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8
제1절 연구의 목적 8
제2절 연구방법 및 범위 9
제2장 「리더십」의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11
제1절 리더십의 본질과 유형 11
1. 리더십의 개념과 특징 11
2. 리더십의 제이론 14
3. 리더십의 유형 17
4. 피들러의 상황적합성 이론 23
5. 규범적인 의사결정(Vroom-Yetton-jago 모형) 27
6. 경로-목표이론 31
7. 허시와 블랜차드의 수명주기이론 34
제3절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 36
1. 거래적 리더십(Transactional Leadership) 38
2.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 42
3.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과의 비교 연구 53
제3장 군 조직에서 리더의 유형과 조직성과 55
제1절 리더의 자질과 과제 55
1. 군대 장교들에게 요구되는 자질과 능력 55
2. 리더의 과제 59
제2절 군 조직에 있어서의 리더십의 유형 60
1. 군 조직과 사회조직의 비교 60
2. 군 지휘통솔(리더십)의 개념 61
3. 군 지휘통솔(리더십)의 특성 63
제3절 육군 3사관학교와 사관생도 교육체계 65
1. 육군 3사관학교의 역사와 특성 65
2. 사관생도 교육체계 67
제4절 조직성과 지표 69
1. 조직성과의 개념 69
2.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70
3.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비교 76
제4장 연구 설계 78
제1절 연구모형의 설계와 가설설정 78
1. 연구모형의 설계 78
2. 가설 설정 78
제2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81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81
제3절 조사대상의 선정과 분석방법 83
1. 조사대상의 선정과 특성 83
2. 측정도구 85
3. 조사방법 86
제5장 연구결과 분석 및 해석 87
제1절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87
1.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 87
2. 측정도구의 신뢰성 검증 91
3. 변수간의 상관관계 분석 93
제2절 가설의 검증과 해석 94
1. 〈가설I〉의 검증 94
2. 〈가설II〉의 검증 97
3. 〈가설III〉의 검증 100
제6장 요약 및 결론 103
제1절 연구결과 요약 103
제2절 연구의의 및 시사점 105
제3절 연구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107
참고문헌 109
ABSTRACT 115
요약 118
부록 : 설문지 120
〈그림 2-1〉 리더십 이론의 변천에 관한 개념적 모델 13
〈그림 2-2〉 상황론의 세 관점 17
〈그림 2-3〉 연속선상의 리더십 19
〈그림 2-4〉 오하이오 대학교의 리더십 행동연구 20
〈그림 2-5〉 관리격자와 리더 행동유형 22
〈그림 2-6〉 상황별 효과적인 리더 26
〈그림 2-7〉 의사결정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Vroom-Jago Decision Tree 30
〈그림 2-8〉 리더십 수명주기이론 35
〈그림 2-9〉 거래적 리더십 과정 41
〈그림 2-10〉 변혁적 리더의 변화에 대한 행동 46
〈그림 2-11〉 변혁적 리더십 과정 51
〈그림 3-1〉 장교의 기본적 역할과 임무 64
〈그림 4-1〉 연구모형 78
〈그림 4-2〉 가설의 설정 79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한 후 육군 3사관학교에서 생도들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 훈육대장의 어떠한 리더십이 더 효과적인가를 검토하기 위해서 수행되었으며 실증적인 조사를 통해 검증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로 구분할 수 있다. 문헌연구에서는 기존의 문헌을 검토하여 연구모형과 연구의 가설을 도출하고, 실증연구에서는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연구에 필요한 통계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학년별, 중대별 특성을 고려하여 생도 3, 4학년 전 중대를 대상으로 무작위 420명에게 배포하여 회수한 408부 중 관대하게 설문한 설문과 성실하지 못한 설문으로 판단되는 설문지를 제외하고 239부를 가지고 분석하였다.
분석절차 및 분석기법으로는 인구통계학적 변수의 정리를 위해서 빈도분석, 각 변수들의 내적 일관성 검증을 위해 신뢰도 분석, 각 변수들의 구성개념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 변수들간 관계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상관 관계분석, 변수들의 인과관계 및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생도들이 지각한 훈육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의 각 항목인 카리스마/이상적 영향력, 개인적 배려, 지적 자극은 생도들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나 생도들이 지각한 훈육대장의 거래적 리더십의 각 항목인 업적에 따른 보상과 예외관리는 생도들의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도들을 이끌어 가는데 있어서 리더가 원하는 행위가 일어났을 때 정신적, 물질적인 보상을 주는 거래적 방식보다는 변혁적 리더십이 비전의 제시와 자신감을 구현하게 하는 등 다분히 정신적인 측면에서 유도를 하기 때문에 생도들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높여줄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의 사관생도들의 기본 변수들은 동일한 것으로 판단했다.
둘째, 본 연구에서 훈육대장들의 기본 소양은 동일한 것으로 판단한다.
셋째, 연구의 모형을 설정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여러 가지 상황적인 요인들을 제한적으로 고려하였다.
넷째, 본 연구 자료는 생도 개개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것이므로 자기보고서(Self-Reporting)식이기 때문에 동일측정오류(Common Method Variance)가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의 향후 연구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분석수준을 개인이 지각한 것을 중심으로 하였으나, 차후의 연구에서는 1개의 중대를 대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군내의 상위 계급을 대상으로 연구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변혁적 리더십의 효과에 대한 종속변수로서 본 연구에서 이용된 조직 몰입과 직무만족 외에 다른 변수(훈육대장의 신뢰 등)들을 고려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넷째, 동일측정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다면측정의 방법을 병행한다면 더욱 높은 객관성을 보여줄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