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서울의 지형적 배경과 도시화 양상 / 김동실 인기도
발행사항
청원군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2
청구기호
TD 910.7 -8-5
형태사항
xii, 180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818973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지리교육, 2008.2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12

I. 서론 16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6

2. 연구 내용 및 방법 18

3. 기존 연구의 검토 23

II. 서울의 지형 환경 29

1. 거시적 지형 윤곽과 선구조 발달 양상 29

2. 서울일대의 암석 분포와 지형 발달 39

3. 지형 요소별 시가지 수용 양상 43

가. 산지(mountains) 49

나. 구릉지(hills) 53

다. 분지(basin) 55

라. 저습지 (lowland) 56

III. 서울의 시가지 확산 과정 65

1. 조선시대 : 청계천 분지의 시가지화 65

가. 서울의 입지 65

나. 청계천 분지 안의 시가지 발달 69

다. 청계천 분지 밖 구릉지로 시가지 확산 71

2. 일제강점기 : 청계천 분지 주변의 시가지화 76

가. 남산산록에 형성된 일본인 주거지역 76

나. 저습지 개발에 의한 시가지 확산 77

3. 한국전쟁 전후 : 강북의 시가지화 80

가. 산지사면과 하천변에 불량주택지역 형성 81

나. 하천 상류 부근의 구릉지로 시가지 확산 83

4. 1970년대 이후 : 강남의 시가지화 88

가. 토지피복의 시계열 변화 88

나. 인구밀도 분포의 변화 93

다. 강남개발과 하천주변 저습지의 시가지화 97

IV. 서울의 시가지 발달 양상 106

1. 서울의 지역구분 106

2. 지형 지역 단위별 시가지 발달 특색 110

가. 청계천 분지 (A-1) 110

나. 안산·남산 남사면 (B-1) 117

다. 홍제천·불광천 유역 (C-1) 127

라) 중랑천 유역 (C-2) 131

마) 관악산 북사면 (B-2) 139

바) 안양천 유역 (C-3) 144

사) 강서 구릉지 (B-3) 150

아) 강남 구릉지 (B-4) 154

자) 강동 구릉지 (B-5) 160

차) 양재천·탄천 유역 (C-4) 165

카) 한강 본류주변 저습지 (C-5) 170

V. 결론 181

참고문헌 184

ABSTRACT 194

감사의 글 196

표 1-1. 위성영상 자료 현황 19

표 2-1. 기반암별 고도 분포 및 평균 기복량 43

표 2-2. 서울의 고도 분포 45

표 2-3. 서울의 경사도 분포 46

표 2-4. 서울의 기복량 분포 47

표 2-5. 지형분류 기준 및 분류 결과 49

표 2-6. 하천별 빗물펌프장 현황(2007년 1월 현재) 61

표 3-1. 한성부 성내·외 호구분포의 변화 72

표 3-2. 1789년 한성부 성내·외 지역의 인구분포 74

표 3-3. 서울의 면적 및 인구의 변화 87

표 3-4. 항목별 면적의 변화 92

표 3-5. 한강교량의 건설시기 및 개발지역 100

표 3-6. 서울의 시가지 확대 과정 104

표 4-1. 서울의 지형 지역 단위 분류 106

표 4-2. 지형지역 단위별 고도 분포 및 평균 기복량 109

표 4-3. 지형 지역 단위의 특징 180

그림 1-1. 연구의 흐름 22

그림 2-1. 광주산지와 한강(LANDSAT 2002. 12. 6) 30

그림 2-2. 서울의 주요 산지와 하천 31

그림 2-3. 잠두봉 32

그림 2-4. 노량대교 32

그림 2-5. 서울일대의 선구조 체계 33

그림 2-6. 수선전도(首善全圖) 35

그림 2-7. 청계천 하계망 35

그림 2-8. 선구조 곡지에 발달한 도로와 신도시 37

그림 2-9. 수도권의 도로망 37

그림 2-10. 홍지문 터널 38

그림 2-11. 사패산 터널 38

