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김국진 한국적화성을 적용한 초등 국악 가창곡 반주법 연구 / 이유미 인기도
발행사항
진주 :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2
청구기호
TM 372.87 ㅇ817ㄱ
형태사항
ix, 92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803538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 2008.2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13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3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5

3. 연구의 제한점 15

Ⅱ. 이론적 배경 16

1. 반주의 개념 16

2. 반주의 역할 17

가. 초등학교 음악수업에서의 역할 17

나. 가창중심 수업에서의 역할 19

다. 국악 가창곡 수업에서의 역할 20

3. 한국화성의 이론적 배경 21

가. 한국의 음계론 21

(1) 평조와 계면조의 이분법 21

(2) 네 개의 토리 21

(3) 다섯가지 음계 23

나. 한국 화성에 대한 연구의 동향 24

(1) 김순남 24

(2) 나운영 26

(3) 김국진 27

Ⅲ. 국악 가창곡 교육의 실태 36

1. 초등학교 음악 수업에서의 국악 가창곡 지도 및 반주 실태 36

2.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국악 가창곡 분석 36

가. 교재분석 36

(1) 3학년 음악 교과서 국악 가창곡 분석 38

(2) 4학년 음악 교과서 국악 가창곡 분석 38

(3) 5학년 음악 교과서 국악 가창곡 분석 39

(4) 6학년 음악 교과서 국악 가창곡 분석 39

나. 교과서 장단 분석 40

(1) 자진모리 41

(2) 세마치 42

(3) 굿거리 44

(4) 중중모리 45

Ⅳ. 건반악기를 활용한 국악가창곡 반주의 실제 47

1. 자진모리장단의 건반악기 반주법 48

가. 자진모리 장단에 따른 반주패턴 48

나. 기본화음 찾기 49

다. 기본반주 51

라. 다양한 반주형태 52

2. 세마치장단의 건반악기 반주법 55

가. 세마치장단에 따른 반주패턴 55

나. 기본화음 찾기 56

다. 기본반주 59

라. 다양한 반주형태 60

3. 굿거리장단의 건반악기 반주법 63

가. 굿거리장단에 따른 반주패턴 63

나. 기본화음 찾기 63

다. 기본반주 67

라. 다양한 반주형태 68

4. 중중모리장단의 건반악기 반주법 70

가. 중중모리장단에 따른 반주패턴 70

나. 기본화음 찾기 71

다. 기본반주 73

라. 다양한 반주형태 73

5. 학년별 음악 교과서의 국악가창곡 반주화음 76

가. 3학년 국악가창곡 76

나. 4학년 국악가창곡 82

다. 5학년 국악가창곡 88

라. 6학년 국악가창곡 92

Ⅴ. 결론 및 제언 97

참고문헌 100

Abstract 102

〈표 Ⅲ-1〉 7차 교육과정 학년별 내용 37

〈표 Ⅲ-2〉 3학년 제재곡 38

〈표 Ⅲ-3〉 4학년 제재곡 38

〈표 Ⅲ-4〉 5학년 제재곡 39

〈표 Ⅲ-5〉 6학년 제재곡 39

〈표 Ⅳ-1〉 자진모리장단의 국악제제곡 48

〈표 Ⅳ-2〉 세마치장단의 국악제제곡 55

〈표 Ⅳ-3〉 굿거리장단의 국악제제곡 63

〈표 Ⅳ-4〉 중중모리장단의 국악제제곡 70

〈악보 Ⅱ-1〉 평조와 계면조 21

〈악보 Ⅱ-2〉 네 개의 토리 22

〈악보 Ⅱ-3〉 C음을 아래음으로 한 5음음계 23

〈악보 Ⅱ-4〉 나운영 화음의 예 26

〈악보 Ⅱ-5〉 평조 구성음 28

〈악보 Ⅱ-6〉 계면조 구성음 28

