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하은주 인기도
발행사항
청주 : 충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8
청구기호
TM 350 -8-423
형태사항
viii, 75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847836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충북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2008.8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9

제1장 서론 12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6

제2장 이론적 배경 18

제1절 리더십의 의의 18

1. 리더십의 정의 18

2. 리더십 이론 18

제2절 리더십의 유형 27

1. 거래적 리더십(Transactional Leadership) 27

2. 변형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 32

3. 리더십 유형의 비교 37

제3절 직무성과와 리더십 38

1. 직무만족(Job Satisfaction) 40

2. 조직몰입 48

3. 자기효능감 및 자기개발의 역할 52

4.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과 직무성과간의 관계 56

제3장 연구설계 57

제1절 연구의 모형 및 가설의 설정 57

1. 연구모형 57

2. 가설의 설정 58

제2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58

1. 독립변수의 조작적 정의 58

2. 종속변수의 조작적 정의 59

제3절 연구의 조사 설계 62

1. 표본의 선정 62

2. 설문지의 구성 62

3. 자료의 분석방법 63

제4장 분석결과 65

제1절 표본의 일반적 특성 65

제2절 척도의 타당성 및 신뢰도분석 66

가. 리더십유형의 타당성 및 신뢰도분석 67

나.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도의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 69

다. 자기효능감 및 자기개발의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 69

제3절 가설검증 70

1. 가설 1의 검증 70

2. 가설 2의 검증 71

3. 가설 3의 검증 72

4. 가설 4의 검증 73

제5장 결론 75

참고문헌 78

부록 : 설문지 82

〈표 1-1〉 연구방법(내용없음) 19

〈표 2-1〉 X. Y형 인간관에 따른 리더십 유형 21

〈표 2-2〉 의사결정에의 리더 참여정도에 따른 유형 분류 26

〈표 2-3〉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인 34

〈표 2-4〉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의 차이점 38

〈표 3-1〉 표본 및 자료 수집 62

〈표 3-2〉 설문지의 구성 63

〈표 3-3〉 자료의 분석방법 64

〈표 4-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65

〈표 4-2〉 리더십유형의 타당도 및 신뢰도분석 68

〈표 4-3〉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도의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 69

〈표 4-4〉 자기효능감 및 자기개발의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 70

〈표 4-5〉 거래적 리더십 및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71

〈표 4-6〉 리더십이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72

〈표 4-7〉 리더십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73

〈표 4-8〉 리더십이 자기개발에 미치는 영향 74

〈표 4-9〉 가설 검증 정리 74

〈그림 1-1〉 연구방법 17

〈그림 2-1〉 Blake & Mouton의 관리격자 23

〈그림 2-2〉 Fiedler의 리더십모형 25

〈그림 2-3〉 거래적 리더십 모델 29

〈그림 2-4〉 직무만족의 형성과정 모형 43

〈그림 3-1〉 연구 모형 57

초록보기 더보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job performance of government employee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posts in the Chungcheongbukdo Office of Education. A research model was devised by selecting leadership styles(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job performance including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elf-efficacy and self-development were selected as dependent variables.

Literature review and experimental research were implemented. Existing literature was reviewed to formulate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and experimental research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hypotheses. Questionnaire method was utilized to gather statistical data to make the experimental research.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80 government worker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posts who worked in the Chungcheongbukdo Office of Education, organs under direct control of that office of education involving local educational authorities and libraries, and each school.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152 respondents were collected, and 151 answer sheets were analyzed except an incomplete one. For data handling,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their demographic variables, and reliability analysis was utilized to test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variables. A factor analysis was employed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variable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to check into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to job performance. Out of the two, onl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xerted an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Second, jus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an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onl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xercised an influence on self- efficacy. Fourth, jus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ffected self- development.

This study had some limitations, and there are some suggest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First, the range of subjects was confined to public officials in general posts without investigating the other government employees in educational and technical posts who made up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organization. A wider range of subjects who belong to the Chungcheongbukdo Office of Education should be examined in the futur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more likely to be exerted by high-ranking leaders, though every leader could have that leadership regardless of position.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to put the focus of future research on high-ranking officials.

Second, just a limited number of variables were utilized to set up the research model in this study. As educational administration organs are special organizations, a wide variety of theories should be applied, and more extensive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by including contextual variables.

Third, each of the public officials was surveyed, which might result in heightening the possibility of measurement errors. It will ensure the objectivity of results if multidimensional evaluation or in-depth interview is added.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