그림 2-12. 서울일대의 암석 분포 39

그림 2-13. 진앙분포도(조선시대) 41

그림 2-14. 진앙분포도(1978~2000) 41

그림 2-15. 편마암 구릉 단면 (고양시 원당동에서 촬영) 42

그림 2-16. 서울의 산지와 하천 44

그림 2-17. 고도 분포도 45

그림 2-18. 경사도 분포도 46

그림 2-19. 기복량 분포도 47

그림 2-20. 지형분류 결과 49

그림 2-21. 서울의 산지 분포 50

그림 2-22. 화강암 산지(북한산)와 화강암 돔(인수봉) 51

그림 2-23. 편마암 산지(구룡산)와 풍화토 52

그림 2-24. 개발제한구역(1988) 52

그림 2-25. 서울의 구릉지 분포 53

그림 2-26. 서울의 저습지 분포 57

그림 2-27. 하천 저습지의 변화(1915~1957) 59

그림 2-28. 서울시 빗물펌프장 현황(2007) 61

그림 2-29. 지형 요소와 시가지 발달 양상 모식도 64

그림 3-1. 대동여지도(大東與地圖) 67

그림 3-2. 서울의 형국 68

그림 3-3. 도성과 성문 69

그림 3-4. 도성 안의 도시구조 70

그림 3-5. 사산금표도(四山禁標圖) 71

그림 3-6. 성저지역 주요 방(坊)의 분포 73

그림 3-7. 조선시대 시가지 범위 75

그림 3-8. 전차노선(1936) 78

그림 3-9. 1915년 지형도 79

그림 3-10. 1910년대 시가지 범위 80

그림 3-11. 서울의 불량주택지역(50년대~70년대) 82

그림 3-12. 1960년대 도로망 84

그림 3-13. 1957년 지형도 85

그림 3-14. 1950년대 시가지 범위 86

그림 3-15. 서울의 행정구역 변화 87

그림 3-16. 1973년도 토지피복분류 결과 89

그림 3-17. 1985년도 토지피복분류 결과 89

그림 3-18. 1991년도 토지피복분류 결과 90

그림 3-19. 2001년도 토지피복분류 결과 90

그림 3-20. 서울의 토지피복 변화 92

그림 3-21. 1975년 인구밀도 분포 94

그림 3-22. 1985년 인구밀도 분포 94

그림 3-23. 1990년 인구밀도 분포 95

그림 3-24. 2000년 인구밀도 분포 95

그림 3-25. 1973년도 시가지 범위 98

그림 3-26. 1985년도 시가지 범위 98

그림 3-27. 건설시기별 한강교량 101

그림 3-28. 1991년도 시가지 범위 102

그림 3-29. 2001년도 시가지 범위 102

그림 3-30. 서울의 시가지 확대 과정 105

그림 4-1. 서울의 지형 지역 단위 107

그림 4-2. 서울 지역의 등고선과 구(區) 경계 108

그림 4-3. 청계천 분지 지형도 110

그림 4-4. 조선시대 도성 안의 도로망 111

그림 4-5. 청계천 분지 개관도 112

그림 4-6. 청계천변의 판잣집 115

그림 4-7. 세종로(1900) 116

그림 4-8. 태평로(1936) 116

그림 4-9. 청계천변 저지대 117

그림 4-10. 가회동 117

그림 4-11. 필동 117

그림 4-12. 안산·남산 남사면 지형도 118

그림 4-13. 1910년대 홍제천 유로 119

그림 4-14. 안산·남산 남사면 개관도 120

그림 4-15. 경조오부도(京兆五部圖) 122

그림 4-16. 북아현동과 신공덕동 124

그림 4-17. 청파동 125

그림 4-18. 이태원 125

그림 4-19. 한남동 125

그림 4-20. 망원동 125

그림 4-21. 용산2가동 126

그림 4-22. 마포로 126

그림 4-23. 공덕동 126

그림 4-24. 홍제천·불광천 유역 지형도 127

그림 4-25. 홍제천과 불광천의 유로 변화 128

그림 4-26. 홍제천·불광천 유역 개관도 129

그림 4-27. 평창동 131

그림 4-28. 홍제동(개미마을) 131

그림 4-29. 중랑천 유역 지형도 132

그림 4-30. 중랑천 유역 개관도 134

그림 4-31. 돈암동 개량한옥 136

그림 4-32. 장안동 아파트건설(1977) 136

그림 4-33. 중계동 산 104번지 138

그림 4-34. 미아동 138

그림 4-35. 상계동 138