〈악보 Ⅱ-7〉 평조, 계면조의 기본형 화음 29

〈악보 Ⅱ-8〉 한국음악의 mono적 성향 29

〈악보 Ⅱ-9〉 김국진의 4음 화음 30

〈악보 Ⅱ-10〉 평조 화음의 기본형 30

〈악보 Ⅱ-11〉 평조 화음의 중심음 31

〈악보 Ⅱ-12〉 계면조 화음의 기본형 31

〈악보 Ⅱ-13〉 계면조 화음의 중심음 31

〈악보 Ⅱ-14〉 4음 화음의 중심음 32

〈악보 Ⅱ-15〉 평조의 주요3화음 32

〈악보 Ⅱ-16〉 계면조의 주요 3화음 33

〈악보 Ⅱ-17〉 한국음계에 의한 한국화성코드 일람표 34

〈악보 Ⅲ-1〉 자진모리의 기본 장단 41

〈악보 Ⅲ-2〉 자진모리의 변형 장단 42

〈악보 Ⅲ-3〉 세마치의 기본 장단 43

〈악보 Ⅲ-4〉 세마치의 변형 장단 43

〈악보 Ⅲ-5〉 굿거리의 기본 장단 44

〈악보 Ⅲ-6〉 굿거리의 변형 장단 44

〈악보 Ⅲ-7〉 중중모리의 기본 장단 45

〈악보 Ⅲ-8〉 중중모리의 변형 장단 45

〈악보 Ⅳ-1〉 자진모리 기본장단에 따른 반주패턴 48

〈악보 Ⅳ-2〉 나물노래 49

〈악보 Ⅳ-3〉 A계조 화음 49

〈악보 Ⅳ-4〉 '나물노래'의 화음 50

〈악보 Ⅳ-5〉 '나물노래'의 기본 반주형 51

〈악보 Ⅳ-6〉 나물노래'의 멜로디 있는 기본 장단형 반주 52

〈악보 Ⅳ-7〉 '나물노래'의 멜로디 있는 변형 장단형 반주 ① 52

〈악보 Ⅳ-8〉 '나물노래'의 멜로디 있는 변형 장단형 반주 ② 53

〈악보 Ⅳ-9〉 '나물노래'의 멜로디 있는 변형장단형 반주 ③ 53

〈악보 Ⅳ-10〉 '나물노래'의 멜로디 있는 변형장단형 반주 ④ 53

〈악보 Ⅳ-11〉 '나물노래'의 멜로디 없는 기본 장단형 반주 54

〈악보 Ⅳ-12〉 '나물노래'의 멜로디 없는 변형 장단형 반주 ① 54

〈악보 Ⅳ-13〉 '나물노래'의 멜로디 없는 변형 장단형 반주 ② 54

〈악보 Ⅳ-14〉 '나물노래'의 멜로디 없는 변형 장단형 반주 ③ 54

〈악보 Ⅳ-15〉 '나물노래'의 멜로디 없는 변형 장단형 반주 ④ 55

〈악보 Ⅳ-16〉 세마치 기본장단에 따른 반주패턴 55

〈악보 Ⅳ-17〉 도라지타령 56

〈악보 Ⅳ-18〉 F평조 화음 57

〈악보 Ⅳ-19〉 '도라지타령'의 화음 58

〈악보 Ⅳ-20〉 '도라지타령'의 기본 반주형 59

〈악보 Ⅳ-21〉 '도라지타령'의 멜로디 있는 기본 장단형 반주 60

〈악보 Ⅳ-22〉 '도라지타령'의 멜로디 있는 변형 장단형 반주 ① 60

〈악보 Ⅳ-23〉 '도라지타령'의 멜로디 있는 변형 장단형 반주 ② 61

〈악보 Ⅳ-24〉 '도라지타령'의 멜로디 없는 기본 장단형 반주 61

〈악보 Ⅳ-25〉 '도라지타령'의 멜로디 없는 변형 장단형 반주 ① 62

〈악보 Ⅳ-26〉 '도라지타령'의 멜로디 없는 변형 장단형 반주 ② 62

〈악보 Ⅳ-27〉 굿거리 기본장단에 따른 반주패턴 63

〈악보 Ⅳ-28〉 천안삼거리 64

〈악보 Ⅳ-29〉 E계조 화음 65

〈악보 Ⅳ-30〉 '천안 삼거리'의 화음 67

〈악보 Ⅳ-31〉 '천안 삼거리'의 기본 반주형 67

〈악보 Ⅳ-32〉 '천안 삼거리'의 멜로디 있는 기본 장단형 반주 68

〈악보 Ⅳ-33〉 '천안 삼거리'의 멜로디 있는 변형 장단형 반주 ① 68

〈악보 Ⅳ-34〉 '천안 삼거리'의 멜로디 있는 변형 장단형 반주 ② 69

〈악보 Ⅳ-35〉 '천안 삼거리'의 멜로디 없는 기본 장단형 반주 69

〈악보 Ⅳ-36〉 '천안 삼거리'의 멜로디 없는 변형 장단형 반주 ① 69

〈악보 Ⅳ-37〉 '천안 삼거리'의 멜로디 없는 변형 장단형 반주 ② 70

〈악보 Ⅳ-38〉 중중모리 기본장단에 따른 반주패턴 70

〈악보 Ⅳ-39〉 강강술래 71

〈악보 Ⅳ-40〉 A계조 화음 72

〈악보 Ⅳ-41〉 '강강술래'의 화음 72

〈악보 Ⅳ-42〉 '강강술래'의 기본 반주형 73

〈악보 Ⅳ-43〉 '강강술래'의 멜로디 있는 기본 장단형 반주 73

〈악보 Ⅳ-44〉 '강강술래'의 멜로디 있는 변형 장단형 반주 ① 74

