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Obovatol inhibits inflammation mediator generation and colon carcinoma SW620, HCT116 cell growth through induction of apoptotic cell death via inactivation of NF-κB / In-Mo Jung 인기도
발행사항
성남 : 경원대학교 대학원, 2008.2
청구기호
TD 619 -8-44
형태사항
40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809105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경원대학교 대학원, Oriental Medicine, 2008.2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title page

국문초록

Contents

I. Introduction 11

II. Materials and Methods 14

1. Cell Culture. 14

2. Chemicals 14

3. Cell viability assay 15

4. Determination of NO 16

5. Western blot analysis 16

6. Preparation of nuclear extracts and electromobility shift assays 17

7. Assay of luciferase activity 19

8. WST-1 assay 19

9. Apoptosis Evaluation 19

10. Statistical analysis 20

III. Results 21

1. Cytotoxicity of obovatol 21

2. Inhibitory effects of obovatol on LPS-induced NO generation 22

3. Inhibitory effects of obovatol on LPS-induced COX-2 and iNOS expression 24

4. Inhibitory effect of obovatol on NF-kB-dependent luciferase activity 26

5. Inhibition of NF-kB activation 28

6. Inhibition of SW620, HCT116 Human colon Cancer Cell Growth 30

7. Induction of apoptosis 34

8. Inhibition of NF-kB 39

IV. Discussion 43

References 46

Table I. Effect of obovatol on LPS-induced nitrate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22

Table II. Effects of obovatol on LPS-induced COX-2 and iNOS expression in RAW 264.7 cells 24

Table III. Effects of obovatol on NF-kB-dependent luciferase activity in RAW 264.7 cells 26

Table IV. Effects of obovatol on NF-kB activation in RAW 264.7 cells 28

Table V. Effect of obovatol on Cell Viability in SW620 Human colon Cancer Cells 32

Table VI. Effect of obovatol on Cell Viability in HCT116 Human colon Cancer Cells 33

Table VII. Effect of obovatol on Apoptosis in HCT116 Human colon Cancer Cells 35

Table VIII. Effects of obovatol on Apoptosis in SW620 Human colon Cancer Cells 37

Table IX. Effects of obovatol on NF-kB activation in SW620, HCT116 Human colon Cancer Cells 40

Fig. 1. Cytotoxic Effect of Obovatol in Raw264.7 Cells 21

Fig. 2. Effects of obovatol o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nitric oxide(NO) generation in Raw 264.7 cells 23

Fig. 3. Effects of obovatol on LPS-induced inflammatory gene expression in Raw 264.7 cells. 25

Fig. 4. Effects of obovatol on LPS-induced NF-kB dependent luciferase activity in Raw 264.7 cells. 27

Fig. 5. Effects of obovatol on LPS-induced NF-kB activation in Raw 264.7 cells. 29

Fig. 6. Morphological changes of SW620 cells by obovatol. 30

Fig. 7. Morphological changes of HCT116 cells by obovatol. 31

Fig. 8. Cell Viability of SW620 and HCT116 cells by obovatol 34

Fig. 9. Effects of obovatol on induction of apoptosis of HCT116 cells 36

Fig. 10. Effects of obovatol on induction of apoptosis of SW620 cells 38

Fig. 11. Effects of obovatol on NF-kB Activity in SW620, HCT116 Human colon Cancer Cells 40

SCHEME INDEX

Scheme. 1. Method of obovatol Extraction 15

초록보기 더보기

연구목적 : 厚朴(Magnolia obovata)에서 추출한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의 RAW264.7 세포에서 LPS로 유발된 염증, TNF-α로 유발된 human colon carcinoma SW620 및 HCT116 세포의 세포증식에 대한 영향과 그 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방법 : RAW264.7 세포에서 LPS로 염증을 유발하고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을 처리한 후 cell viability, NO 생성량, iNOS와 COX-2의 발현, NF-κB활성, 전사능력을 관찰하기 위해 WST-1 assay, NO determination assay, western blot analysis, EMSA, luciferase activity assay를 시행하였고, HCT116, SW620 세포에 TNF-α로 증식을 유도하고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을 처리한 후 cell growth, apoptosis 및 apoptosis와 연관된 NF-κB의 활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WST-I, Cell morphogy test, DAPI staining and TUNEL assay, EMSA, luciferase activity assay를 시행하였다.

결 과:

1. RAW264.7 세포에서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 처리는 NF-κB의 활성 및 전사능력을 낮추고 iNOS와 COX-2의 발현과 NO 생성을 감소시켜 LPS로 유발된 염증을 억제하였다.

2. HCT116, SW620 세포에서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 처리는 NF-κB의 활성을 낮추어 세포자멸사을 촉진함으로써 TNF-α로 유발된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는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이 항염 및 인간 전립선암 세포주인 SW620, HCT116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이며, 향후 이를 바탕으로 한 생체 연구에서의 긍정적인 결과는 obovatol 약침액이 만성염증성 질환 및 대장암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