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1
1. 서론 13
가. 연구지역 13
나. 연구목적 14
2. 재료 및 방법 16
가. 저서환경 분석 16
1) 표층퇴적물의 유기물함량 분석 16
2) 표층퇴적물의 입도 분석 18
나. 저서동물 군집분석 18
1) 채집방법 18
2) 생태지수 분석 19
3) 군집분석 19
4) 저서환경건강도 분석 20
3. 결과 22
가. 저서환경 22
1) 유기물 함량(Organic Matter Content) 22
2) 표층퇴적물의 입도조성 23
나. 저서동물 군집 26
다. 저서다모류 군집 30
1) 생태지수 및 출현종수, 서식밀도 분포 30
2) 우점 저서다모류 39
3) 식성 분석 47
4) 정점군 분포 51
5) 저서동물군집의 건강도(Benthic community healthiness) 평가 72
6) Sea Prince호 사고이후 저서동물군집 변천과정 76
4. 고찰 80
5. 요약 및 결론 84
참고문헌 85
Abstract 89
Appendix 10
Appendix 1. Textural Parameters of surface sediments in the study area, April 2008. 91
Appendix 2. Textural Parameters of surface sediments in the study area, June 2008. 92
Appendix 3. Textural Parameters of surface sediments in the study area, September 2008. 93
Appendix 4. Textural Parameters of surface sediments in the study area, November 2008. 94
감사의 글 95
Fig. 1. A map showing the bathymetry and the sampling stations in Geumo-Sori islands, southern coast of Korea. 17
Fig. 2. The organic content of surface sediment in station, 2008. 23
Fig. 3. Distribution of surface sedimentary facies in the study area, 2008 25
Fig. 4. The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 fauna density in study area, 2008 29
Fig. 5. The distribution of benthic polychaetous species number in study area, 2008 37
Fig. 6. The distribution of benthic polychaetous density in study area, 2008 38
Fig. 7.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ix dominant benthic polychaetous species, April 2008. 40
Fig. 8.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ix dominant benthic polychaetous species, June 2008. 42
Fig. 9.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ix dominant benthic polychaetous species, September 2008. 44
Fig. 10.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ix dominant benthic polychaetous species, November 2008. 46
Fig. 11. The distribution of benthic polychaetous feeding type in study area, 2008 50
Fig. 12. Dendrogram of Bray-Curtis similarity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ordinations(MDS) plot of the sampling sites based on the data of April 2008. 53
Fig. 13. Distribution of station groups which were divided by the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species composition, 2008 54
Fig. 14. Dendrogram of Bray-Curtis similarity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ordinations(MDS) plot of the sampling sites based on the data of June 2008. 59
Fig. 15. Dendrogram of Bray-Curtis similarity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ordinations(MDS) plot of the sampling sites based on the data of September 2008. 64
Fig. 16. Dendrogram of Bray-Curtis similarity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ordinations(MDS) plot of the sampling sites based on the data of November 2008. 69
Fig. 17. Distribution of Benthic Pollution Index(BPI) in the study area, 2008 74
Fig. 18. Distribution of Azti's Marine Benthic Index(AMBI) in the study area, 2008 75
Fig. 19. Proportions of each taxon during study period {1996~1997 (Lim and Choi, 2001), 1999~2000 (Choi et al., 2006), 2008 (Present study)}. 78
본 연구는 남해안 금오도-소리도 주변해역의 저서다모류군집의 분포양상을 파악하여 저서환경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지역은 과거 소리도 남쪽해상에서 유조선 Sea Prince호의 극심한 유류유출 사고와 각종 수산 자원의 남획, 어장의 축소 등으로 생태계의 변화가 나타났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이다.
2008년 4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총 4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각 정점에서 유기물함량, 표층퇴적물의 입도조성, 저서동물군집에 대한 조사 도 실시하였다. 표층 퇴적물의 유기물함량은 금오도주변이 안도와 소리도 주변보다 높은 갚을 나타냈으며 전체적으로 평균 5.8%의 유기물함량을 나타냈다. 입도조성은 안도와 소리도 주변의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의 조립질 퇴적상을 보였으며, 금오도를 포함한 나머지 정점들 에서는 세립질의 퇴적상이 우세하였다. 전체 연구기간동안 저서동물의 평균서식밀도는 1188ind./㎡이었고, 이중 다모류가 전체 저서동물 출현개체 중 57%를 차지하여 가장 우점하는 동물 군으로 나타났다. 다모류 내의 주요 우점종은 Aricidea sp.와 기회종(opportunistic species)의 특성을 나타내는 Heteromastus filiformis로 나타났다. 이들은 468ind./㎡과 352ind./㎡의 평균서식밀도로 출현하였고, Aricidea sp.는 주로 안도와 소리도 주변에서 많은 출현양상을 보인 반면, Heteromastus filiformis는 전 정점에 걸쳐 골고루 분포해 있었다. AMBI 와 BPI를 통해 저서환경의 건강도를 살펴보면 안도와 소리도 주변의 경우 금오도 주변에 비하여 안정적인 상태라고 말할 수 있으나,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경미한 교란(slightly disturbed)의 상태로 보인다.
조사결과 금오도-소리도 주변은 과거 유류오염 사고이후 점차 호전되고 있지만, 현 조사시기까지는 경미한 교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금오도와 소리도 인근 해역은 사회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지역으로 향후 지속적인 과심과 연구, 모니터링을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