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어휘 주석의 유형과 학습자의 숙달도가 한국어의 우연적 어휘학습에 미치는 영향 / 이아람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8
청구기호
TM 411.07 -8-776
형태사항
xiii, 94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871253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 2008.8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11

I. 서론 14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4

B. 용어의 정의 17

1. 우연적 어휘 학습 17

2. 어휘 주석 18

C. 논문의 구성 19

II. 이론적 배경 20

A. 읽기를 통한 우연적 어휘 학습 20

B. 어휘 주석 22

C. 선행연구 검토 24

1. 어휘 주석이 독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4

2. 어휘 주석이 우연적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6

D. 연구문제 31

1. 연구문제 및 연구가설 31

2. 연구가설의 근거 32

III. 연구방법 35

A. 실험 참여자 35

1. 어휘 주석의 유형에 따른 집단 간 동질성 37

2. 읽기 숙달도 별 어휘 주석에 따른 집단 간 동질성 37

3.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의 숙달도 차이 39

B. 연구 설계 40

1. 실험 도구 제작 40

가. 기본 어휘 목록 제작 40

나. 읽기 텍스트 선정 40

다. 목표 어휘 선정 41

라. 읽기 텍스트 제작 42

마. 어휘 주석 제작 43

2. 측정 도구 45

가. 사전 읽기 평가지 45

나. 읽기 이해 평가지 46

다. 사후 1·2차 어휘 평가지 46

C. 연구절차 47

1. 예비실험 47

2. 사전 숙달도 실험 47

3. 본 실험 48

4. 사후 어휘 평가 48

D. 자료 분석 방법 49

1. 채점 49

2. 자료 분석 통계 처리 49

IV. 연구 결과 및 해석 51

A. 어휘 주석의 유형과 학습자의 읽기 숙달도가 우연적 어휘 학습의 단기 기억에 미치는 영향 51

1. 연구 결과 기술 및 분석 51

2. 연구 결과 해석 56

B. 어휘 주석의 유형과 학습자의 읽기 숙달도가 우연적 어휘 학습의 장기 기억에 미치는 영향 58

1. 연구 결과 기술 및 분석 58

2. 연구 결과 해석 63

C. 어휘 주석의 유형과 학습자의 읽기 숙달도가 우연적 어휘 학습의 기억효과에 미치는 영향 65

1. 연구 결과 기술 및 분석 65

2. 연구 결과 해석 70

D. 그 외의 결과 72

V. 결론 75

A. 결론 및 시사점 75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78

참고문헌 80

부록 10

〈부록 1〉 사전 읽기 숙달도 평가지 83

〈부록 2〉 1차 읽기 텍스트 87

〈부록 3〉 1차 읽기 시험지 90

〈부록 4〉 2차 읽기 텍스트 91

〈부록 5〉 2차 읽기 시험지 94

〈부록 6〉 3차 읽기 텍스트 95

〈부록 7〉 3차 읽기 평가지 98

〈부록 8〉 사후 1차 어휘 평가지 99

〈부록 9〉 사후 2차 어휘 평가지 100

〈부록 10〉 사전 동의서 101

〈부록 11〉 설문지 102

ABSTRACT 104

〈표 1〉 주석의 독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국내의 연구 25

〈표 2〉 주석이 독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국외의 연구 25

〈표 3〉 주석이 우연적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국내의 연구 29

〈표 4〉 주석이 우연적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국외의 연구 30

〈표 5〉 실험 참여자 집단 정보 36

〈표 6〉 어휘 주석의 유형에 따른 집단 간 동질성 검사의 이원분산분석 결과 37

〈표 7〉 상위 집단의 주석의 유형에 따른 동질성 검사의 이원분산분석 결과 38

〈표 8〉 하위 집단의 주석의 유형별 동질성 검사의 이원분산분석 결과 38

〈표 9〉 하위 집단과 상위 집단의 동질성 검사의 t검정 결과 39

〈표 10〉 목표 어휘와 그 품사 42

〈표 11〉 실험 텍스트 정보 43

〈표 12〉 집단별 1차 사후 어휘 평가의 기술통계 51

〈표 13〉 집단별 1차 사후 어휘 평가의 이원분산분석 결과 54

〈표 14〉 주석의 유형별 집단간 1차 사후 어휘 평가 결과에 대한 TukeyHSD 사후검정에 따른 동일 집단군 54

〈표 15〉 상위 집단에서 주석의 유형에 따른 1차 사후 어휘 평가 점수의 일원분산분석 결과 55

〈표 16〉 상위 집단에서 주석의 유형에 따른 1차 사후어휘 평가 점수의 결과에 대한 TukeyHSD 사후검정에 따른 동일 집단군 56

