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가족의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및 가족관계 개선을 위한 가족미술치료 사례연구 / 김효숙 인기도
발행사항
경산 :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8.2
청구기호
TD 615.85156 -8-30
형태사항
vi, 109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836923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영남대학교 대학원, 미술치료학, 2008.2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Ⅰ.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 9

2. 연구 목적 13

Ⅱ. 이론적 배경 14

1. 가족의 기능 14

2. 자아존중감 16

3. 의사소통 17

4. 가족미술치료 20

5. 선행연구 고찰 22

Ⅲ. 연구방법 26

1. 연구 대상 26

1) 의뢰사유 26

2) 가족배경 26

2. 연구 도구 28

1) 자아존중감 28

2) 의사소통 유형 28

3) 가족체계진단 29

4) 동적가족화(KFD) 30

3. 연구 절차 30

1) 사전면담 30

2) 사전검사 31

3) 본 프로그램 실시 31

4) 사후검사 31

5) 추후검사 31

4. 가족미술치료 프로그램 31

5. 자료 분석 36

Ⅳ. 결과 및 해석 38

1. 가족미술치료 과정의 분석 38

1) 초기단계(1-6회기) 38

2) 탐색단계(7-13회기) 44

3) 변화단계(14-20회기) 48

4) 자아확립단계(21-30회기) 54

5) 종결단계(31-34회기) 61

2. 가족미술치료가 가족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66

1) 가족미술치료 단계별 가족의 자아존중감 변화양상 67

2) 척도검사에 의한 사전·사후·추후 가족의 자아존중감 변화양상 69

3. 가족미술치료가 가족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70

1) 가족미술치료 과정에 따른 가족의 의사소통 변화 양상 70

2) 가족체계진단에 의한 가족의 의사소통 사전·사후·추후 비교분석 73

3) 척도검사에 의한 가족의 사전·사후·추후 의사소통 유형의 변화양상 83

4. 가족미술치료가 가족관계에 미치는 효과 88

1) 가족미술치료 과정에 따른 가족관계 비교분석 88

2) KFD에 나타난 가족의 사전·사후·추후 가족관계의 변화양상 92

Ⅴ. 결론 및 제언 101

참고문헌 105

Abstract 112

부록 114

부록 1 114

부록 2 115

〈표 1〉 가족미술치료 프로그램 32

〈표 2〉 가족의 자아존중감 사전·사후·추후 변화 양상 69

〈표 3〉 사전의 비언어적 공동화·비언어적 가족화·언어적 가족화 74

〈표 4〉 사후의 비언어적 공동화·비언어적 가족화·언어적 가족화 78

〈표 5〉 추후의 비언어적 공동화·비언어적 가족화·언어적 가족화 81

〈표 6〉 가족의 의사소통 유형의 사전·사후·추후 변화양상 83

〈표 7〉 아버지의 KFD에 나타난 가족관계의 사전·사후·추후 변화 93

〈표 8〉 어머니의 KFD에 나타난 가족관계의 사전·사후·사후·추후 변화 95

〈표 9〉 딸의 KFD에 나타난 가족관계의 사전·사후·추후 변화 97

〈표 10〉 아들의 KFD에 나타난 가족관계의 사전·사후· 추후 변화 99

[그림 1] 가계도 27

[그림 2] 부부 〈협동화〉 38

[그림 3] 어머니, 딸 〈협동화〉 40

[그림 4] 아버지의 〈자유화〉“길” 41

[그림 5] 딸의 〈자유화〉“혼란” 41

[그림 6] 〈가족협동화〉 42

[그림 7] 〈가족협동화〉 45

[그림 8] 가족의 〈손 본뜨기〉 47

[그림 9] 아버지의 〈미래의 우리 가족〉 50

[그림 10] 어머니의 〈미래의 우리 가족〉 50

[그림 11] 딸의 〈미래의 우리 가족〉 50

[그림 12] 아들의 〈미래의 우리 가족〉 50

[그림 13] 부부의 〈행복한 우리가족〉 51

[그림 14] 남편의 〈자유화〉 52

[그림 15] 아내의 〈자유화〉 52

[그림 16] 아버지의 〈스트레스〉 53

[그림 17] 어머니의 〈스트레스〉 53

[그림 18] 딸의 〈스트레스〉 53

[그림 19] 아들의 〈스트레스〉 53

[그림 20] 부부의 〈우리 가족〉 55

[그림 21] 딸의 〈집안 풍경〉 55

[그림 22] 아들의 〈웃는 사람〉 55

[그림 23] 남편의 〈아내의 장점〉 55

[그림 24] 아내의 〈남편의 장점〉 55

[그림 25] 아버지의 〈자신의 모습〉 57

[그림 26] 어머니의 〈자신의 모습〉 57

[그림 27] 딸의 〈자신의 모습〉 57

[그림 28] 아들의 〈자신의 모습〉 57

[그림 29] 〈가족협동화〉 58

[그림 30] 어머니의 〈억압〉 59

[그림 31] 딸의 〈억압〉 59

[그림 32] 아들의 〈억압〉 59

[그림 33] 아버지의 〈가족사랑〉 60

[그림 34] 어머니의 〈가족사랑〉 60

[그림 35] 딸의 〈가족사랑〉 60

[그림 36] 아들의 〈가족사랑〉 60

[그림 37] 아버지의 〈버리고 싶은 것〉 62

[그림 38] 어머니의 〈버리고 싶은 것〉 62

[그림 39] 딸의 〈버리고 싶은 것〉 62

[그림 40] 아들 〈버리고 싶은 것〉 62

[그림 41] 〈가족협동화〉 62

[그림 42] 아버지의 〈상담 받고 난 후 느낌〉 64

[그림 43] 어머니의 〈상담 받고 난 후 느낌〉 64

[그림 44] 딸의 〈상담 받고 난 후 느낌〉 64

[그림 45] 아들의 〈상담 받고 난 후 느낌〉 64

[그림 46] 〈부부〉의‘딸의 야유회’ 74

[그림 47] 〈딸, 아들〉의‘폭발’ 74

[그림 48] ‘고통의 시간들’ 76

[그림 49] ‘희망사항’ 76

[그림 50] 〈어머니, 아들〉의 ‘행복한 모습’ 78

[그림 51] 〈아버지, 딸〉의 ‘불장난’ 78

[그림 52] ‘시골 모습’ 79

[그림 53] ‘전원일기’ 79

[그림 56] ‘된장찌개 먹는 모습’ 82

[그림 57] ‘전화 받기’ 82

[그림 58] 가족의 사전·사후·추후 회유형 변화 85

[그림 59] 가족의 사전·사후·추후 비난형 변화 85

[그림 60] 가족의 사전·사후 추후의 초이성형 변화 86

[그림 61] 가족의 사전·사후·추후 산만형 변화 86

[그림 62] 가족의 사전·사후·추후 일치형 변화 87

[그림 63] (제목없음) 93

[그림 64] (제목없음) 93

[그림 65] (제목없음) 93

[그림 66] (제목없음) 95

[그림 67] (제목없음) 95

[그림 68] (제목없음) 95

