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한국 해군사관학교 교육과정 변천 분석 / 김종선 인기도
발행사항
마산 :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7.8
청구기호
TD 375.001 ㄱ865ㅎ
형태사항
x, 193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757146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경남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2007.8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 요약 12

I. 서론 15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5

2. 연구의 문제 21

3.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22

4. 용어의 정의 24

II. 해군사관학교 교육과정 분석의 틀 27

1. 교육과정의 개념과 변화 27

2. 해군사관학교 교육과정의 특성 37

3. 교육과정 변천 분석을 위한 틀 48

III. 해군사관학교 교육과정의 변천 내용 분석 67

1. 학교 체제의 확립: 개척기(1946~1954) 67

2. 이학사 교육과정의 정립: 정비기(1955~1962) 79

3. 교육 체제의 확립과 학술 장려: 도약기(1963~1972) 88

4. 군 과학화와 전공과정 도입: 확산기(1973~1984) 96

5. 실무적응 능력 향상 교육: 과도기(1985~1993) 115

6. 국제화·정보화 시대 부응 교육: 개혁기(1994~-2006) 130

7. 논의 162

IV. 해군사관학교 교육과정 변천의 특징과 의의 170

1. 교육과정 개정 배경 및 방침 170

2. 교육과정 편성 174

3. 성적 평가 180

V. 결론 및 제언 183

참고문헌 189

부록 196

[부록 1] 해군사관학교령 197

[부록 2] 사관학교 설치법 198

[부록 3] 사관학교 설치법 시행령 200

ABSTRACT 205

〈표 I-1〉 해군사관학교 교과과정 구성 체계 25

〈표 II-1〉 2006년 교육과정의 구성 및 학점배당 41

〈표 II-2〉 체육 교육훈련 및 졸업자격 41

〈표 II-3〉 군사교육의 분야별 교육목표 42

〈표 II-4〉 정신교육 분야 및 교육목표 43

〈표 II-5〉 명예중대 선발 경쟁종목 배점 44

〈표 II-6〉 교육과정 구성 체계와 교육목표 45

〈표 II-7〉 2006년 분야별 성적계수(62기부터 적용) 47

〈표 II-8〉 교육과정 변천 선행연구 요약 51

〈표 II-9〉 1982년의 교과과정 시대 구분 53

〈표 II-10〉 1993년의 교과과정 시대 구분 54

〈표 II-11〉 해군사관학교 교육과정 변천 내역 55

〈표 II-12〉 교육과정 분석 영역별 관점 및 자료 64

〈표 III-1〉 제1기생 교과편성 68

〈표 III-2〉 제2기에서 4기까지의 분야별 이수학점과 비율 71

〈표 III-3〉 제1기~제4기 교과편성 및 학점 배당 72

〈표 III-4〉 제5기~제9기 교육과정 분야별 학점 분포 73

〈표 III-5〉 1953년 4년제 교육과정 학점 분포 75

〈표 III-6〉 1953년 4년제 교과편성 및 시간 배당 76

〈표 III-7〉 1953년 성적 배분 치수표 77

〈표 III-8〉 개척기의 분야별 이수학점 분포 78

〈표 III-9〉 1955년 교과편성 및 시간 배당 81

〈표 III-10〉 1955년 교육과정 변경 내용 82

〈표 III-11〉 이학사 교육과정의 분야별 시간 배당 비교 82

〈표 III-12〉 1961년 교육과정 변경 내용 84

〈표 III-13〉 1961년 교육과정(1학기: 18주, 2학기: 16주) 85

〈표 III-14〉 1961년 학년별 군사실습 학점 편성 86

〈표 III-15〉 정비기의 교육과정 개정 배경 및 방침 87

〈표 III-16〉 정비기의 교과 분야별 학점 분포 88

〈표 III-17〉 1964년 교육과정 편성 91

〈표 III-18〉 1964년 학술반 선택과목 편성 92

〈표 III-19〉 1968년 선택과목 편성 94

〈표 III-20〉 1963년 이후 연차별 학점 분포 및 이수학점 95

〈표 III-21〉 1973년 군 과학화 교육과정 편성 98

〈표 III-22〉 1973년 해군과학 계열 전공과정 99

〈표 III-23〉 1973년 해군공학 계열 전공과정 99

〈표 III-24〉 1973년 교육과정 변경 내용 100

〈표 III-25〉 1976년 교육과정 변경 내용 101

〈표 III-26〉 1976년 전공학과별 전공 이수학점 편성 102

〈표 III-27〉 1976년 국민윤리 교과편성 103

〈표 III-28〉 1976년 실무 보충교육 103

〈표 III-29〉 1970년대 성적 평가 성취점 배분 104

〈표 III-30〉 학년별 적성 및 품행 평가 성적 계수 105

〈표 III-31〉 1979년 1학기 성취점 계수표 106

〈표 III-32〉 1980년도 교육과정 분야별 학점 조정 109

〈표 III-33〉 1983년 교육과정의 변경 내용 111