〈표 17〉 하위 집단에서 주석의 유형에 따른 1차 사후 어휘 평가 점수의 일원분산분석 결과 56

〈표 18〉 집단별 2차 사후 어휘 평가 점수의 기술 통계 59

〈표 19〉 집단별 2차 사후 어휘 평가 점수의 이원분산분석 결과 61

〈표 20〉 주석의 유형별 집단 간 2차 사후 어휘 평가 점수 결과에 대한 Tukey HSD 사후검정에 따른 동일 집단군 61

〈표 21〉 상위 집단의 주석의 유형에 따른 2차 사후 어휘 평가 점수의 일원분산분석 결과 63

〈표 22〉 상위 집단의 주석의 유형에 따른 2차 사후 어휘 평가 점수 결과에 대한 TukeyHSD 사후검정에 따른 동일 집단군 63

〈표 23〉 하위 집단의 주석의 유형에 따른 2차 사후 어휘 평가 점수의 일원분산분석 결과 63

〈표 24〉 집단별 1차 어휘 평가와 2차 어휘 평가의 점수 차이의 기술 통계 66

〈표 25〉 집단별 1차 어휘 평가와 2차 어휘 평가의 점수 차이의 이원분산분석 결과 67

〈표 26〉 상위 집단에서 주석의 유형에 따른 1차 사후 어휘 평가 점수와 2차 사후 어휘 평가 점수 차이의 일원분산분석 69

〈표 27〉 하위 집단에서 주석의 유형에 따른 1차 사후 어휘 평가 점수와 2차 사후 어휘 평가 점수 차이의 일원분산분석 69

〈표 28〉 상위 집단의 주석의 유형에 따른 1차와 2차 사후 어휘 평가 점수의 비교 70

〈표 29〉 하위 집단의 주석의 유형에 따른 1차와 2차의 어휘 평가 점수의 비교 70

〈표 30〉 주석의 활용과 선호도에 관한 설문 결과 (순서: 상위/하위) 72

〈표 31〉 연구 가설의 채택 및 기각 표 73

〈그림 1〉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의 동질성 검사 점수 40

〈그림 2〉 예1. 한국어 주석 텍스트 44

〈그림 3〉 예2. 중국어 주석 텍스트 45

〈그림 4〉 상위 집단의 주석에 따른 1차 사후 어휘 평가 점수 52

〈그림 5〉 하위 집단의 주석에 따른 1차 사후 어휘 평가 점수 53

〈그림 6〉 집단별 1차 사후 어휘 평가에 대한 주석의 유형과 읽기 숙달도의 상관관계 55

〈그림 7〉 상위 집단의 주석에 따른 2차 사후 어휘 평가의 점수 59

〈그림 8〉 하위 집단의 주석에 따른 2차 사후 어휘 평가의 점수 60

〈그림 9〉 집단별 2차 사후 어휘 평가 점수에 대한 주석의 유형과 읽기 숙달도의 상관관계 62

〈그림 10〉 상위 집단의 주석에 따른 1·2차 사후 어휘 평가의 점수 차이 66

〈그림 11〉 하위 집단의 주석에 따른 1·2차 사후 어휘 평가의 점수 차이 67

〈그림 12〉 집단별 1차 사후 어휘 평가와 2차 사후 어휘 평가의 점수 차이에 대한 어휘 주석의 유형과 읽기 숙달도의 상관관계 68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어휘 주석의 유형과 학습자의 읽기 숙달도가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를 통한 우연적 어휘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제 2언어 학습자들이 외국어 학습에서 필요한 모든 어휘를 명시적으로 학습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읽기' 활동을 하면서 따라오는 부수적인 어휘 학습의 효과를 간과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에게 어휘 주석이 있는 읽기 텍스트를 제공하여 학습자들이 읽기를 하는 과정에서 우연적 어휘 학습이 이루어지는가를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만약 어휘 주석이 우연적 어휘 학습에 효과가 있다면 모국어와 목표어 중 어떤 언어로 제시된 어휘 주석이 더 효과적인지,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라 주석의 유형별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의 한 대학교 어학원에서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중급 실력의 중국인 84명을 두 단계의 읽기 숙달도와 어휘 주석의 유형(한국어 주석, 중국어 주석, 무주석)에 따라 총 6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을 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집단에 읽기 텍스트를 나눠준 후 읽기 이해 문제를 풀게 하는 실험을 3차례에 걸쳐 진행하였다. 