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부랴뜨인 민족정체성에 관한 연구 / 전봉수 인기도
발행사항
전주 :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8
청구기호
TM 301 -8-73
형태사항
v, 145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868633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전북대학교 대학원, 문화인류학, 2008.8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9

제1장 11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1

2. 선행연구 검토 17

3. 연구방법 및 현지조사 21

제2장 부랴뜨인 민족정체성의 형성과 지속 26

1. 부랴뜨인의 기원 27

1-1. 바이칼 호 일대의 선주민 27

1-2. 부랴뜨인 조상 종족에 관한 고찰 28

1-3. 연합종족으로의 부랴뜨인 35

2. 부랴뜨인 민족정체성의 형성과 지속 37

2-1. 17세기 러시아 첨병 코사크(Cossacks)의 침략 37

2-2. 18세기와 19세기 43

2-3.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부랴뜨인 민족주의 운동 46

3. 부랴뜨인 민족정체성의 지속 46

3-1. 부랴뜨인 민족기원설화 46

3-2. 설화구조와 역사적 은유 50

3-3. 다섯 가지 근본 원리 54

제3장 부랴뜨 민족어와 민족정체성 58

1. 부랴뜨 방언의 다양성과 민족정체성 58

1-1. 부랴뜨 방언 집단 58

1-2. 방언의 다양성과 민족정체성 62

2. 부랴뜨어 소멸위기의 원인 64

2-1. 러시아어 교육정책과 공용어 정책 64

2-2. 부랴뜨어 교육 정책 69

2-3. 압도적인 러시아인의 인구 비율 71

2-4. 부랴뜨어 사용자의 도시이주 74

2-5. 가족 내 러시아어 사용증가 78

2-6. 부랴찌야 공화국 정부와 의회의 소극적 태도 82

3. 부랴뜨어 소멸위기와 민족정체성의 재구성 83

3-1. 부랴뜨어 소멸위기와 젊은층 83

3-2. 부랴뜨어 소멸위기와 장년층 85

3-3. 혼혈인과 부랴뜨어 86

3-4. 러시아인과 부랴뜨인 88

3-5. 부랴뜨어 소멸위기와 민족정체성의 재구성 89

제4장 부랴뜨 현대종교와 민족정체성 92

1. 샤머니즘과 러시아 정교 그리고 서부랴뜨인 92

1-1. 샤머니즘과 서부랴뜨인 92

1-2. 샤머니즘과 러시아 정교 108

1-3. 샤머니즘과 소비에트 사회주의 113

2. 라마불교와 동부랴뜨인 120

2-1. 라마불교도 동부랴뜨인 122

2-2. 라마불교의례와 동부랴뜨인 126

2-3. 라마불교와 소비에트 사회주의 129

2-4. 라마불교 부흥과 동부랴뜨인 132

3. 라마불교와 샤머니즘 그리고 프로테스탄트 138

제5장 결론 143

1. 연구결과 분석 및 요약 143

2. 연구의 의의 및 한계 145

참고문헌 147

【표 1】 2차 현지조사의 인터뷰 제보자 (2004년 7월 - 2005년 7월) 22

【표 2】 3차 현지조사의 구술생애사 제보자 (2007년 7월 - 동년 8월) 23

【표 3】 3차 현지조사의 메타데이터 25

【표 4】 부랴찌야 공화국의 민족 별 인구 변화(Терский 외 2001:462) 73

【표 5】 부랴찌야 공화국 지방 인구의 민족 별 비율 74

【표 6】 부랴찌야 공화국 도시·지방인구 변화 75

【표 7】 부랴찌야 공화국의 출생·사망 인구통계 76

【표 8】 부랴찌야 공화국의 연령별 인구비율 79

【표 9】 19세기 말 동·서부랴뜨인의 종교 124

【표 10】 부랴뜨인의 종교 140

【그림 1】 러시아 연방 내 부랴찌야 공화국의 위치(Терский 외 2001:13) 26

【그림 2】 바이칼 일대 강과 산맥 지도(Терский II. A 외 2001) 29

【그림 3】 조치의 1207년 원정로와 당시 종족 거주지역(Z.ERDENE 2006) 32

【그림 4】 12세기 무렵 몽골고원과 주변지역 세력들(스키마야 마사아키 1999:35) 33

【그림 5】 15세기-16세기 무렵 북부몽골과 바이칼 일대 종족들(Терский II. A 외 2001) 36

【그림 6】 러시아 용병 코사크의 시베리아 침략 (Терский II. A 외 2001) 38

【그림 7】 러시아 용병 코사크와 부랴뜨인의 전쟁(B. Surikov 1985) 39

【그림 8】 17세기 바이칼 일대 민족들의 저항과 이동 그리고 부랴뜨인의 형성(Терский II. A 외 2001) 42

【그림 9】 부랴뜨 네 개 종족의 주요 거주지 47

【그림 10】 바이칼 호 일대 지도 47

【그림 11】 부랴찌야 공화국의 국기와 국가문장 56

【그림 12】 부랴뜨어 방언의 분포지도 58

【사진 1】 키긴진긴스키 라이온의 수부르간 55

【사진 2】 울란우데 레닌가 아르바트 거리의 수부르간 57

【사진 3】 부랴뜨 샤먼의 접신의례 102

【사진 4】 부랴뜨인들이 매해 타일라간 의례를 치루는 바이칼 호수 알혼섬의 부르한 바위 104

【사진 5】 부랴뜨인이 여정 중에 간단한 샤머니즘 의례를 행하는 곳 108

【사진 6】 울란우데 레닌거리의 한 식당에 붙은 그림. (동부랴뜨인의 라마불교도 정체성을 엿 볼 수 있다.) 125

【사진 7】 일반 동부랴뜨인의 가정에서 흔히(흔희) 볼 수 있는 신주 126

【사진 8】 지진스키 라이온 인자가뚜이 마을에서 라마가 사용하는 불경과 키진가의 사원 127

【사진 9】 에라브닌스키 라이온의 싸스노보-아조르스코예 마을에 건축 중인 라마불교 사원 134

【사진 10】 2007년 7월 18일 이볼긴스키 다산의 판디타 함보 라마 다쉬-도르초 이티길로프 12세 공개에 모여든 부랴뜨인 136

【사진 11】 이볼긴스카 사원에 공개된 12대 판디타 함보 라마 다쉬-도르초 이티길로프와 그의 생전 사진 138

초록보기 더보기

The Buryadd is the biggest group among minorities in East Siberia of the Russian Federation. This thesis inquires into some critical aspects of the Buryadd's ethnic identity: its building, persistence, rediscovery and reconstruction.