그림 4-36. 관악산 북사면 지형도 139

그림 4-37. 관악산 북사면 개관도 141

그림 4-38. 상도동 142

그림 4-39. 흑석동 142

그림 4-40. 관악산 산지사면 불량주택지역(난곡마을)의 재개발 143

그림 4-41. 안양천 유역 지형도 144

그림 4-42. 안양천 유역 개관도 146

그림 4-43. 한국수출산업공단 147

그림 4-44. 서울디지털산업단지 149

그림 4-45. 영등포 공업지역의 변화 149

그림 4-46. 개봉동 149

그림 4-47. 목동 149

그림 4-48. 강서 구릉지 지형도 150

그림 4-49. 강서 구릉지 개관도 152

그림 4-50. 화곡동 153

그림 4-51. 가양동 153

그림 4-52. 마곡지구 153

그림 4-53. 오곡동 153

그림 4-54. 강남 구릉지 지형도 155

그림 4-55. 강남 구릉지 개관도 157

그림 4-56. 삼성동 158

그림 4-57. 청담동 158

그림 4-58. 서초동 서래마을 158

그림 4-59. 강남 주택지의 격자형 필지 159

그림 4-60. 테헤란로 159

그림 4-61. 강동 구릉지 지형도 161

그림 4-62. 강동 구릉지 개관도 162

그림 4-63. 천호지구(1970년대) 163

그림 4-64. 강동지역의 변화 163

그림 4-65. 천호동 164

그림 4-66. 명일동 164

그림 4-67. 강일동과 상일동 164

그림 4-68. 양재천·탄천 유역 지형도 166

그림 4-69. 양재천·탄천 유역 개관도 167

그림 4-70. 대치동(1982) 167

그림 4-71. 대치동 169

그림 4-72. 선릉로(한티역) 169

그림 4-73. 구룡마을 169

그림 4-74. 한강주변 저습지 지형도 171

그림 4-75. 1910년대 하계망 172

그림 4-76. 1950년대 하계망 172

그림 4-77. 1990년대 하계망 172

그림 4-78. 여의도(1915) 174

그림 4-79. 뚝섬(1915) 175

그림 4-80. 잠실(1915) 176

그림 4-81. 난지도(1915) 177

그림 4-82. 월드컵 공원 178

그림 4-83. 상암동 178

그림 4-84. 여의도 179

그림 4-85. 한강변 179

초록보기 더보기

우리나라는 국토의 70% 이상이 산지로 이루어졌지만 대부분 고도 200~1,000m 정도의 중소규모 산지이다. 이들 산지 사이에는 곡지가 발달해 있고, 곡지를 흐르는 하천 주변에는 여름철 집중홍수로 인해 하천규모에 비해 넓은 범람원이 발달해 있다.

지형과 도시발달을 관련시켜 보면 시가지화가 가능한 곳은 경사가 완만한 산록대나 미기복의 구릉지, 산지사이의 곡지이다. 이 곡지가 분지나 곡저평야 상태로 넓게 발달해 있는 경우라면 시가지 발달에 더욱 유리하다. 이에 비해 산지나 하천은 시가지 확산을 저지하는 지형적 장애이다. 경사도가 17°이상인 산지사면은 시가지 개발보다 자연 녹지상태로 유지·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천 주변의 범람원도 홍수의 위험 때문에 시가지화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근대적인 토목기술의 발달로 제방축조, 터돋음, 배수시설 설치 등을 통해 범람원은 시가지 개발이 가능해졌다. 도시내 시가지 확대의 사회적 압력이 커지면 대규모 토목공사를 실시하여 저습지를 시가지로 개발한다.

우리나라 지형 특성상 도시 전체가 단일한 지형요소로 이루어져 연속성 높은 단괴형 시가지로 발달할 수 있는 대도시는 없다. 대부분의 대도시들은 도시 내부에 시가지 발달의 연속성을 차단하는 산지나 하천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형적 조건의 영향을 받으며 시가지를 확대해 왔다. 그런데 저습지를 개간하여 시가지화된 지역은 구릉지를 개발한 곳과는 도시경관의 차이가 나타난다. 따라서 도시내부 지역구조는 지형적 요소에 의해 분화된 모습의 ‘시가지 모자이크’를 이루게 된다. 즉 도시내 토지이용이나 도시경관은 인문적 요인뿐만 아니라 지형적 요인의 영향이 크게 작용한다.

