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공재 윤두서 일가의 회화 연구 / 차미애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8
청구기호
TD 709 -10-40
형태사항
vii, 743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060486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 2010.8. 지도교수: 한정희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2

II. 조선 후기 해남윤문 삼대문인화가의 탄생 23

1. 해남윤씨 선조들의 정치적·경제적·예술적 기반 23

2. 근기남인 서화가 그룹의 계보와 예술 활동 32

1) 근기남인 서화가 그룹의 형성 배경 32

2) 근기남인 서화가 그룹의 구성원 37

3) 근기남인 서화가 그룹의 예술 활동 43

3. 해남윤문 삼대문인화가의 예술가적 삶 55

1) 윤두서의 예술가로서의 삶 55

2) 윤덕희의 예술가로서의 삶 81

3) 윤용의 예술가로서의 삶 101

4. 윤두서 일가의 서화감상우와 서화수장층 112

1) 윤두서 일가의 서화감상우와 서화수장층 112

2) 윤덕희의 서화감상우와 서화수장층 133

3) 윤용의 서화수장층 143

III. 윤두서가의 중국출판물 수용 149

1. 윤두서가의 중국출판물 수장 150

2. 중국출판물과 윤두서가의 학문 159

3. 중국출판물과 윤두서가의 서화 166

1) 서화이론서 및 명·청대 화보 166

2) 백과전서, 묵보, 소설 삽화 173

4. 중국출판물의 필사 양상 175

1) 녹우당 소장 필사본 천문서 『관규집요』 175

2)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공재선생묵적》 187

IV. 전통의 계승의 발전 191

1. '학고지변'의 예술정신과 화도론 198

1) '학고지변'의 예술정신 198

2) 한국과 중국 화가들의 화평 202

3) 화도론 211

2. 남종산수화 215

1) 전통화풍의 계승 217

2) 화보의 방작을 통한 남종화의 추구 224

3) 독자적인 남종산수화의 완성 234

4) 산수인물화의 확대 251

3. 문인 취향의 동물화 265

1) 인마도 272

2) 수하마도 280

3) 용도와 기타 285

4. 도불 취향의 인물화 293

1) 신선도 302

2) 불교적 제재 319

5. 고사인물화, 여협도, 채색인물화 325

1) 고사인물화 325

2) 여협도 334

3) 중국채색인물화의 수용 338

6. 화조화와 고목죽석도 350

V. '사실성'과 '현실성'의 추구와 새로운 회화 장르의 개척 356

1. '진'과 '금'의 예술정신 356

2. 성현도와 초상화 368

1) 녹우당 소장 성현도상첩 《조사》 368

2) 성현도 376

3) 초상화 390

4) 자화상 394

3. 풍속화 402

1) 조선후기 풍속화의 용어문제 및 시대적 함의 402

2) 윤두서의 풍속화 창작 배경 409

3) 윤두서의 풍속화 411

4) 윤덕희와 윤용의 풍속화 424

4. 지도 및 진경산수화의 금강산유람 429

1) 윤두서의 지도제작과 진경산수화 429

2) 윤덕희의 『금강유상록』과 진경산수화 445

3) 윤용의 진경산수화 459

5. 사생화와 서양화법 462

1) 사생화 462

2) 서양화법의 수용 464

VI. 조선 후·말기 화단의 윤두서 일가 화풍 수용 473

1. 조선 후기 화단에 미친 영향 473

2. 가계적 전승: 정약용과 윤정기 486

3. 19세기 호남화단에 미친 영향 498

VII. 결론 504

참고문헌 517

도판목록 547

부록 563

부록 1. 해남윤씨가계도(어초은공파) 563

부록 2. 윤두서·윤덕희·윤용·정약용 년보 564

부록 3. 윤덕희, 「공재공행장」 578

부록 4. 윤규상, 「낙서공행장」 591

부록 5. 『해남윤씨군서목록』 601

부록 6. 《공재선생묵적》 필사 내용 618

부록 7. 《조사》와 『삼재도회』(1607년) 인물권의 도상 목록 625

부록 8. 윤두서·윤덕희·윤용 인보 628

부록 9. 윤두서의『기졸』과 『공재유고』 목록 636

부록 10. 윤두서·윤덕희·윤용의 문집 해제 639

도판 644

Abstract 748

초록보기 더보기

