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작은도서관 운영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인천시 부평구 작은도서관을 중심으로 / 나영희 인기도
발행사항
청원군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2008.2
청구기호
TM 379 -8-17
형태사항
v, 67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819343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인적자원정책, 2008.2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7

I.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9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10

3. 연구의 한계 12

II. 작은도서관의 이론적 고찰 13

1. 작은도서관의 개념 13

2. 작은 도서관의 유형과 특성 19

3. 외국의 작은도서관 기준 23

4. 작은도서관 운영모델 25

III. 작은도서관 운영실태 31

1. 인천시 부평구 작은도서관 운영 현황 34

가. 지역적 배분 34

나. 예산 및 인력현황 36

다. 장서 및 전산화 현황 39

라. 이용 및 운영프로그램 현황 41

마. 개관현황 44

2. 국내 작은도서관 운영사례 46

가. 창원시 작은도서관 46

나. 부천시 작은도서관 50

3. 국외 작은도서관 운영사례 54

가. 미국 매사추세츠 지역도서관 시스템 (Massachusetts Library and Information Work Regional Library Systems) 54

나. 영국 백슬리 마을도서관 (Bexley Village Library) 55

다. 프랑스 까샹 시립 도서관 (Bibliotheque de L'ENS Cachan)(이미지참조) 56

라. 일본 오사카 시립 중앙도서관 57

4. 작은도서관의 문제점 58

IV. 작은도서관 운영활성화 방안 62

1. 전문 인력의 배치 62

2. 시설 및 공간 확충 63

3. 예산 및 장서 확충 63

4. 서비스 운영체제 개선 64

5. 민관 협력체제 활성화 65

V. 결론 및 제언 67

참고문헌 70

ABSTRACT 73

〈표 1〉 작은도서관과 마을문고 비교 16

〈표 2〉 설립 및 운영주체에 따른 유형 21

〈표 3〉 작은도서관 운영주체별 구분 22

〈표 4〉 IFLA 공공도서관 최저가이드라인 24

〈표 5〉 작은도서관 자료 공간 권장 내용 28

〈표 6〉 전국 작은도서관 등록 현황 (2006. 05. 기준) 32

〈표 7〉 인천시 작은도서관 현황 33

〈표 8〉 인천시 부평구 작은도서관 현황(2007년 6월말 기준) 35

〈표 9〉 부평구 작은도서관 예산 및 인력 현황 38

〈표 10〉 부평구 작은도서관 장서 및 전산화 현황 40

〈표 11〉 부평구 작은도서관 이용 및 운영프로그램 현황 42

〈표 12〉 인천시 부평구 작은도서관 개관현황 44

〈표 13〉 창원시 작은도서관 현황 47

〈표 14〉 부천시 작은도서관 설립현황(2006년 4월 기준) 52

〈그림 1〉 작은도서관 기본조직 26

초록보기 더보기

지식기반사회에서 공공도서관 역할의 중요성이 점점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공공도서관 건립은 여전히 지역수요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은 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으로 지속적인 공공도서관 설립이 추진되고 있으나 가까운 주변에서 도서관서비스를 이용하기에는 여전히 불편한 현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도서관 서비스를 크게 확장하고 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공공도서관의 현실을 타개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으로 작은도서관 활용방안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아직 작은도서관은 개념조차 낯설고 모양새도 천차만별이어서 획일적인 활용방안을 적용하기에 어려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서비스를 거점화로 꾀하는 작은도서관 운영활성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작은도서관의 개념에 대한 의미를 알아보고, 인천시 부평구 소재 작은도서관을 표본으로 운영체제를 제대로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는 작은도서관의 실태와 국내외 우수 사례를 조사하여 작은도서관의 문제점 및 운영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작은도서관이라는 명칭은 현재까지 명확한 개념정립이 되지 않았으며, 사회적으로 충분히 합의가 이루어진 것도 아니다. 현행법에서 법적인 용어는 아니나 기존의 문고를 기반으로 하여 공공도서관과의 연계를 통해 보다 확대된 도서관 기능을 수행하고 확장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지역주민의 독서 및 교육문화공간, 지역 공공도서관과 긴밀한 지원 및 협조 체제를 유지하는 공공성을 갖는 소규모 도서관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작은도서관 운영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인천시 부평구 소재 작은도서관 29개관을 조사한 결과, 25개관이 사립문고로 평균 105.6㎡(32평)의 규모에 평균 4,004책의 장서 보유, 한 해 평균 520만원 정도 예산 집행, 비상근 자원봉사 인력(86%)에 의한 운영, 개관시간은 하루 평균 6.4시간, 주당 5일, 이용자는 평균 41명 정도로 초등학생과 주부가 주된 이용자로 나타났고, 전산화 현황은 열악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작은도서관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면 첫째, 작은도서관에서 전문사서를 채용한 곳은 전무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운영이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전문직 사서를 1인 이상 배치함으로써 도서관업무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서비스체계를 조직, 체계화함이 바람직하다.

둘째, 작은도서관 대부분의 위치가 지리적 접근성이 떨어지고 시설규모도 매우 열악하므로 공공도서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최소한의 시설을 갖추어야 하며, 예산은 전무하거나 부정기적인 국고지원, 후원금에 의존하고 있어 공공기능을 수행하기 역부족인 실정이므로 안정적 예산과 양질의 자료 확보를 위한 지원정책을 전개해 나가야 한다.

셋째, 작은도서관은 운영인력 및 자원의 부족으로 이용자 및 이용시간이 한정되어 있는 한계점을 보이고 있으므로 서비스 대상영역을 확대하기 위해 지자체 및 공공도서관이 작은도서관의 재원확보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과 홍보를 추진해야 한다.

넷째, 작은도서관은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에 의해 운영되고 있으므로 작은도서관의 시설, 예산, 장서, 인력이 안고 있는 취약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민관협력체제를 이루어 보완 확대 운영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