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창군기 한국군 교육훈련구조 형성에 관한 연구 / 김원대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2
청구기호
TD 658.3 -10-25
형태사항
v, 238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011179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중앙대학교 대학원, 인적자원개발정책, 2010.2. 지도교수: 이희수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9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9

B. 연구문제 12

C. 연구의 방법 및 분석의 틀 14

D. 연구의 제한점 24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25

A. 군 교육훈련 체계 25

B. 교육구조론 36

C. 선행연구 고찰 50

III. 창군기 한국군 교육훈련 환경 55

A. 해방 후 정치 사회 구조 55

B. 미국의 대한(對韓) 군사정책 68

C. 해방 전후 군 인적자원 90

D. 논의 및 시사점 105

IV. 창군기 한국군 교육훈련 체계 111

A. 학교교육 111

B. 부대 훈련 140

C. 위탁교육 162

D. 논의 및 시사점 166

V. 창군기 한국군 교육훈련 사례 174

A. 조선경비사관학교(정부수립 전 : 1946. 5~1948. 7) 174

B. 육군사관학교(정부수립 후 : 1948. 8~1950. 6) 183

C. 논의 및 시사점 197

VI. 요약 및 결론 207

A. 요약 207

B. 결론 및 제언 211

참고문헌 215

부록 225

〈부록 1〉 군정법령 제 28호 225

〈부록 2〉 KMAG 고문배치표 226

〈부록 3〉 일본육사 출신 입대현황 227

〈부록 4〉 만주군 출신자 입대현황 229

〈부록 5〉 중국군, 광복군 출신자 입대현황 231

〈부록 6〉 육군사관학교 후보생 교육훈련 프로그램(3개월 과정 기준) 233

〈부록 7〉 해군사관학교 제1기생 교육 과목표 234

〈부록 8〉 공군사관학교 제1기 사관후보생 교육과목 235

〈부록 9〉 육군병과학교 설치현황 236

〈부록 10〉 1사단 부대약사(1946~1550) 237

국문초록 239

Abstract 242

〈도표 I-1〉 지배계급에 대한 발전론적 이해와 종속론적 이해간 개념 차이 19

〈도표 II-1〉 국방교육훈련의 이념 27

〈도표 II-2〉 교육훈련기관 업무분장 30

〈도표 II-3〉 군사문화와 일반문화의 차이 48

〈도표 III-1〉 건국초기 체제유지비 57

〈도표 III-2〉 미 군정하 시위의 이념적 성향 59

〈도표 III-3〉 중등교육 증가현황 60

〈도표 III-4〉 고등교육 증가현황 60

〈도표 III-5〉 해방이후 사설군사단체 및 좌·우파 현황 62

〈도표 III-6〉 사병훈(士兵訓) 65

〈도표 III-7〉 국군 3대선서(맹서) 65

〈도표 III-8〉 조선경비대 8개 연대의 창설 일람 73

〈도표 III-9〉 주한미군 철수시 이양한 군사장비 현황 82

〈도표 III-10〉 특별 군원요청서 85

〈도표 III-11〉 남북한의 군사력 비교 89

〈도표 III-12〉 일제하 전시동원현황 91

〈도표 III-13〉 만군출신 일본육사편입자 현황 93

〈도표 III-14〉 군 간부의 출신별 특징비교 96

〈도표 III-15〉 군영반 졸업생 일자별 임관인원 100

〈도표 III-16〉 군사영어학교 임관자 출신별 현황 102

〈도표 III-17〉 초기 육군참모총장 현황 103

〈도표 III-18〉 군사영어학교 임관자중 군번 1~10번 장교 현황 104

〈도표 III-19〉 창군기 한국군 교육훈련 환경 분석 108

〈도표 IV-1〉 창군기 양성교육기관 현황 112

〈도표 IV-2〉 조선경비사관학교 1기~6기 현황 113

〈도표 IV-3〉 사관후보생 교육훈련 개관 114

〈도표 IV-4〉 육군사관학교 제7기~10기 현황 116

〈도표 IV-5〉 조선해안경비대사관학교 제1~3기 현황 117

〈도표 IV-6〉 해군사관학교 제4~7기 현황 118

〈도표 IV-7〉 간호장교 교육현황 122