본 연구는 도시연구에 있어 특히 한국의 도시를 연구할 때는 지형적 배경과 관련시켜 시가지화가 수용되고 발달해온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수행되었다. 서울을 포함하여 우리나라 대도시들은 지형적 배경 위에서 도시가 성장해온 과정을 살펴보아야 도시내부 지역구조와 시가지화 경관이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 일대의 지형 특색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울의 입지와 시가지 확산 과정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지형적 요소와 관련되어 드러나는 서울의 내부 지역구조 분화를 살펴보고 구분된 지형 지역 단위별 시가지 경관의 특징을 밝히려 하였다.

연구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은 다양한 지형 요소들이 복잡하게 얽혀있어 지형적 조건의 등질성이 낮으며, 이러한 지형 조건은 시가지 확산과 도시내부 지역구조 분화에 영향을 준다.

서울은 광주산지에 속하는 중소규모의 산지와 이들 사이에 발달한 한강 본·지류의 곡지로 구성된 지형 환경의 도시이다. 따라서 서울은 산지와 하천에 의해 형성된 다양한 지형 요소들이 복잡하게 얽혀있어 지형적 조건의 등질성이 낮다.

도쿄, 파리, 런던 등 서울과 비견할 만한 외국의 대도시들은 도시 전체가 등질적인 지형요소로 이루어져 있어 곳에 따라 시가지화 밀도의 차이는 있지만 연속성이 높은 거대한 단괴형 시가지를 이루고 있다. 이에 비해 서울은 시가지화 수용이 어려운 지형적 요소에 의해 시가지 발달의 연속성이 차단되었으며, 이들 지형 요소에 의해 분화된 시가지들로 도시내부 지역구조가 형성되었다.

둘째, 서울의 시가지 확산은 시가지 확대를 저지하는 지형적 장애를 극복하고 한강 본·지류 하곡에 발달된 저습지를 개간하면서 확대되었다.

서울시역내의 중소규모 산지와 산줄기는 시가지 확대의 장애요인이다. 이에 비해 한강 지류를 끼고 발달한 곡지는 홍수의 위험이 적어 시가지 확대의 사회적 수요가 있을 때마다 이를 수용해 주었다. 서울에서 제일 먼저 시가지가 발달한 곳은 한강의 작은 지류 하천인 청계천 중상류의 분지형 곡지였다. 일제강점기 때는 청계천 분지를 둘러싸고 있는 산지를 넘어 분지 주변의 구릉지와 지류 하천 주변의 저습지를 개간하며 시가지가 확대되었다. 1960년대까지 서울은 한강이라는 지형적 장애를 극복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주로 강북지역만 시가지화 되었다. 일제강점기 때 한강에 교량이 건설되고 영등포 일대가 일부 개발되기는 하였지만 본격적인 강남개발은 1970년대 이후에 이루어졌다. 한강본류는 폭이 넓고 범람원의 규모가 커서 한강에 교량을 건설하거나 저습지를 개발하는데 고도의 토목기술과 막대한 비용투자가 필요하다. 한강종합개발과 더불어 교량건설이 이어지면서 한강이남 지역은 구릉지와 하천 저습지가 거의 비슷한 시기에 개발되었고, 한강 본류 양안의 저습지는 고밀도 시가지화 공간이 되어 오늘날 서울 도시화의 가장 중요한 동-서 방향의 축을 이루고 있다.

셋째, 서울은 시가지 확산의 지형적 장애인 산줄기와 하천에 의해 구획된 11개의 지형 지역 단위가 모자이크되어 있는 지역구조이다.