[그림 69] (제목없음) 97

[그림 70] (제목없음) 97

[그림 71] (제목없음) 97

[그림 72] (제목없음) 99

[그림 73] (제목없음) 99

[그림 74] (제목없음) 99

초록보기 더보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improving or enhancing self-esteem,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within a family through family art therapy, to provide related fields with an academic basis and to suggest a framework for systematic understanding as to positive changes on the whole of family life.

Research subjects are a middle school girl (14 years old), her brother and parents, residing in G-city. There were a total of 34 sessions of group art therapy during ten months period (from July 25, 2006 to May 28, 2007), one session a week lasting 90-120 minutes.

Research instruments employed for comparative data analysis are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 for each of Measure for Self-Esteem, Measure for Communication, and Family System Diagnosis. Further employed was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observed and recorded data collected from all the activities of each session including therapy-program contents and attitude changes of the family embers, in order to judge i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indeed effective on improving the family's self-esteem,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mily art therapy shows an effect on the family's self esteem.

Initially, each member of the family thought that he or she was not important in the family, accused other members of his or her misfortune, displayed defiant and defensive attitude against other family members with blame and complaint, were cut from each other and exhibited withdrawn behavior because of emotional suppression they did on themselves. After the middle of the program when the parents admitted their faults on parenting, the family started expressing openly their thoughts and feelings and tried to listen to others with receptive patience. Then, the family became able to regain self-esteem and emotionally stable attitude through mutual support and encouragement.

Second, family art therapy gives a positive effect on the family communication.

Initially, the communicative pattern the family members talked to each other was blamable, aggressive, negative, and disconformable. But later after receiving many therapy sessions, they became considerate and supportive of each other and showed a positive discussion pattern with family conformity.

Third, family art therapy exhibited positive influence on the family relations.

Initially, there was no discussion within the family members who were alienated from each other and showed negative relationship with blame and anger toward to each other. However, after the parents admitted faults on their past parenting style which was discovered through the therapy sessions, the children became less blamable, less angry, and communicate with rather positive and conformable attitude so as to be able to make emotional closeness between the members.

To conclude, since family art therapy has been verified that the therapy program has positive effectiveness on family self-esteem,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it can be said that family art therapy is a useful alternative in not only bringing a dysfunctional family positive changes on the whole family life, but also using it as a family therapy for the betterment of any healthy functional family.