〈도표 IV-8〉 창군기 보수교육기관 현황 128

〈도표 IV-9〉 미국식교육으로 전환하기위한 보수교육 과정 131

〈도표 IV-10〉 창군기 한국군 학교교육기관 현황 139

〈도표 IV-11〉 제1사단 작전수행간 교육훈련 사례 148

〈도표 IV-12〉 창군기 항공기 현황 155

〈도표 IV-13〉 간부 위탁교육 현황 비교 165

〈도표 IV-14〉 1.2차 도미유학자의 귀국후 보직현황 166

〈도표 IV-15〉 창군기 한국군 교육훈련 체계 분석 171

〈도표 V-1〉 창군기 역대 조선경비사관학교(육사) 교장 198

〈도표 V-2〉 조선경비사관학교(육사) 피교육생 현황 200

〈도표 V-3〉 조선경비사관학교(육사) 기별 교육훈련 개관 201

〈도표 V-4〉 조선경비사관학교(육사) 교육훈련 경향 204

[그림 I-1] 군 교육훈련 구성요소 17

[그림 I-2] 교육의 3요소와 교육적 가치 형성과정 18

[그림 I-3] 창군기 한국군 교육훈련 구조분석 모형 22

[그림 II-1] 군 교육훈련 체계도 29

[그림 II-2] 군 교육기관 현황 31

[그림 II-3] TWI 3 Job - 4Process 34

[그림 III-1] 국방사령부 편성 70

[그림 III-2] Bamboo Plan 72

[그림 III-3] G-3 조직표 75

[그림 IV-1] 창군기 한국군 교육과정별 문화이식 경향 170

초록보기 더보기

이 연구는 해방 직후 창군기(1945-1950년)동안에 형성된 한국군 교육훈련의 성격과 구조를 밝히는데 있다. 창군기 한국군 교육훈련은 미 군정의 통치하에 신설된 한국군 군사제도의 하위체계인 신생 군부조직의 물리적 폭력수단을 합법적으로 유지, 존속, 강화시켜주는 성격을 지닌다. 이러한 성격을 규명하는 구조분석은 종래의 역사연구를 지배해온 형이상학적 세계관에 입각한 실증주의적 접근만으로는 부족하다. 왜냐하면 창군기의 제반 교육적 환경은 점령군이던 미국의 지배구조를 중심으로 종속적 형태를 유지하며 발전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구조분석 측면에서는 체계론적 시각을 유지하면서, 지배, 피지배구조의 관계성 규명을 위해서는 변증법적 세계관에 입각한 문화 이식론을 기초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창군기 한국군 교육훈련은 환경면에서 교육훈련에 전념할 수 없는 구조였다. 국내적으로는 해방이후 외세에 의한 통치구조로 인한 갈등, 정치적 패권경쟁으로 인한 분열, 공산주의자들과의 이념적 충돌이 빈번하였다. 국외적으로는 세계질서의 재편과정에서 한반도의 전략적 가치저하, 소련과의 관계에 집착한 미국의 낮은 수준의 한국군 육성정책 등으로 명확한 교육훈련의 목표나 수준 제시가 미약하였다. 또한 과거 다양한 군 경력을 보유한 군부 조직은 자신의 출신배경에 따라 패권 및 갈등구조를 형성하였고 각자의 경험을 토대로 자체 추진한 군사교육은 창설초기 한국군의 잠재적 능력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통일된 교육훈련을 조기에 정착시키는데 오히려 방해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창군기 한국군 교육훈련은 체계면에서 학교교육, 부대훈련, 위탁교육으로 구분된다. 학교교육은 당시 군사제도 건설에 소요되는 인력을 시급히 충원하고 기본 임무수행을 보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초기의 학교교육은 교육시설 및 장비 등 제반 환경의 미비, 군 경력자에 대한 차별적, 변칙적 학사관리로 실질적인 교육효과는 미미하였지만 군부를 형성하고 교육훈련의 기반을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부대훈련은 이념을 달리하는 세력들의 끊임없는 공격으로부터 체제를 보호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따라서 정상적인 교육훈련 형태라기보다 임무수행 과정의 일부로 추진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위탁교육은 친미적 성향을 갖춘 군부엘리트를 전략적으로 육성하는 주요 통로로 활용되었으며 특히 미국 본토의 문화를 경험한 위탁교육 장교들은 미국의 문화접변 과정에서 체험한 우호적 이미지를 여과 없이 국내에 확산시키는 핵심역할을 수행하였다.