3차 본 실험 이후에는 실험 참여자들이 예상하지 못한 상태에서 1차 사후 어휘 평가를 실시하고, 그로부터 1주일 후 역시 사전 예고 없이 2차 사후 어휘 평가를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얻어진 1차 사후 어휘 평가 결과로 우연적 어휘 학습의 단기 기억을, 2차 사후 어휘 평가의 결과로 우연적 어휘 학습의 장기 기억을, 1차와 2차 사후 어휘 평가의 점수 차이를 통하여 우연적 어휘 학습의 기억 효과를 알아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기술통계량을 산출하였고,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 TukeyHSD 사후검정, t검정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 주석과 학습자의 숙달도는 우연적인 어휘 학습의 단기 기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한국어 주석과 중국어 주석을 제공받은 집단은 1차 사후 어휘 평가에서 주석을 제공받지 않은 무주석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다. 따라서 문맥 안에서 어휘의 의미를 추측하는 것보다 이해 가능한 '어휘 주석'을 통해 텍스트를 이해할 때, 어휘 학습이 강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라 우연적인 어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어휘 주석이 유형이 달랐다.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에서 모두 한국어 주석과 중국어 주석이 무주석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상위 집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온 반면 하위 집단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읽기 숙달도가 낮은 집단의 학습자들은 주석을 활용하는 능력이 낮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한국어 주석 집단의 경우 중국어 주석 집단과 무주석 집단에 비해 상위 학습자의 점수가 높고 하위 학습자의 점수가 매우 낮음을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가 높을 때, 한국어 주석이 우연적 어휘 학습의 단기 기억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고 할 수 있겠다.

둘째, 어휘 주석과 학습자의 숙달도는 우연적인 어휘 학습의 장기 기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한국어 주석과 중국어 주석을 제공받은 집단은 2차 사후 어휘 평가에서 주석을 제공받지 않은 무주석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다. 그리고 1차와 마찬가지로 2차 사후 어휘 평가에서도 한국어 주석 집단과 중국어 주석 집단 간에 차이가 없음으로 보아, 본 연구에서 제시된 중국어 주석이 한국어 어휘와 일대일 대응되는 동일어가 아니라 한국어 주석과 같은, 어휘 정의의 방법으로 제시된 것에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른 어휘 주석의 유형별 효과는 앞에서 살펴본 1차 사후 어휘 평가의 결과와 같았다.

셋째, 어휘 주석의 유형과 학습자의 숙달도는 우연적 어휘 학습의 기억 효과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집단을 숙달도에 따라 나누어 살펴보면 상위 집단에서는 중국어 주석 집단만이 유의미한 점수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숙달도가 높은 학습자는 목표어 주석이 있는 읽기 텍스를 읽으며 어휘의 의미 파악에 주의를 기울이고, 주석이 없는 텍스트를 읽으며 문맥 안에서 어휘의 의미 파악에 주의를 기울이기 때문에 기억 효과가 지속된다고 볼 수 있다. 하위 집단에서는 무주석 집단만이 유의미한 점수 차이를 나타냈는데, 학습자의 숙달도가 낮을 경우 문맥 안에서 의미를 유추할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의 주석에 관한 연구가 단 1차례의 실험으로 이루어진데 반해 3차례의 실험으로 실험의 신뢰도를 확보했으며 주석의 제작에 있어 목표어와 모국어가 동일한 형태를 가지게 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이 있다. 또한 어휘 주석이 읽기를 통한 우연적 어휘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질적으로 분석하였고,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른 효과적인 어휘 주석의 유형을 비교 분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한국어 교재 연구와 한국어 교육 현장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어 교수자와 학습자가 효과적인 읽기와 어휘 학습에 대해 연구하고 학습하는 데에 기틀이 되기를 바란다. 더 나아가 본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해 한국어 교육에서 어휘 주석에 관한 연구들이 더 많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