참고문헌 (10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The effect of family art therapy on the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withdrawn child 소장
2 (2000). 가족미술치료. 대구: 동아문화사. 미소장
3 모-자녀간의 의사소통유형과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관한 연구 소장
4 학교 부적응 학생의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네이버 미소장
5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소장
6 부부 의사소통 유형과 부부폭력과의 관계 소장
7 (2004). 인간관계 및 부부관계 개선을 위한 사티어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 김영애가족치료연구소. 미소장
8 상호의존과 역기능 가족구조의 관계 소장
9 (2004). 가족미술치료. 서울: 학지사. (Helen B. Landgarten, 1987). 미소장
10 (2006). 대상관계이론의 이해. 제64회 미술치료연수회자료집, 16-23. 미소장
11 Effects of Art Therapy for a Mother-Daughter Pair to Improve the Emotionally Unstable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Reduce the Daughter's Anxiety 네이버 미소장
12 (2003). 상담심리학. 서울: 형설출판사. 미소장
13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발달 : 환경변인 및 적응과의 관계 소장
14 靑少年 非行 程度와 父母-子女間 意思疏通, 家族의 凝集 및 適應과의 關係 네이버 미소장
15 (1990). 가정교육과 청소년 비행의 관계-심층적 면접에 의한 분석. 한국 형사정책 연구원. 미소장
16 자녀가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방식 및 가족체계 유형과 자녀의 자아 존중감과의 관계연구 소장
17 부모의 양육행동 및 형제관계와 아동의 자존감과의 관계 소장
18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양식과 정서지능 및 갈등해결방식의 관계 소장
19 Ego-gram에 나타난 초등학생의 자아상태와 자아 존중감과의 관계 소장
20 韓國 夫婦間의 의사소통 類型과 家族問題에 관한 硏究 : 의사소통 家族治療 理論을 中心으로 소장
21 (1995). 가족과 가족치료. 서울: 법문사. 미소장
22 Changing to a Strength-Based Family Therapy Paradigm 소장
23 해결중심 단기 가족치료의 관점과 치료전략 네이버 미소장
24 Mother Intervention Art Therapy Case Study of the Children with Selective Mutism 소장
25 (2004). 중학생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7(2), 47-58. 미소장
26 교류분석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부모와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소장
27 저소득층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이 아동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소장
28 (1996). 성숙한 부모 유능한 교사. 서울: 양서원. 미소장
29 (2006). 가족. 서울: 학지사. (Bradshaw, 1996). 미소장
30 비행청소년 및 부모의 의사소통 유형과 행동특성의 관계 소장
31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모-자녀간 갈등과 남녀 청소년의 개체화간의 관계 소장
32 가족구조와 부모불화가 청소년자녀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소장
33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Personality Traits,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네이버 미소장
34 집단상담이 학습된 무기력 감소와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 증진에 미치는 영향 소장
35 (1990). 의사소통과 가족관계. 서울: 형설출판사. (Galvin Kathleen). 미소장
36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기존중감과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소장
37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기존중감과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네이버 미소장
38 (1974). 자아 개념 측정 가능성에 관한 연구. 연세논총, 11, 107-130. 미소장
39 Major oretical Models and Current Trends in Couples rapy 소장
40 (1996). 가족치유, 마음치유. 서울: 요단출판사. 미소장
41 (1988).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과 청소년 문제행동과의 연구. 성심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2 (2007). 사티어 경험적 가족치료. 서울: 학지사. 미소장
43 (2007). 가족관계. 서울: 신정. 미소장
44 부부 갈등해소를 위한 의사소통 가족치료 연구 : V. Satir의 이론과 치료기법을 중심으로 소장
45 自我分化와 逆機能的 行動과의 關係 : Bowen의 家族體制理論을 중심으로 소장
46 (2004). 환상적인 가족 만들기. 서울: 학지사. (Stinnett, Nick & Nancy et al. 1999). 미소장
47 (1984). 기능적인 가족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이론적 접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 131-150. 미소장
48 경험적 가족치료를 통한 역기능가정의치료 네이버 미소장
49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Self Acceptance 소장
50 (2000). 실직으로 인한 위기 가족의 가족미술치료 사례. 한국미술치료학회 제 7차 연차학술발표대회 자료집, 193-204. 미소장
51 (2004). 동적 가족화와 심리진단. 대구: 중문. 미소장
52 품행장애 아동의 가족미술치료 사례연구 네이버 미소장
53 Effects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dolescent's Self-Esteemand Strategies in Peer Conflict Situations on Satisfaction with Peer Relationships among Korean Adolescents 소장
54 한국미술치료학회(1995).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대구: 동아문화사. 미소장
55 한국미술치료학회(2006). 제 13회 한·미 미술치료 연차학술발표대회자료집, 가족미술치료, 3-21. 미소장
56 한국버지니아사티어연구회 역(2004). 사티어 모델. 서울: 김영애 가족치료연구소. 미소장
57 (1991). Home Is Where the Art Is: An Art Therapy Approach to Family Therapy. Illinois: Charles Thomas Publisher. 미소장
58 (1964). Consequences of different kinds of parental discipline. In M. Hoffman & L. Hoffman (Eds), Review of Child Development... 미소장
59 (2006).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and Reported Physical Child Abuse.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Iowa 미소장
