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중진국 외교정책과 공공외교 : 캐나다와 노르웨이 틈새외교 분석과 한국 공공외교에 가지는 함의를 중심으로 / 이명숙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2
청구기호
TM 320 -10-46
형태사항
v, 95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017735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2010.2. 지도교수: 김기정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9

제1장 서론 11

1.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1

1.2. 연구방법 및 범위 13

제2장 기존 연구 및 이론적 분석 틀 16

2.1. 공공외교(Public Diplomacy)에 관한 기존 연구 검토 16

2.2. 공공외교의 개념과 국가의 외교정책적 행위 19

2.2.1. '공공외교'의 개념 20

2.2.2. 공공외교의 국제정치적 의미 26

2.2.3. 외교정책으로서의 공공외교 30

2.3. 이론적 논의 및 분석틀 33

2.3.1. 중진국(Middle Powers) 정의와 중진국 외교정책 33

2.3.2. 중진국 '틈새외교'와 공공외교 39

2.3.3. 분석틀 42

제3장 캐나다 대외정책과 공공외교 47

3.1. 중진국 목표와 전후 대외인식 47

3.2. 국내외 환경과 공공외교 도입 배경 49

3.2.1. 국내외 환경 49

3.2.2. '선한시민'과 사회적 환경 요인 51

3.3. 캐나다 대외정책 우선권과 공공외교의 활용 55

3.4. 공공외교의 경험적 사례 60

3.4.1. 오타와 프로세스 60

3.4.2. 평화유지활동과 대외원조 66

제4장 노르웨이 대외정책과 공공외교 71

4.1. 전후 대외관계와 자국인식 71

4.2. 국내외 환경과 공공외교 도입 배경 73

4.2.1. '비가시성'과 국내외 환경 73

4.2.2. 'Social worker'와 사회적 환경 요인 75

4.3. 노르웨이 대외정책 목표와 공공외교 활용 78

4.4. 공공외교의 경험적 사례 81

4.4.1. 스리랑카 분쟁과 촉진자 역할 81

4.4.2. 인도주의 원조와 국제기여 87

제5장 결론 : 한국의 공공외교 실천 과제와 함의 90

참고문헌 95

ABSTRACT 103

〈표 2-1〉 소프트파워 원천(sources), 조정자(referees), 수신자(receivers) 28

〈표 2-2〉 전통적 중진국과 신홍 중진국의 차이점 35

〈표 3-1〉 1998-2005, 캐나다 공공외교 프로그램 진화단계의 주요사건 59

〈표 3-2〉 오타와 프로세스 기간의 쌍방향(two-way communication):... 63

〈표 3-3〉 UN Peace-keepers, 1948-90 67

〈표 3-4〉 1998년, 각 국가별 OAD 현황 69

〈표 3-5〉 대외원조 주요 행위자 및 프로그램 내용 70

〈표 4-1〉 스리랑카 분쟁에서 노르웨이 정부 및 비정부행위자의 역할 85

〈표 4-2〉 스리랑카 평화구축에 있어 시민사회 역할(Role of Civil Society in... 86

〈표 4-3〉 노르웨이 대외원조 구성 1990-2000년 87

〈표 4-4〉 1960-1986년, GNP대비 ODA 상위국가와 지역그룹 88

〈그림 2-1〉 Public Diplomacy as a Two-Dimensional Activity 23

〈그림 2-2〉The Source of Foreign Policy as a Funnel of Causality 43

〈그림 2-3〉 분석틀: 중진국 공공외교에 미치는 요소와 행위자 Flow chart 44

〈그림 4-1〉 GNP/GNI 비율에 따른 노르웨이 ODA 89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중진국의 외교정책을 분석하고, 특히 중진국이 공공외교를 자국의 대외정책에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캐나다와 노르웨이는 전후를 기점으로 중진국으로써 특화된 틈새외교를 통해, 자국 이미지를 높이고 정체성 또한 확보하게 되었다. 두 국가는 전통, 이념, 사회적 소산을 외교정책에 반영하여 구체화시켰는데, 캐나다는 '세계의 선한 시민'의식을 바탕으로 국제관계의 유용하고 건설적인 역할을 비롯하여, 인간안보의 정신을 국제사회에 증진시키는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노르웨이 역시 국제분쟁에 있어 당사자 간 평화 중재의 역할을 하였고, 'sociaI worker'에 기반 한 인도주의적 국제사회 기여자로써 외교정책을 펼쳐나갔다.

특히 이들 국가는 공공외교가 가진 이점들을 부각시켜 활용하였는데, 캐나다는 오타와 프로세스와 인간안보 의제에서 시민사회와 연계하여 국제문제를 해결해 나갔다. 노르웨이는 평화의 의제에 집중하여 스리랑카 분쟁 과정에서 평화 중재와 촉진자 역할을 함으로써, 국제무대에 있어 자국이 구축해 온 노력을 보상받는 계기가 되었다. 노르웨이 시민사회 역시 정부의 역할이 미치지 못하는 곳까지 개입하여 타국 스리랑카 내 시민사회에도 크게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캐나다는 자국 스스로 중진국을 표방하여 그에 걸 맞는 외교행위를 수행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고, 노르웨이는 평화외교를 통해 중진국의 지위를 인정받은 것에서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둘째, 중진국 대부분이 그러하지만, 캐나다와 노르웨이는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종교적 신념에 근거한 미션임무의 사회적 전통이 시민사회의 외부 행위자를 지속적으로 낳았다는 점이다. 특히 캐나다의 선한 시민의식과 노르웨이의 사회사업가와 같은 자국민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인식은 이의 연장선상으로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중진국으로써 캐나다와 노르웨이는 평화 활동이나 국제기여자로서의 유사한 대외활동을 벌였지만, 그 방법 면에서나 대외 목표에서는 차이점을 드러냈다. 캐나다의 경우에는 정부를 기점으로 한 '통합된 전략 중심'적인 특성을 지녔고, 노르웨이의 경우 노벨평화상의 구축에 기여한 점에서부터 시작해서 일관된 의제 중심으로 활동해왔다는 점이다. 넷째, 캐나다와 노르웨이는 자국에 맞는 역할 수행에 있어 시민사회를 잘 활용하고 그에 따른 반향을 일으키는 공공외교를 효율적으로 수행해 왔다. 공공외교를 활용하는 데 있어서도 두 국가는 기존의 외교 행위자만이 아닌 비정부기구의 행위자들과 정책결정과정에서 조율과 토론을 거치는 등 협력적인 모습을 보여 왔다.

중진국 캐나다와 노르웨이에 있어 효과적으로 활용되어진 공공외교는 한국에 있어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두 국가 사례로부터 공공외교 수행에 있어 정부를 핵심 행위자로 놓아 일관된 전략과 대외 이미지 투사가 이루어져야 하는 점, 시민사회 결합의 중요성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국제사회에서 주목받지 못하고 다소 약한 국가로 평가되었지만, 한 가지의 의제에 집중함으로 인해 '평화'에 관해서는 강대국 못지않은 명성과 국제적 지위를 확보하였던 노르웨이 사례를 통해 한국의 공공외교 역시도 틈새 역할을 구상해야 하며, 이러한 틈새외교는 중진국 외교처럼 모범적이고 영속적인 역할이어야 할 것이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