〈악보 Ⅳ-45〉 '강강술래'의 멜로디 있는 변형 장단형 반주 ② 74

〈악보 Ⅳ-46〉 '강강술래'의 멜로디 있는 변형 장단형 반주 ③ 74

〈악보 Ⅳ-47〉 '강강술래'의 멜로디 없는 기본 장단형 반주 75

〈악보 Ⅳ-48〉 '강강술래'의 멜로디 없는 변형 장단형 반주 ① 75

〈악보 Ⅳ-49〉 '강강술래'의 멜로디 없는 변형 장단형 반주 ② 75

〈악보 Ⅳ-50〉 '강강술래'의 멜로디 없는 변형 장단형 반주 ③ 75

초록보기 더보기

우리 민족은 아주 오랜 역사 속에서 고유의 문화 유산과 민족 정서가 생성 · 발전되어 왔다. 이렇게 우리에게 주어진 문화 유산을 이해하고, 보존하고, 창의적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므로 학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시대와 문화권의 음악을 접하게 함으로써, 각 시대와 민족의 음악 문화 유산을 바르게 이해하게 하고, 더 나아가 우리의 음악 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켜 새로운 음악 문화 창달에 기여하는 것은 음악 교육의 중요한 목적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개정 중점 방향 중의 하나로 ‘우리 음악 문화의 창달을 위한 국악 교육’을 꼽는다.

그러나 악기의 미보급, 교사의 반주능력·곡의 이해 부족 등의 교육 현장의 한정된 여건들로 인해 전래동요와 민요의 수업에서 대부분을 미디 음악 또는 음반을 활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음악 수업의 질적인 문제가 우려되고 있다.

세계 속에서 한국 음악은 ‘개성 있는 보편성’과 ‘보편성이 깃든 개성’을 지녀야 한다는 과제를 안게 되는데, 그것은 전통 음악이 모든 음악에 적용되는 보편성과 어떻게 조화를 이루느냐에 달려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국악가창곡이라고 해서 국악기만으로 연주해야 한다 할 게 아니라 다양한 악기로의 연주를 제공해 줌으로써 학생들 스스로 국악기와 서양악기 음색의 차이를 느끼고 체득하게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김국진 화성이론을 토대로 한 연구를 바탕으로 이러한 실태의 학교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건반악기를 활용한 국악가창곡 반주법을 연구하였다.

먼저 7차 교육과정의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전래동요와 민요를 분석하여 장단별로 분류하였으며, 각 장단별로 가장 간단한 장단에서 복잡한 장단까지의 변형 장단을 제시하였으며, 각 장단별로 한 곡씩을 택해 마디마다 수평으로 사용되어진 음들을 수직으로 세워보고 그 음들이 속한 화음을 찾아 예시곡의 화음을 분석해 보았다. 분석한 화음으로 기본 장단, 변형 장단에 맞는 리듬으로 다양한 반주패턴을 구안해 교실현장에서의 실제적인 활용을 위해 각 학년별 음악 교과서에 있는 곡들의 화음을 위와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여 제시해 보았다.

이러한 방법으로 반주해 본 결과 건반악기로도 우리 음악의 색깔을 나타낼 수 있었으며, 색다른 화성의 느낌까지 더해져 다양한 전래동요의 반주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김국진 한국적화성을 적용한 국악 가창곡 반주법으로 우리 아이들에게 국악의 새로운 멋을 느끼게 해주며 초등교사들이 자신감을 가지고 반주할 수 있길 기대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