60 (1987). How to Raise Your Self-Esteem. New York: Bantam Book. 미소장
61 (1996). Bradshaw On: The Family. Health Communications, Inc. Florida, U.S.A. 미소장
62 (1970). Kinetic Family Drawings(K-F-D): An Introduction to Understanding Children through Kinetic Drawings. New York: Brunner/... 미소장
63 (1972). Action, Styles, and Symbols in Kinetic Family Drawings(K-F-D): An Interpretive Manual. New York: Brunner/Mazel. 미소장
64 (2006). Expressive and Creative Arts Methods for Trauma Survivor. London and Philadelphia: Jessica Kingsley Publishers. 미소장
65 (1988). The Changing Family Life Cycle: A framework for family therapy (Eds.). New York: Gardner. 미소장
66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W. H. Freeman. 미소장
67 (1981). Self-Esteem Inventories.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미소장
68 (2005). An Introduction to Family Therapy. New York: Open University Press. 미소장
69 Positive Discipline: Fostering the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네이버 미소장
70 (1956). The Art of Loving. New York: Harper and Brothers Publishers. 미소장
71 (1986). Family Communication-Cohesion and Change(2nd ed). Il1inois: Scott, Foresman and Company. 미소장
72 CA: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What's New and What's Not 네이버 미소장
73 Relationship of Maternal Child-Rearing Behaviors to Children's Self-Esteem 네이버 미소장
74 (2004). The Practice of Family Therapy: key elements across models. London, Thompson 미소장
75 (2006). Psychosocial predictors of depressive symptoms in Mexican-American middle school gir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미소장
76 (1980). The Family. In M. Johnson(Ed.), Toward Adolescence: The middle school year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미소장
77 Self-Esteem in Children as a Function of Perceived Parental Behavior 네이버 미소장
78 Optimal and normal family functioning 네이버 미소장
79 (2000). Art As Therapy: Collected Papers. UK: Jessica Kingsley Publishing. 미소장
80 (1962). Family Art Therapy: experiments with a new technique. In Bulletin of Art Therapy. New York: Spring Publishing. 미소장
81 (1957). Problems of Art: Ten Philosophical Lectures. U.S.: Scribner Pub. 미소장
82 (1987). Family Art Psychotherapy. New York: Brunner/Mazel. 미소장
83 (2003). Handbook of Art Therapy. London: The Guilford Press. 미소장
84 (2004). Personality and other characteristics among behavior disordered youth with emphasis on self-esteem and abuse history.... 미소장
85 (1976). Parent's Handbook. American Guidance Service: Circle pines. 미소장
86 (2001). Family Therapy.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미소장
87 (1974). Families and Family Therapy. Cambridge, MA: Harvard U. Press. 미소장
88 (2005). Family Art Therapy: A Case Study. M.S. Thesis. The Florida State U. 미소장
89 (1978). The Family Crucible: the intensive experience of family therapy. New York: Harper Collins. 미소장
90 (2003). The Essentials of Family Therapy. London: Pearson. 미소장
91 (1987). Peer Relation and Later Personal Adjustment: Are Low-Accepted Children at Risk? Psychological Bulletin, 102(3), 357-389. 미소장
92 (2004). Assessing family functioning, coping strategies, and behavioral functioning: Children with primary immunodeficiency disorders... 미소장
93 (1982). Building Self-Esteem. California: CPP. 미소장
94 (1974). Communication, Conflict, and Marriage. London & New York: Jossey-Bass. 미소장
95 Adolescent Personality in Girls and Boys: The Role of Mothers and Fathers. 네이버 미소장
96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미소장
97 (1979).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미소장
98 (2005). Artful Therapy. Hoboken, NJ: John Wiley & Sons. 미소장
99 (1983). Conjoint family therapy. Palo Alto. CA: Science and Behavior Books. 미소장
100 CA-125 in menstrual discharge in patients with chronic pelvic pain 네이버 미소장
101 Relation of Early Socialization Experiences to Self-Concepts and Gender Role in Middle Childhood 네이버 미소장
102 (1999). Fantastic Families. West Monroe, LA: Howard Pub. 미소장
103 Marital relationship in manic-depressive illness. 네이버 미소장
104 (1980). Art Psychotherapy. New York: John Wiley & Sons. 미소장
105 (2001). Expressive Arts Therapy with Bereaved Familie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rth Texas. 미소장
106 (1988). Family Crucible. 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s.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