Under the Russian invasion in the seventeenth-century, segments around Lake Bikal began to be regarded as one nation, the Buryadd as it is called today. For governmental purposes, they, who had formed kinship-oriented community prior to the Russian invasion, began to be labeled as the Buryadd. Having come under the Russian domination, Buryadd people started to perceive the Russians both as a ruler and as an invader, thereafter holding their ethnic identity up to this day through their own language, religion, myth and symbol that distinguish them from the Russians.

It seems, however, that the ethnic identity of the Buryadd today has been reconstructed in a dynamic way. The Buryadd had been using their own language before the Russians came. Yet the language has faced with the crisis of disappearance from its existence since the mid-twentieth century. I tried to investigate several factors causing the crisis from political and social perspectives: Russian policies concerning bilingualism and education; the policy of Buryadd language education; the smaller body of the Buryadd population; Buryadd speaker group's migration to urban areas; the increase of speaking Russian among the Buryadd community; the attitude of Buryadd Republic government and assembly toward the language; social discrimination against Buryadd language; Russian-speaking practice in workplace. As the Buryadd-speaking population got smaller than ever, forces that determine 'Who is a Buryadd?' began to change. Unlike the period when 'becoming Buryadd' could be sufficiently realized by Buryadd-speaking practice, 'the command of the Buryadd language' came to be eliminated from components of the ethnic identity as a large portion of the Buryadd lost the command of their own language. From this observation, it can be argued that they threw out one of the emblems constructing their ethnic identity, so that they could adapt themselves to new political and economic circumstances.

The Buryadd fall into two parts, western ones on the one side of Lake Bikal and eastern ones on the other side. These two have different traditional religions: shamanism for the former and Lamaism for the latter. They persistently kept living their religious lives even under the suppression by the USSR, and still thinking that their religions have a close relation with their ethnic identity. The fact that Lamaism and shamanism have widely spread since Perestroika reforms can be understood not as the rebirth of signification but as the revival of it. The argument that the two religions may prosper due to the socio-political changes, or an attempt to explain those religions' revival movement in terms of ideology for self-determination movements, deflects the people's ethnic identity. This is because their religions continue in cultural domain despite the Soviet government's repression. The revival of two religions makes the people not only reconfirm their sense of community that they belong to 'Buryadd', but rediscover the ethnic identity of a Buryadd as either a shamanist or a Lamaist.

The identity of the Buryadd does not persist without transformation, nor does it change according to the situation without persistence. The Buryadd's ethnic identity, since its emergence, has been maintained and also chosen, and dismissed, the components of their identity, so that they stand well along with the ever-changing situation of one's times.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