본 논문은 숙종·경종·영조년간에 걸치는 약 100년간 世家를 형성했던 恭齋 尹斗緖(1668-1715), 駱西 尹德熙(1685-1766), 靑皐 尹용(1708-1740) 등 朝鮮 後期 海南尹門 三代文人畵家의 회화에 대한 특질과 이들이 일구어 낸 예술적 성취가 당대 및 후대에 미친 영향을 조망한 연구이다. 17세기 南人의 중견 인물인 孤山 尹善道(1587-1671)의 후손인 이들은 海南 白蓮洞(현재 전라남도 해남읍 蓮洞)에 가계의 본거지를 두었지만 주로 한양을 무대로 예술 활동을 펼쳤던 近畿南人 계열로 분류된다. 조선 후기 문인들은 해남윤문 삼대문인화가들을 주목하여 一家로 묶어 평가하는 경향이 보일 뿐만 아니라 尹斗緖 一家는 18세기 전반기 회화의 발전에 적지 않은 역할을 하였다.

윤두서는 조선 후기의 시발점인 1700년 무렵에 획일화된 조선 중기의 화풍을 극복하고 새로운 회화 경향을 견지하여 당대의 평론가들은 그를 ‘조선 후기 화단의 선구자’로 지목하였다. 윤두서가 18세기 초반 화단의 제1인자로 성장할 수 있었던 기반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요소를 꼽을 수 있다.

첫째, 先祖들의 경제적·정치적·예술적 기반은 윤두서가 문인화가로 성장하는 데 밑거름이 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南人’이라는 선조들의 정치적 행보로 말미암아 윤두서가 官界에 진출하지 못했지만 자아실현의 욕구를 학문과 예술로 꽃 피울 수 있었던 것은 조선 초기부터 유지해온 집안의 재력적 기반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그뿐 아니라 서화수장 및 서화감상 취미가 있었던 윤두서의 직계 6세조 尹衢와 그의 동생 尹行, 증조부 윤선도 등 선조들의 예술적 기반은 윤두서가 문인화가로 입문하는 데 일정 부분 밑거름이 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둘째, 윤두서는 學脈·黨色·婚脈으로 결집된 李서(1662-1723)와 李萬敷(1664-1732)와 함께 ‘近畿南人 書畵家 그룹’(본고에서 편의상 칭함)을 형성하여 예술 활동을 펼치면서 서화가로 급성장할 수 있었다. 셋째, 윤두서의 그림을 애호하고 수장했던 李夏坤, 閔龍見(또는 閔龍顯), 柳澔, 李師亮 등 西人系 小論 출신의 서화감상우들을 통해서 당시 사대부들 사이에 그의 화명이 알려지게 되었다. 넷째, 윤두서가 새로운 회화 경향을 선도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원동력은 중국서적들의 방대한 독서량에서 찾았다. 1927년부터 1928년에 걸쳐서 朝鮮史編修會에서 조사하고 작성한 『海南尹氏群書目錄』에 실린 11종의 畵譜·百科全書·墨譜, 50종의 화가들의 文集·畵論書·회화 관련 서적, 26종의 서론서 및 서예가들의 문집 등 방대한 양의 중국출판물들은 그가 얼마만큼 서화 탐구가 깊었는지 입증해 준다.

윤두서는 古人의 법을 배워 스스로 변통할 줄 아는 ‘學古知變’의 예술정신을 견지하였다. 이러한 예술정신을 기반으로 南宗山水畵와 詩意圖, 動物畵, 道釋人物畵, 枯木竹石圖, 花鳥畵뿐만 아니라 故事人物畵, 여성을 주제로 한 美人圖와 소설 삽화의 주인공을 소재로 한 女俠圖, 中國風의 彩色人物畵 등 다양한 화풍을 구현하였다. 윤두서는 조선 후기 화가로서는 가장 일찍 중국 화론서와 명·청대의 다양한 화보들을 본격적으로 수용하여 南宗畵에 대해 인식하고 南宗畵法에 천착하여 조선 후기 산수화의 흐름을 남종화로 전향시킨 화가라는 점에서 우리나라 남종화의 원류화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사실성[眞]’과 ‘현실성[今]’을 추구한 윤두서의 예술정신은 조선 후기에 풍미했던 새로운 시대의 회화를 처음으로 시도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윤두서는 초상화의 形似的 傳神의 중요성을 피력하고 대상을 관찰하여 참모습을 그리는 ‘眞形’, ‘眞態, 사물을 닮게 그리는 ‘肖物’을 중요시하는 등 ‘眞’을 추구한 예술정신을 확립하였다. 또한 진경산수화를 초상화와 동일한 개념으로 보고 ‘寫眞’, ‘眞面’이라고 지칭하였다. 이와 동시에 ‘현재의 나는 누구인가’라는 자신의 깊은 성찰과 ‘조선인[靑丘子]’이라는 자각의식에서 비롯된 ‘今’을 추구하는 예술정신은 지금 존재하는 나, 내가 사는 집, 내 주변의 인물과 사물, 조선의 국토를 대상으로 직접 관찰하고 참모습을 그려내는 ‘眞’과 ‘今’을 동시에 추구한 예술정신으로 이행되었다. 이러한 윤두서의 예술정신이 구현된 聖賢圖, 肖像畵, 自畵像 등 다양한 인물화, 사농공상의 생활상을 담은 風俗畵, 기계와 기물의 재현에 중점을 둔 器物圖, 실재하는 경치와 사물을 관찰하고 그리는 眞景山水畵와 寫生畵, 우리나라와 주변국인 일본의 국토를 그린 地圖, 그리고 서양식 음영법 등은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새로운 시대 예술이라는 점에서 그가 남긴 가장 괄목할만한 예술적 업적으로 꼽을 수 있다.