〈표 III-34〉 확산기의 교육과정 개정 배경 및 방침 113

〈표 III-35〉 확산기의 이수학점 분포 114

〈표 III-36〉 1984년 교육과정 편성 117

〈표 III-37〉 1984년 교육과정 변경 내용 118

〈표 III-38〉 병과별 추가 선택과목 119

〈표 III-39〉 1986년 선택과목 조정 122

〈표 III-40〉 1986년 임관 전 보수교육 과정 123

〈표 III-41〉 과도기의 교육과정 개정 배경 및 방침 128

〈표 III-42〉 과도기 교육과정의 분야별 학점 편성 129

〈표 III-43〉 1994년 분야별 학점 편성 변경 내용 132

〈표 III-44〉 1994년 교육과정 편성(전기공학과기준) 133

〈표 III-45〉 1994년 군사학 과정 개정 내용 134

〈표 III-46〉 1994년 사회인문학과 이학 분야 개정 내용 135

〈표 III-47〉 1995년 체육 교과 개정 내용 137

〈표 III-48〉 1996년 교육과정 변경 내용 139

〈표 III-49〉 1996년 문·이과 계열 선택 개설 과목 140

〈표 III-50〉 1996년 일반학 과정의 공통과 선택 이수학점 141

〈표 III-51〉 1996년 정서함양(자유선택) 개설 과목 141

〈표 III-52〉 1996학년도 성취점 계수(제54기 이후) 142

〈표 III-53〉 1998년 교육과정의 이수학점 조정 145

〈표 III-54〉 1998년 계열선택과 자유선택 과목 146

〈표 III-55〉 2000년 교육과정의 분야별 학점 변경 내용 147

〈표 III-56〉 2000년 교육과정 변경 내용 148

〈표 III-57〉 2000년 영어과 컴퓨터 교육 강화 내용 149

〈표 III-58〉 2001년 교육과정 변경 내용 152

〈표 III-59〉 2001년 교육과정의 이수과목 수와 학점의 변동 내용(문과/이과) 153

〈표 III-60〉 2004년 교육과정 분야별 학점 편성 변동 내용 155

〈표 III-61〉 2004년도 교육과정 편성(이과 기준) 156

〈표 III-62〉 2004년 계열별 기초과학 학점 보완 157

〈표 III-63〉 2006년도 성적 계수(제64기기준) 159

〈표 III-64〉 개혁기의 교육과정 개정 배경 및 방침 160

〈표 III-65〉 개혁기의 각 분야별 이수학점 변천 내역 161

〈표 III-66〉 변천 시대별 교육과정의 개정 배경 및 방침 163

〈표 III-67〉 변천 시대별 주요 교육과정의 분야별 학점 편성 165

〈표 III-68〉 변천 시대별 교육과정의 특징 166

〈표 III-69〉 성적 평가를 위한 연도별 성적계수 168

〈표 IV-1〉 군사학 과정과 전공 과정의 변천 내역 178

〈표 IV-2〉 선택 과정 변천 내역 180

〈그림 II-1〉 Fullan(1982)의 교육과정 변화의 과정 31

〈그림 II-2〉 Wallker(1971)의 자연적 개발 모형 35

〈그림 II-3〉 교육과정 변천 분석의 틀 65

〈그림 III-1〉 제5기~제9기 교육과정 분야별 학점 분포 73

〈그림 III-2〉주요 연도별 성적계수 분포도 168

초록보기 더보기

현재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또한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교육과정이 변천되어온 배경과 경향을 분석해봄으로써 그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해군사관학교 교육과정의 변천을 개관하여 변천의 사실적 특징과 변천의 경향성을 찾아내어서 교육과정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교가 설립된 1946년부터 2006년까지의 교육과정을 여섯 개의 변천 시기로 구분하고, 각 교육과정에 대하여 개정 배경 및 방침, 교육과정 편성, 성적 평가의 측면에서 특징을 분석하였다. 여기서 분석된 내용을 통합하여 그 시대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또한 세 가지 관점에 대하여 시대의 흐름에 따라 나타나는 특징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의 개정 배경과 방침과 관련하여, 개정에 영향을 미친 주체는 크게 세 개의 시기로 구분해 볼 수 있다. 학교의 설립 이후 1970년대 초반까지는 학교 내부의 관련자들에 의해서 주도되었는데, 이 시기의 개정 방침은 주로 학교의 교육체계의 확립과 개선을 위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197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는 국가 지도자의 지침이 교육과정 개정에 영향력을 가장 크게 미친 시기였으며, 개정의 방침으로는 국가 발전에 이바지 할 것을 요구하는 국가 정책이었음을 할 수 있다. 1990년대 중반부터는 국방부에 의해 교육과정의 변화가 시도되었는데, 개정의 배후에는 개인의 사회적 사건, 정책 결정권자의 의지, 육군사관학교의 군사학 확산 정책이 작용한 결과였던 것을 알 수 있다. 