서울의 지역구조는 크게 한강을 기준으로 강남과 강북으로 나누어진다. 강북에 위치한 청계천 분지는 서울내에서 가장 규모가 큰 단괴형 시가지가 발달할 수 있는 지형적 조건의 지역으로 오늘날 서울의 명실상부한 중심지로 발전하였다. 청계천 분지 밖 강북 시가지들은 청계천 분지 안에 발달한 시가지와는 불연속적으로 펼쳐져 있다. 강북과 달리 강남지역은 비교적 완만한 구릉지와 저습지로 이루어져 있어 거의 비슷한 시기에 시가지화 되었으며 미기복의 구릉지 위에 중심지가 형성되었다. 이로써 서울은 강북과 강남에 각각의 중심지가 발달해 있는 이중구조의 도시가 되었다.

이를 좀 더 세분해보면 서울은 11개의 지형 지역 단위(청계천 분지, 안산·남산 남사면, 관악산 북사면, 강서 구릉지, 강남 구릉지, 강동 구릉지, 홍제천·불광천 유역, 중랑천 유역, 안양천 유역, 양재천·탄천 유역, 한강 본류 주변)로 구성되어 있다.

구분된 11개 지역의 도시화 경관은 그 지역의 지형적 조건이 개발 당시의 사회적 수요와 기대를 어떻게 수용해 주었으며, 개발 이후에 서울전체의 공간적 구도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변모하였는지를 반영한다. 이와 같이 서울은 사회·경제적인 요인만으로는 설명이 어려운 지역구조로 발달한 도시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서울의 지역구조와 도시화 경관 형성에 지형적 요인이 매우 중요한 비중으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오늘날 서울의 도시화는 지형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지형적 배경이 현재의 도시구조 형성에 밑그림이 되었다는 결론을 얻었다.