윤두서의 예술적 재능은 이후 장남인 윤덕희와 윤덕희의 차남인 윤용으로 전승되어 3대에 걸쳐 문인화가의 一門을 형성하게 되어 해남윤씨 가문은 조선 후기 대표적인 문인서화 가문의 입지를 확보하였다. 윤덕희와 윤용은 윤두서만큼 다양한 화목을 다루지 못했지만 崇祖意識이 강해 윤두서의 예술정신과 윤두서의 화풍을 계승하여 윤두서 일가는 畵派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윤덕희는 윤두서의 남종화, 시의도, 말 그림, 도석인물화, 고사인물화, 미인도, 소설 삽화의 수용, 초상화, 풍속화, 진경산수화, 사생화, 서양식 음영법 등을 계승·발전시켰다. 윤덕희는 남종산수화에 몰두하여 米法山水, 吳鎭, 倪瓚, 黃公望의 화풍이 반영된 명대 吳派화풍, 松江派의 董其昌, 그리고 청대 安徽派 화풍까지 다양하게 수용하였다. 그 결과 윤두서와 함께 18세기 전반기 화단에 남종문인화를 정착시키는 데 적지 않은 공헌을 한 화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윤덕희의 말 그림은 윤두서의 영향으로 李公麟과 趙孟부의 고전적인 말 그림을 계승·발전시켜 윤두서와 더불어 쌍 절로 일컬어졌다. 윤덕희는 18세기 전반기 화가 중 가장 많은 도석인물화를 남겼으며, 海上群仙圖 형식을 새롭게 개척한 화가로 평가된다. 윤덕희는 18세기 진경산수화가 유행하기 시작한 시점에서 18세기 중엽 이후에 널리 통행되는 실재하는 경치로서의 ‘眞景’이라는 용어를 1709년이라는 이른 시기에 사용하였다. 1747년에 금강산을 유람하면서 현장에서 직접 사생하여 ‘실재하는 경치를 재현하는 의미’로서의 진경산수화를 그린 점은 그가 남긴 커다란 공적이다.

윤용은 윤두서의 산수화, 풍속화, 도석인물화, 진경산수화, 미인도, 사생화 등을 계승·발전시켰다. 그는 산수화 분야에서 뛰어난 문학적 재능을 발휘하여 전반적으로 그림에 시를 곁들인 시의도를 추구하였으며, 안휘파 화풍을 수용하여 개성적인 회화세계를 구축한 인물로 평가된다. 《翠羽帖》에 실린 꽃과 나무, 영모, 벌레 등을 모두 정밀하고 섬세하게 사생한 점에서 그는 윤두서로부터 전수된 ‘眞’과 ‘今’을 추구하는 예술정신을 계승·발전시켰다고 평가할 수 있다. 풍속화에서는 조부와 부친의 기량을 뛰어 넘은 개성적인 면모가 엿보인다.

윤두서 회화를 주축으로 한 윤두서 일가의 회화는 金錫大를 시작으로 조선 후기 예단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鄭敾, 趙榮석, 姜世晃, 金弘道, 그밖에 상당수의 후배화가들이 크게 자극을 받아 계승·발전시켜 나갔으며, 말기 호남화단의 小癡 許鍊(1808-1893)에 이르기까지 약 200년 동안 영향을 미쳤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