앞으로도 교육과정 변화의 가장 큰 요인으로 해군사관학교의 상부기관의 정책 또는 의사결정권자의 개인적 성향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교육과정 편성과 관련하여, 교육과정 구조의 변천 특징은 전형적인 직업 교육을 위한 단일 교육과정을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73년 전공 과정이 도입되었는데, 이 시기를 기점으로 이전 시기를 단일 중핵 교육과정이었다고 한다면, 그 이후는 전공과정이 도입되어 전공별 단일 교육과정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오늘날 사회와 군대는 어느 때보다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창의력을 갖춘 인재를 더욱 요구하고 있는 시점에서, 획일적 교육과정에 의한 암기력 위주의 교육에서 미래의 시대와 군대가 요구하는 인재상에 적합한 교육의 틀을 정립해야 할 때라고 생각된다.

군사학 과정과 전공 과정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갈등 관계를 유지하면서 조정되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초창기 교육과정은 군사학과 교양 과정으로만 구성되었지만, 1973년 전공 과정이 편성되면서 군사학과 더불어 이후의 교과 편성의 두 축을 형성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때부터 군사학 과정과 전공 과정이 교과의 양축의 역할을 하면서 시대에 따라 상대적 우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군사학 과정과 전공 과정은 사관학교 교육목표 달성을 위해 모두 필요하기 때문에 대립의 관계보다는 상보적 관계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교과의 구성에 있어서 필수와 선택 과정은 전형적으로 선택을 축소한 획일적 교과 구조 쪽으로 기울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오늘날 사회는 그 어느 때보다도 사회는 다양화와 전문화 그리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해 낼 수 있는 창의력 등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개인의 소질과 능력 등을 반영하는 선택제도가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성적 평가의 기능이 상대 평가 방식에 의한 서열 산출 위주로 활용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도 성적 평가의 주요 목적 중의 하나는 개인의 목표 성위 정도를 이해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교수 활동을 개선하는데 피드백으로 유용하게 활용하는 것이다. 성적 평가를 서열 산출 기능에서 교육의 질을 높이는데 활용될 수 있도록 운영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다음으로 한국 해군사관학교의 교육과정 변천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교육과정의 발전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해군사관학교 교육목적과 교육과정에 대한 개념과 구체적 목표가 정립되어야 한다. 해군사관학교 교육목표로 명시되어 있는 지도자적 인격과 품성이란 어떤 것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과제부터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그 다음에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일반학과 군사학, 전공, 체육 등 각 요소에 대한 교육의 개념을 정립하고 각 과정에 대한 목적과 목표가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개인의 능력과 재능을 계발할 수 있는 선택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모든 학습자에게 보통 수준의 학습 경험을 제공할 것인가, 아니면 개인의 소질과 능력을 계발 할 수 있는 학습경험도 제공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셋째, 성적 평가는 기본적으로 학습목포 달성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라고 할 때, 서열을 산출하기 위한 상대평가 방식은 성취 목표에 기준한 절대평가 방식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교육과정의 개발 체계를 정립하고,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와 연구를 지속해야 할 것이다. 과거의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과 연구를 통한 반성의 과정이 이루어지지 않다 보니 과거에 발생했던 문제점들이 계속 반복해서 발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