참고문헌 (17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동구지편찬위원회 (편),2002,강동구지,강동구청 문화관광공보과. 미소장
2 건설부,1994,한국지지 지방편 1 (서울,인천,경기),건설부 국립지리원. 미소장
3 서울특별시,1984,사진으로 보는 서울백년,서울특별시. 미소장
4 서울특별시,1994,1994년 도시방재사례집,서울특별시. 미소장
5 서울특별시 강남구,1993,강남구지,서울특별시 강남구. 미소장
6 서울특별시 강동구,2004,사진으로 보는 강동사,서울특별시 강동구. 미소장
7 서울특별시 구로구,1997,구로구지,서울특별시 구로구. 미소장
8 서울특별시 광진구,1997,광진구지,서울특별시 광진구. 미소장
9 서울특별시 노원구,1994,노원구지,서울특별시 노원구. 미소장
10 서울특별시 도봉구,1999,도봉구지,서울특별시 도봉구. 미소장
11 서울특별시 동작구,1994,동작구지,서울특별시 동작구. 미소장
12 서울특별시 동대문구,1994,동대문구지,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미소장
13 서울특별시 마포구,2006,마포구지,서울특별시 마포구. 미소장
14 서울특별시문화재위원회,1988,서울의 어제와 오늘,서울특별시. 미소장
15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1991,서울문화. 서울특별시 . 미소장
16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1996,서울六百年史(1~6),서울특별시. 미소장
17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1997,서울의 산,서울특별시. 미소장
18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2001,한강의 어제와 오늘,서울특별시. 미소장
19 서울특별시 서대문구,1992,서대문구지,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미소장
20 서울특별시 서초구청 문화공보실 편,1991,서초구지,서울특별시 서초구. 미소장
21 서울특별시 성동구,1992,성동구지,서울특별시 성동구. 미소장
22 서울특별시 송파구,1994,송파구지,서울특별시 송파구. 미소장
23 서울특별시 양천구,1997,양천구지,서울특별시 양천구. 미소장
24 서울특별시 영등포구,1991,영등포구지,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미소장
25 서울특별시 용산구,1992,용산구지,서울특별시 용산구. 미소장
26 서울특별시 은평구,2001,은평구지,서울특별시 은평구. 미소장
27 서울특별시 종로구,1994,종로구지,서울특별시 종로구. 미소장
28 서울특별시 중구,1994,중구지,서울특별시 중구. 미소장
29 서울특별시 중랑구,1996,중랑구지,서울특별시 중랑구. 미소장
30 서초구 잠원동,2000,잠원지리지,서초구 잠원동. 미소장
31 2004,겸재의 한양진경,동아일보사. 미소장
32 한일지도,2006,서울시 지적,지번도(1:5000) 미소장
33 1994,정도 600년 서울지도,범우사. 미소장
34 2005,지리사상사 강의노트,도서출판 한울. 미소장
35 1994,지형학,법문사. 미소장
36 1999,한국지리 지방편,법문사. 미소장
37 기상연구소,2003,한반도 지진재해평가 기반기술개발( I ). 미소장
38 기상청,2001,지진관측보고. 미소장
39 2005,GIS 실습,도서출판 한울. 미소장
40 1998,원격탐사개론,도서출판 동화기술. 미소장
41 1993,인공위성 영상자료를 이용한 수도권 토지이용 실태분석,국토개발연구원. 미소장
42 2002,서울시 상습침수지역 관리시스템 구축방안,서울시정개발연구원 . 미소장
43 2006,도시해석,푸른길. 미소장
44 1985,도시구조론,법문사. 미소장
45 2000,한성부연구,국학자료원. 미소장
46 2004,한국의 아파트 연구,아연출판부. 미소장
47 뿌리 깊은 나무,1992,한국의 발견 서울,뿌리 깊은 나무. 미소장
48 서울대학교 중등교육연수원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2003,2003학년도 하계 중등1급 정교사 자격연수 지리과 연수교재,서울대학교... 미소장
49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1,서울 20세기 공간변천사,서울시정개발연구원. 미소장
50 2003,서울 도시계획 이야기,도서출판 한울. 미소장
51 2004,서울 시간을 기억하는 공간,나노미디어. 미소장
52 1997,원격탐측,개문사. 미소장
53 1980,한국의 도시와 촌락연구,보진재. 미소장
54 1994,서울의 경관변화,서울학연구소. 미소장
55 1994,600년 수도 서울,지식산업사. 미소장
56 2004,서울풍수,도서출판 담디. 미소장
57 1997,한양,(주) 교학사. 미소장
58 한국공간환경학회,1998,현대도시이론의 전환,도서출판 한울. 미소장
59 한국도시지리학회 편,1999,한국의 도시,법문사. 미소장
60 한국지리정보연구회,2004,자연지리학사전,도서 출판 한울. 미소장
61 1971,서울 도시화 과정과 유형의 연구,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2 1980,서울의 도시화에 의한 지역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63 서울대도시지역 도시성장 예측에 관한 연구 소장
64 2002,풍수지리 이론과 주거입지론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을 중심으로-,한성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5 1999,서울의 수계변화: 1910년~1999년,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6 조선후기 漢城府 행정편제의 변화 : 坊·里·洞·契의 변동을 중심으로 소장
67 2003,풍수의 사회적 구성에 기초한 경관 및 장소 해석,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68 1997,서울의 전통이해 -인구와 도시화-,서울학연구소. 미소장
69 漢江 下流의 沖積地形 소장
70 1991,월출산의 화강맘 지형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미소장
71 1999,대관령 일대의 지형 • 토양환경,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72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한 서울시 토지피복의 시계열 변화량 추출 소장
73 Korean Vegetation Types Using NOAA/AVHRR Data 소장
74 2002,GIS를 이용한 도시지리 학습자료 개발,지리과교육,4,53-63,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미소장