셋째, 창군기 한국군 교육훈련은 방법면에서 일본식 교육을 미국식 교육으로 전환하는 형태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당시 한국을 점령했던 미 군정의 통치이념과 군 교육훈련을 주도했던 미 군사고문단의 지배구조와 긴밀히 연계된다. 당시의 교육이념 및 중점, 교육에 필요한 무기, 장비, 교범 및 피복체계, 교육내용은 모두 미국식 제도를 지향한다. 특히 당시의 대표적 장교양성 기관인 조선경비사관학교의 경우에는 정부 수립이후 교장 임명 과정에서부터 일본군 출신을 배제하고 광복군 출신을 선임함으로써 미국의 정신적 기반인 반공사상과 자유 민주주의체제의 이식에 집중하는 일면을 볼 수 있다. 일본식에서 미국식교육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통해 일방적, 권위주의적 교수방법은 자율적, 민주적 교수방법으로 전환되는 특성을 보인다. 한편, 제도화된 학교교육에 비해 더디게 이루어진 부대훈련은 미 군사고문단에 의한 현장 중심의 밀착지도 기법인 상대역제도를 통해 보완을 시도하였고 이를 통해 야전 부대의 문화도 미국식으로 정착 되어져 가는 양상을 보인다.

넷째, 창군기 한국군 교육훈련의 전문직업성 확보 측면에 있어서는 인력충원에 치중한 나머지 질적으로는 다소 미흡했음을 알 수 있다. 우선 학교교육과 부대훈련의 상호 연계가 미흡했다. 학교교육은 야전부대의 수요를 충족시켜주어야 하나 이를 체계적으로 예측, 평가하지 못했다. 결국 학교교육은 학교교육대로, 부대훈련은 부대훈련대로 실시되는 비효율적 구조가 형성되었다. 또한 인력충원 위주의 교육과정은 한 달에서 수개월 이내의 단기 속성의 교육과정 설계를 강요하였고 이로 인해 전문직업성 측면에서의 전문성 배양에는 미흡하였다. 또한 교육훈련의 지원 면에 있어서도 치안유지군 성격의 육성정책을 고수하는 미국의 비우호적인 군사원조로 전문직업성 화보 측면에서의 효과적 기반 조성이 미약했다.

다섯째, 미국이 한국군의 교육훈련을 미국식 형태로 안착시키고자 했던 정책적 의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한 내에서의 미 군정 및 군사고문단의 통치 구조를 정당화하고 이를 지속적인 지배구조로 자연스럽게 이해하는 교육기반을 조성하기 위해서였다. 둘째, 친미적 인적자원을 육성, 이들을 미국의 대한(對韓) 군사정책과, 제반 점령정책 수행을 위한 우호세력으로 확보하기 위해서였다. 셋째, 미국의 이념 및 체제 이식을 통해 대외적으로 소련의 사회주의 팽창정책을 물리적으로 저지하고 이를 통해 세계 패권경쟁에서의 우위 화보와 한반도의 전략적 가치를 보장하기 위해서였다.

창군기 한국군 교육훈련 구조는 지배구조를 강화하고 체제 및 이념을 수호하기 위한 형태로 정착되었다. 특히 창군기의 교육훈련 체계는 오늘날 한국군의 교육훈련 및 인적자원개발의 기원이 되었으며, 그 성격 역시 당시와 유사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외세에 의해 편의적으로 이식된 창군과정의 교육훈련 구조가 현재까지 명확한 검증 과정 없이 그 형태를 유지해 온다는 측면에서 문제의식을 느낀다. 따라서 향후 지금까지 논의된 제반 문제점을 중심으로 보다 한국적 현실과 정서에 맞는 자주적이고 창의적인 교육훈련 구조로의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