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한국미의 재해석을 통한 주거공간 계획 : 한국미와 정서의 시각화, 펜트하우스 리노베이션 / 윤순애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0.2
청구기호
TM 729 -10-47
형태사항
iv, 74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009322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실내설계, 2010.2. 지도교수: 김정기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9

1-1. 연구배경 및 목적 9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9

제2장 한국의 미와 정신 10

2-1. 음양설 10

2-2. 풍수지리설 12

2-3. 미술 14

2-4. 의복 19

2-5. 건축 24

2-6. 가구 32

제3장 Inspiration Design 사례 34

제4장 Inspirational Materials 36

제5장 디자인 요소 38

5-1. 부채 38

5-2. 꽃살문 42

제6장 PROJECT 46

6-1. 프로젝트 개요 46

6-2. 디자인 배경 46

6-3. 사이트 분석 47

6-4. 디자인 개념 49

6-5. 공간 디자인 51

6-6. 평면계획 59

6-7. 천정계획 60

6-8. 입면계획 61

6-9. 아이소매트릭과 실내투시도 64

6-10. 가구 디자인 등 71

6-11. Presentation Boards 73

제7장 결론 76

참고문헌 78

ABSTRACT 80

감사의 글 83

(그림 1) 일월오봉병 11

(그림 2) 금강전도, 정선, 1734년, 국보 217호 13

(그림 3) 고려 청자, 조선 백자 14

(그림 4) 청자참외모양병 15

(그림 5) 청자상감운학문매병 15

(그림 6) 백자 철화 포도무늬 항아리 국보 107호, 조선 18세기 16

(그림 7) 정선, 인왕제색도 18

(그림 8) 김홍도의 송하맹호도 18

(그림 9) 한복과 삶 19

(그림 10) Fashion Design II: Designer, Lee Young Hee 22

(그림 11) Fashion Design I: GianFranco Ferre 23

(그림 12) 도산서원, 경복궁, 부석사 무량수전, 창덕궁 옥류천 24

(그림 13) 종묘, 덕수궁 석어당, 병산서원 동재 서재 25

(그림 14) 소쇄원, 경복궁 강녕전, 옥산서원, 부석사, 하회마을, 도산서원 28

(그림 15) 창덕궁 부용정, 경복궁, 소쇄원, 종묘, 창경궁, 부석사, 옻골마을 29

(그림 16) 사층사방탁자, 조선19세기 32

(그림 17) 삼층책장, 조선후기 32

(그림 18) 삼층찬탁 32

(그림 19) ONN 전시관 _ 김백선 34

(그림 20) 합죽선 39

(그림 21) 꽃살문 42

(그림 22) 부석사 안양루 43

(그림 23) 창덕궁 인정전 43

초록보기 더보기

현대의 불확정적 사유체계와 애매모호성의 시대가 Fuzzy이론과 함께 도래하는 현실 속에서 우리의 것을 재조명하는 시간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현대 사회에서 디자인의 영역은 하루가 다르게 광범위 해지고 그 추세도 한가지로 규정되어 있지 않다. 다양성, 상대성의 극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것을 바탕으로 한 디자인도 실시간으로 표현 되며 관찰자가 자기의 주관적 인식에 의해 예술작품의 상을 형성한다.

여러 문화가 함께 공존하고 그것을 소유한 각종 인류가 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함께 부딪치면서 살아가는 것을 직접 경험하는 개인적 입장에서 그리고 디자이너로서 한국의 미를 찾고자 하는 것은 Identity를 찾는 것과 같다고 하겠다. Identity속에는 고유성이 있고 진정한 아름다움이 있기에 다른 것들과 항상 대등하게 존재할 수 있으며 이것이 한국적인 디자인이다.

전통의 디자인은 역사적 사료와 함께 역사적 상상력에 의해 끊임없이 자극되어 문화적으로 흡수된다. 역사적 텍스트들을 주체적으로 읽고 해석하여 컨텍스트화 함으로써 전통을 자기화하는 일이다.

전통공간디자인의 창조적 행위는 역사적 보고에서 영감의 원천을 이끌어내는 논리, 상상력, 성찰인 것이다. 디자인에 관한 기본개념을 확립하고 그에 따른 디자인 언어, 문화, 상황, 집단심성, 담론 및 상징 등의 키워드를 정립하여 디자인의 공간. 시각 텍스트로 전환하는 것, 그리하여 사용자에게 이야기와 감동을 주는 것, 이것이 바로 디자인 철학이며 디자인 경영이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 한국 전통 공간의 기본 사상과 개념들을 바탕으로 우리의 미술, 조각, 건축, 의복 디자인을 통해 한국 고유의 미를 찾아 독창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우리의 공간을 재창출을 하는데 의미를 갖고자 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