75 원격탐사와 GIS를 이용한 수도권 지역지리 학습자료 개발 소장
76 지형도와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환경변화 연구 : 서울 구로지역을 사례로 소장
77 The Expansion of Urbanized Area and Geomorphic Environments in Seoul 소장
78 1983,서울시 주택지역구분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9 1982,북서서울의 도시화에 관한 지리학적 연구,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0 1984,주택 지역의 구조특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 화곡 지구를 중심으로-,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1 미호평야 주변 화강암 풍화층에 발달한 구릉지 지형의 유형화 소장
82 서울시의 쓰레기 관리제도 개선방안 소장
83 1967,한강하류의 하중도에 대한 고찰,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4 2002,서울 중심부의 일본인 시가지 확산 : 1885~1928년,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5 1997,관악 • 동작지역의 경관변화,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6 1986,서울시 도성내 시가지 변천에 관한 연구,단국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7 1994,서울시 중소하천의 경관변천에 관한 연구,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8 1994,서울시의 사회계층별 거주지분화에 관한 연구,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9 2003,논산-공주간 선구조 곡지의 지형환경,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90 1999,시계열 인공위성 데이터와 GIS Tool을 이용한 춘천시 도시공간변천 조사,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91 2002,수도권 시가화지역의 확산과정과 특성에 관한 연구,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92 여드를 이용한 지형요소 분석과 지형분류에 관한 연구, 지리학연구,37(2),155-161. 미소장
93 1994,서울의 도시성장과 자연환경, ‘ 94 서울학 세미나 I ,서울특별시. 미소장
94 The Homogeneous Regions and Functional Regions in the Internal Structure of Seoul 소장
95 1973,풍수지리설이 도읍형성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96 1995,서울 600년의 발자취,서울학연구,4,37-58. 미소장
97 1994,불량주택재개발과 주택환경의 변화 -서울시를 중심으로-,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98 2000,경주의 도시공간구성원리에 관한 연구-풍수에 의한 입지 해석과 도시개조를 중심으로- 국토계획,35(1),31-41. 미소장
99 1990,촌락의 입지 및 공간구성의 풍수국면적 특징: 충남 아산군 송악면 외암리를 중심으로,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100 2006,인왕산 동쪽 기슭의 권력과 경관 -지적 분석을 중심으로-,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01 1984,LANDSAT Data에 의한 서울시에 있어서의 도시역변화의 추출,한국측지학회지,2(1),5-16. 미소장
102 1994,서울의 공간확대와 시민의 삶,서울학연구,1,159-196. 미소장
103 서울의 人口 및 居住地 變化 : 1394-1945 소장
104 조선시대 춘천의 도시 입지해석과 도시구조에 관한 연구 소장
105 2007,서울 영동신시가지 성장과 토지이용변화의 특성,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06 1985,LANDSAT DATA를 이용한 주요 도시역의 경변변화의 추출에 관한 연구 -서울,대전,인천의 도시역을 중심으로-,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07 花崗巖 風化層의 粘土組成과 風化環境 소장
108 韓國의 地形·土壤環境 精密 地圖化 方案에 관한 硏究 소장
109 기존 '산맥체계'와 전통 지리의 '산경체계' : 지형학 관점에서 본 특징과 문제점 소장
110 2001,지형과 관련시켜 본 우리나라의 도시화,지리과교육,3,115-126, 한국교원 대학교 지리교육과. 미소장
111 2003,청주지역 이해에 밑그림이 되는 지리적 관점,한국지역지리학회 답사자료. 미소장
112 Original Articles : Geomorphological Linear anomalies in the Eastern slope of Mts. Taebaek and costal zone of Yangyang-Sokcho Region 네이버 미소장
113 Original Articles : Geomorphological Lineament System in the Middle Part of Korean Peninsula and its Morphotectonic Significance 소장
114 2000,인공위성영상을 이용한 부산지역 토지 피복과 녹지의 경년변화에 관한 연구,부산발전연구원. 미소장
115 1994,서울시 교통체계 형성에 관한 연구 - 1876년부터 1994년까지의 기간을 중심으로- ,서울학연구,2,57-111. 미소장
116 1990,서울시의 하계변화과정에 관한 연구-도성지역을 중심으로-,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17 2005,중랑천과 탄천유역의 지형비교 연구,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18 GIS기법에 의한 韓國의 高度·起伏量 分析 소장
119 서울 中心地域의 1960年 人口 및 住宅特色의 分布에 관한 多變數 分析 네이버 미소장
120 1982,주택건설과 도시내 지역분화 -서울을 중심으로-,주택,42,109-117. 미소장
121 분수계의 지형적 개념과 기능 소장
122 2002,대전분지의 지형 특색과 시가지 확산 과정,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23 1984,리모트센싱 기 법 에 의한 서울대도시 지역의 토지이용변화의 분석,지리학,30,1-13. 미소장
