《世界经济与政治论坛》第1期,江苏省社科院. 미소장
200 2006年.<日朝关系的现状与趋势>,《现代日本》第2期,天津市现代日本研究所. 미소장
201 2007年.<日朝关系正常化之困境与前景>,《现代日本》第1期,天津市现代日本研究所. 미소장
202 2008年.<朝鲜半岛和平机制的构建:国际政治和国际法的视觉>,《当代亚太》第2期,中国社会科学院亚太研究所. 미소장
203 2008年.<朝鲜半岛和平协定与和平机制>,《东北亚论坛》第2期,吉林大学. 미소장
204 2008年.<朝核问题与日朝邦交正常化>,《国际观察》第5期,上海外国语大学. 미소장
205 2008年.<朝日“绑架问题”上的日本外交方针分析>,《东北亚论坛》第6期,吉林大学. 미소장
206 《日本学刊》 미소장
207 《当代亚太》 미소장
208 《东北亚论坛》 미소장
209 《国际观察》 미소장
210 《现代日本》 미소장
211 《人民日报》 미소장
212 《环球时报》 미소장
213 《国际先驱导报》 미소장
214 1992. The End of History and the Last Man, New York Press. 미소장
215 1993. The USA and the Rise of East Asia Since 1945, New York ST.Martin’s Press. 미소장
216 1996. ROK Pursuing ‘An Agreed Strategy’ toward DPRK, US,Speech to National Press Club. 미소장
217 1997. Aalong the Domestic-Foreign Frontier: Exploring Governance in a Turbulent Worl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218 1999. Japan’s economic power and security: Japan and North Korea, New York. 미소장
219 2003. Secretary of State for East Asian and Pacific Affairs Testimony before the Senate Foreign Relations Committee. 미소장
220 1987.Theories and Approach to International Politics,New Jersey: New Brunswick. 미소장
221 North Korea and the Bomb 네이버 미소장
222 Japan's Position on Suspected Nuclear Weapons Development by North Korea 소장
223 1992. "North Korea Inches toward Economic Liberalization", Japan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Vol. 6, No. 2, Summer. 미소장
224 Foreign Affairs at 70 네이버 미소장
225 1922. "Japan and America: Global Partnership", Foreign Policy,Spring. 미소장
226 1996. "North and South Korea: Beyond Deterrence",Speech to Asia Society Corporate Conference. 미소장
227 2004. "A Global Power in the Making", Foreign Affairs,July/August. 미소장
228 The New Face of Northeast Asia 네이버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