124 2001,지형환경을 통해 본 수원의 지리적 공간의 특색,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25 1986,서울시 거주지 공간분석에 관한 연구,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26 1986,도시교통 발달과 도시성장 -서울을 중심으로-,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27 강릉지역의 저습지 개간과정 네이버 미소장
128 1980,서울 잠실 지구의 도시화에 대한 연구,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29 1997,조선전기 한성부 성저십리의 지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30 2004,조선시대 한성부 도시구조,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31 大衆交通手段이 서울시 發達에 미친 영향 : 1899-1968 소장
132 Changing Landscape of the Kangdong Region in Seoul 소장
133 한강의 유로 변천과 주거 환경 소장
134 都市 無許可定着地 撤去整備政策에 關한 一硏究 소장
135 한국의 지형적 환경과 취락의 입지 소장
136 韓國의 丘陵地 發達과 土地利用에 관한 硏究 소장
137 2002,한국의 화강맘 침식지형,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138 2002,개경과 한양의 도성구성 비교,서울학연구,15(1),55-97. 미소장
139 1986,풍수설에 입각한 취락입지 연구,녹우연구논집,28,55-68,이화여자대학교 사회생활과. 미소장
140 2001,GIS 활용을 위한 지형분류체계 및 데이터베이스 설계에 관한 연구,녹우연구논집,353-377,이화여자대학교 사회생활과. 미소장
141 1998,GIS기법을 이용한 동강 유역분지의 지형 특성 분석,한국지형학회지,95(2),93-107. 미소장
142 1999,Landsat TM 영상을 이용한 부산의 토지이용도 작성,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43 Comparative Study on Korean Cities Using Aerial Photographs 네이버 미소장
144 2006,서울 서북부 지역의 지형환경-편마맘 구릉대를 중심으로,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45 Factorial Ecology of Seoul and Pusan in 1960 네이버 미소장
146 1973,한국의 도시생태에 관한 연구: 서울과 대구를 중심으로,지리학,8,24-36. 미소장
147 Areal Differentiation of Seoul in the 18,19 th Centuries 소장
148 Geomorphological Effect on the Urbanization Processes in Chuncheon Basin, Central Korea 네이버 미소장
149 1994,서울 한강유역의 지역 형성과정,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50 1999,불암산의 화강맘 지형경관,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51 2000,인공위성 영상자료를 이용한 서울시 시가지확산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152 1993,서울시 강남지역의 개발과 주거지 분화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53 人工衛星 資料를 利用한 서울의 開發制限區域이 土地利用에 미친 影響에 관한 硏究 소장
154 (ed.) 1976, Contemvorary Metropolitan America, Ballinger Publishing Company, Cambridge. 미소장
155 1972, Urbanization and Environment, Duxbury Press, Belmont. 미소장
156 1996, GIS: A Visual Approach, On Word Press, Santa Fe. 미소장
157 1999, Urban Geomorphology, Southwest China Normal University Press, Chongqing. 미소장
158 ED-71, a vitamin D analog, is a more potent inhibitor of bone resorption than alfacalcidol in an estrogen-deficient rat model of osteoporosis 네이버 미소장
159 1996, Introductory Digital Image Processing: A Remote Sensing Perspective, 2nd ed., Prentice-Hall, New Jersey. 미소장
160 1979, A Social Geography of Greater Seoul, Pochinchai Printing Ltd., Seoul. 미소장
161 1994, Remote Sensing and Image Interpretation, 3rd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미소장
162 1990, Design with Nature, John Wiley & Sons, New York. 미소장
163 The analysis of vegetation change by remote sensing 네이버 미소장
164 Use of cartographic data and Landsat TM images to determine land use change in the vicinity of Mexico City 네이버 미소장
165 Monitoring land-use change in the Pearl River Delta using Landsat TM 네이버 미소장
166 Urban Geography by J. Beaujeu-Garnier; 네이버 미소장
167 1992, Ecogeography and Rural Management, John Wiley & Sons, New York. 미소장
168 Using a time series of satellite imagery to detect land use and land cover changes in the Atlanta, Georgia metropolitan area 네이버 미소장
169 네이버 http://www.naver.com 미소장
170 서울대학교규장각 한국학연구원 http://kvuianggak.snu.ac.kr 미소장
171 서울시정개발연구원 http://www.sdi.re.kr 미소장
172 서울시청 http://www.seoul.go.kr 미소장
173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http://www.smrt.co.kr 미소장
174 통계청 http://www.nso.go.kr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